"인종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잔글 (→지식 관계망) |
잔글 (→관련 기록) |
||
252번째 줄: | 252번째 줄: | ||
答曰: "依啓。"|출처=『명종실록』4권, 명종 1년(1546) 8월 4일 무자(戊子) 2번째 기사}} | 答曰: "依啓。"|출처=『명종실록』4권, 명종 1년(1546) 8월 4일 무자(戊子) 2번째 기사}} | ||
+ | |||
+ | |||
+ | ===연려실기술=== | ||
+ | ====『연려실기술』18권, 「선조조 고사본말(宣祖朝故事本末)」, 《선조조명신(宣祖朝名臣)》==== | ||
+ | {{Blockquote|《정종영(鄭宗榮)》 | ||
+ | |||
+ | 임술년(1562)에 경상 감사가 되었다. 이때 윤원형(尹元衡)의 가까운 친속과 문객이 수령이 되어 세력을 믿고 탐욕을 부리고 있었는데, 원형이 성대한 송별연을 베풀고 부탁했다. | ||
+ | |||
+ | 그러나 공은 조금도 너그러이 봐주지 않고 전최(殿最)에서 하고(下考)에 두었다. 또 요망스러운 중이 대비의 명이라 칭탁하고 '''인종(仁宗)의 태봉(胎封)'''의 나무를 거의 다 베 간 것을 공이 또한 엄하게 다스려 죽기에 이르자, 대비가 크게 노하여 체직을 명하였다. | ||
+ | |||
+ | 任戌爲嶺南伯時, 尹元衡切屬, 及門客爲守令恃勢貪號饕, 元衡爲設盛餞而托之, 公不少饒悉置之殿。 又妖僧稱內旨伐, '''仁宗胎封'''樹木殆盡, 公亦嚴治於死, 內殿震怒命遞之。|출처=『연려실기술』18권, 「선조조 고사본말(宣祖朝故事本末)」, 《선조조명신(宣祖朝名臣)》}} | ||
+ | |||
+ | |||
+ | ===대동야승=== | ||
+ | ====『대동야승』, 「청강선생 후청쇄어(淸江先生鯸鯖瑣語) 」, 《청강선생 사제록(淸江先生思齊錄)》==== | ||
+ | |||
+ | {{Blockquote|《청강선생 사제록(淸江先生思齊錄)》 | ||
+ | |||
+ | 상영부사(尙領府事)가 일찍이 정옥형과 같이 '''인종의 태봉(胎峯)'''을 경상도에서 감정할 때에, 함창(咸昌)원으로 있는 이는 두 정승의 옛날 친구였다. 그는 술을 권하려다가 먼저 취하여 오줌을 싸서 자리에 흘렀다. 정 찬성이 상 정승에게 가리켜 보이며 서로 보고 웃었더니, 그 원은 곧 동헌으로 들어가고 파하였다. | ||
+ | |||
+ | 尙領府嘗同丁相, 監'''仁廟胎峯'''于慶尙。有咸昌倅兩相舊知也。欲勸酒而先醉, 因失溺流于座。丁相指尙相使見之, 相視而笑, 主倅因入衙而罷。|출처=『대동야승』, 「청강선생 후청쇄어(淸江先生鯸鯖瑣語) 」, 《청강선생 사제록(淸江先生思齊錄)》}} | ||
+ | |||
+ | |||
+ | ===용재집=== | ||
+ | ====『용재집』, 「행장(行狀)」,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좌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지성균관사 세자부(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世子傅) 이공(李公) 행장》==== | ||
+ | |||
+ | {{Blockquote|《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좌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지성균관사 세자부(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世子傅) 이공(李公) 행장》 | ||
+ | |||
+ | 2월에는 동지의금부사를 겸임하였고, 10월에는 세자 우부빈객을 겸임하였으며, 가을에는 '''증고사(證考使)'''가 되어 호남과 영남으로 갔다. | ||
+ | |||
+ | 二月, 兼同知義禁府事, 十月, 兼世子右副賓客, 秋, 爲'''證考使'''湖嶺二南。|출처=『용재집』, 「행장(行狀)」,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좌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지성균관사 세자부(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世子傅) 이공(李公) 행장》}}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9년 11월 12일 (화) 16:02 판
인종 태실(仁宗 胎室) | |
식별자 | PC010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인종 태실 |
한자명 | 仁宗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Injong |
피안자 명칭 | 인종(仁宗) |
피안자 이칭 | 이호(李岵)·자(字) 천윤(天胤)·효릉(孝陵) |
피안자 부 | 중종(中宗) |
피안자 모 |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尹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515.02.25 |
피안자 몰년월일 | 1545.07.01 |
안태지 기록 |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산24번지 |
안태지 좌표(위도) | 35°99'72.9"N |
안태지 좌표(경도) | 128°77'68.4"E |
문화재 지정여부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50호 |
이안 연월일 | 1929.05(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39'52.9"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51'38.0"E |
지문 | 皇明正德十年,二月二十五日戌時生,世子峼胎,正德十六年,正月十七日,午時藏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태실 인근 소재 구(舊) 인종 태실 석재군 |
태항아리 | 인종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정의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1.1 『중종실록』30권, 중종 12년(1517) 11월 23일 을미(乙未) 1번째 기사
- 2.1.2 『중종실록』30권, 중종 12년(1517) 11월 23일 을미(乙未) 2번째 기사
- 2.1.3 『중종실록』65권, 중종 24년(1529) 7월 14일 정미(丁未) 2번째 기사
- 2.1.4 『중종실록』80권, 중종 30년(1535) 9월 16일 갑술(甲戌) 4번째 기사
- 2.1.5 『중종실록』80권, 중종 30년(1535) 10월 17일 을사(乙巳) 1번째 기사
- 2.1.6 『중종실록』80권, 중종 30년(1535) 12월 16일 임인(壬寅) 1번째 기사
- 2.1.7 『중종실록』80권, 중종 30년(1535) 12월 18일 갑진(甲辰) 2번째 기사
- 2.1.8 『명종실록』3권, 명종 1년(1546) 3월 25일 임오(壬午) 4번째 기사
- 2.1.9 『명종실록』3권, 명종 1년(1546) 4월 22일 무신(戊申) 3번째 기사
- 2.1.10 『명종실록』3권, 명종 1년(1546) 4월 23일 기유(己酉) 5번째 기사
- 2.1.11 『명종실록』4권, 명종 1년(1546) 8월 4일 무자(戊子) 2번째 기사
- 2.2 연려실기술
- 2.3 대동야승
- 2.4 용재집
- 2.1 조선왕조실록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전자지도
- 6 참고 자료
- 7 주석
정의
조선의 11대 왕인 중종(中宗)과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尹氏)의 적장남이며, 조선의 제13대 왕인 명종(明宗)의 형인 조선 제12대 왕 인종 태실지 관련 정보 페이지.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30권, 중종 12년(1517) 11월 23일 을미(乙未) 1번째 기사
『중종실록』30권, 중종 12년(1517) 11월 23일 을미(乙未) 2번째 기사
『중종실록』65권, 중종 24년(1529) 7월 14일 정미(丁未) 2번째 기사
『중종실록』80권, 중종 30년(1535) 9월 16일 갑술(甲戌) 4번째 기사
『중종실록』80권, 중종 30년(1535) 10월 17일 을사(乙巳) 1번째 기사
『중종실록』80권, 중종 30년(1535) 12월 16일 임인(壬寅) 1번째 기사
『중종실록』80권, 중종 30년(1535) 12월 18일 갑진(甲辰) 2번째 기사
『명종실록』3권, 명종 1년(1546) 3월 25일 임오(壬午) 4번째 기사
『명종실록』3권, 명종 1년(1546) 4월 22일 무신(戊申) 3번째 기사
『명종실록』3권, 명종 1년(1546) 4월 23일 기유(己酉) 5번째 기사
『명종실록』4권, 명종 1년(1546) 8월 4일 무자(戊子) 2번째 기사
연려실기술
『연려실기술』18권, 「선조조 고사본말(宣祖朝故事本末)」, 《선조조명신(宣祖朝名臣)》
대동야승
『대동야승』, 「청강선생 후청쇄어(淸江先生鯸鯖瑣語) 」, 《청강선생 사제록(淸江先生思齊錄)》
용재집
『용재집』, 「행장(行狀)」,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좌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지성균관사 세자부(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世子傅) 이공(李公) 행장》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스틸샷 갤러리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禮曹), 『태봉등록(胎封謄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이규상 편,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