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친왕 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가상현실) |
||
365번째 줄: | 365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 | + | |
+ | ===파노라마===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RT/RT020/RT01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현재의 묘역==== | ====현재의 묘역==== | ||
====초장 추정지==== | ====초장 추정지==== | ||
− | |||
===갤러리=== | ===갤러리=== |
2019년 12월 17일 (화) 00:16 판
완친왕묘(完親王墓) | |
식별자 | RT026 |
---|---|
분류 | 분묘 |
한글명 | 완친왕묘 |
한자명 | 完親王墓 |
영문명 | Tomb of Prince Wan of the Empire |
피장자 명칭 | 완친왕(完親王) |
피장자 이칭 | 이선(李墡) |
피장자 부 | 고종(高宗) |
피장자 모 | 영보당(永寶堂) 이씨(李氏) |
피장자 생년월일 | 1868.윤4.10 |
피장자 몰년월일 | 1880.01.12 |
초장 연월일 | 1880.03.07 |
초장지 기록 | 양주 치남(治南) 월곡(月谷) 완친왕묘표석 |
초장지 기록1 | 양주 월곡 선원계보기략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장 연월일 | 광복 이후 |
이장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장지 좌표(위도) | 37°40'0.00"N |
이장지 좌표(경도) | 126°52'0.00"E |
지문 | 有明朝鮮國 王子 領宗正卿府事 完和君 贈諡孝憲公墓 |
지문 찬자 | 조영하(趙寧夏) |
지문 소장처 | 조선왕릉 서부지구관리소 |
목차
- 1 정의
- 1.1 조선왕조실록
- 1.1.1 『고종실록』권5, 고종 5년(1868) 윤4월 10일 정사(丁巳) 2번째 기사
- 1.1.2 『고종실록』권13,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1번째 기사
- 1.1.3 『고종실록』권13,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2번째 기사
- 1.1.4 『고종실록』권14, 고종 14년(1877) 10월 13일 갑오(甲午) 1번째 기사
- 1.1.5 『고종실록』권14, 고종 14년(1877) 10월 16일 정유(丁酉) 1번째 기사
- 1.1.6 『고종실록』권14, 고종 14년(1877) 11월 25일 병자(丙子) 1번째 기사
- 1.1.7 『고종실록』권14, 고종 14년(1877) 12월 4일 갑신(甲申) 1번째 기사
- 1.1.8 『고종실록』권17, 고종 17년(1880) 1월 12일 경진(庚辰) 1번째 기사
- 1.1.9 『고종실록』권17,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2번째 기사
- 1.1.10 『순종실록』권1, 순종 즉위년(1907) 9월 13일 1번째 기사
- 1.1.11 『순종실록』권1, 순종 즉위년(1907) 10월 1일 2번째 기사
- 1.2 승정원일기
- 1.2.1 『승정원일기』2726책(탈초본 128책), 고종 5년(1868) 윤 4월 10일 정사(丁巳) 3/21 기사
- 1.2.2 『승정원일기』2824책(탈초본 131책),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10/25 기사
- 1.2.3 『승정원일기』2824책(탈초본 131책),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13/25 기사
- 1.2.4 『승정원일기』2824책(탈초본 131책),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22/25 기사
- 1.2.5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3일 갑오(甲午) 7/18 기사
- 1.2.6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4일 을미(乙未) 19/19 기사
- 1.2.7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6일 정유(丁酉) 6/14 기사
- 1.2.8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9일 경자(庚子) 9/11 기사
- 1.2.9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9일 경자(庚子) 10/11 기사
- 1.2.10 『승정원일기』2844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1월 25일 갑자(甲子) 12/23 기사
- 1.2.11 『승정원일기』2845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2월 4일 갑신(甲申) 4/18 기사
- 1.2.12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2일 경진(庚辰) 2/24 기사
- 1.2.13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9/20 기사
- 1.2.14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10/20 기사
- 1.2.15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11/20 기사
- 1.2.16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18/20 기사
- 1.2.17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4일 임오(壬午) 2/15 기사
- 1.2.18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4일 임오(壬午) 12/15 기사
- 1.2.19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5일 계미(癸未) 2/13 기사
- 1.2.20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5일 계미(癸未) 7/13 기사
- 1.2.21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21일 기축(己丑) 10/18 기사
- 1.2.22 『승정원일기』2873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3월 7일 갑술(甲戌) 3/14 기사
- 1.2.23 『승정원일기』2873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3월 9일 병자(丙子) 2/23 기사
- 1.2.24 『승정원일기』3211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7월 18일 정미(丁未) 7/7 기사
- 1.2.25 『승정원일기』3211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7월 27일 병진(丙辰) 5/8 기사
- 1.2.26 『승정원일기』3211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7월 28일 정사(丁巳) 7/7 기사
- 1.2.27 『승정원일기』3211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7월 29일 무오(戊午) 13/20 기사
- 1.2.28 『승정원일기』3212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8월 6일 을축(乙丑) 2/18 기사
- 1.2.29 『승정원일기』3212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8월 6일 을축(乙丑) 3/18 기사
- 1.2.30 『승정원일기』3212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8월 6일 을축(乙丑) 6/18 기사
- 1.2.31 『승정원일기』3212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8월 6일 을축(乙丑) 9/18 기사
- 1.3 매천야록
- 1.4 대한계년사
- 1.5 청우일록
- 1.1 조선왕조실록
- 2 지식 관계망
- 3 시각자료
- 4 전자지도
- 5 참고 자료
- 6 주석
정의
대한제국 초대 황제 고종과 영보당 귀인 이씨 소생 완친왕 이선의 묘.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권5, 고종 5년(1868) 윤4월 10일 정사(丁巳) 2번째 기사
![]() |
《궁인 이씨가 왕자를 낳다》
전교하기를, "오늘 진시(辰時)에 궁인(宮人) 이씨(李氏)가 아들을 낳았다. 산모를 보살펴주는 등의 일을 운현궁(雲峴宮)에서 대령하라." 하였다. 敎曰: "今日辰時, 宮人李氏生男。 護産等節, 待令于雲峴宮。" |
![]() |
출처: 『고종실록』권5, 고종 5년(1868) 윤4월 10일 정사(丁巳) 2번째 기사 |
『고종실록』권13,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1번째 기사
![]() |
《왕자 이선을 완화군으로 봉하다》
전교하기를, "왕자 이선(李墡)을 완화군(完和君)으로 봉하라." 하였다. 敎曰: "王子墡, 完和君封爵。" |
![]() |
출처: 『고종실록』권13,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1번째 기사 |
『고종실록』권13,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2번째 기사
![]() |
《완화군 이선을 영종정경에 단부하다》
완화군(完和君) 이선(李墡)을 영종정경(領宗正卿)에 단부(單付)하였다. 完和君 墡, 單付領宗正卿。 |
![]() |
출처: 『고종실록』권13,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2번째 기사 |
『고종실록』권14, 고종 14년(1877) 10월 13일 갑오(甲午) 1번째 기사
『고종실록』권14, 고종 14년(1877) 10월 16일 정유(丁酉) 1번째 기사
![]() |
《완화군 이선의 관례 때 주관할 사람으로 종정경 이재면을 임명하다》
전교하기를, "완화군(完和君) 이선(李墡)의 관례(冠禮) 때 주관할 사람은 종정경(宗正卿) 이재면(李載冕)으로 하라." 하였다. 敎曰: "完和君 墡冠禮時主人, 以宗正卿李載冕爲之。" |
![]() |
출처: 『고종실록』권14, 고종 14년(1877) 10월 16일 정유(丁酉) 1번째 기사 |
『고종실록』권14, 고종 14년(1877) 11월 25일 병자(丙子) 1번째 기사
『고종실록』권14, 고종 14년(1877) 12월 4일 갑신(甲申) 1번째 기사
![]() |
《완화군 이선의 관례를 행하다》
완화군(完和君) 이선(李墡)의 관례(冠禮)를 행하였다. 行完和君 墡冠禮。 |
![]() |
출처: 『고종실록』권14, 고종 14년(1877) 12월 4일 갑신(甲申) 1번째 기사 |
『고종실록』권17, 고종 17년(1880) 1월 12일 경진(庚辰) 1번째 기사
『고종실록』권17,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2번째 기사
![]() |
《완화군 이선에게 효헌이라는 시호를 내리다》
완화군(完和君) 이선(李墡)에게 ‘효헌(孝憲)’이라는 시호(諡號)를 내렸다. 贈諡完和君 墡孝憲。 |
![]() |
출처: 『고종실록』권17,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2번째 기사 |
『순종실록』권1, 순종 즉위년(1907) 9월 13일 1번째 기사
『순종실록』권1, 순종 즉위년(1907) 10월 1일 2번째 기사
![]() |
《완화군 이선을 완왕으로 추후하여 봉하다》
정사(正使) 완평군(完平君) 이승응(李昇應)과 부사(副使) 정2품 조동희(趙同熙)를 보내어 완왕(完王)을 추봉(追封)하고 이승응(李昇應)에게 치제(致祭)하라고 명하였다. 遣正使完平君 李昇應、副使正二品趙同熙, 追封完王, 命昇應致祭。 |
![]() |
출처: 『순종실록』권1, 순종 즉위년(1907) 10월 1일 2번째 기사 |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2726책(탈초본 128책), 고종 5년(1868) 윤 4월 10일 정사(丁巳) 3/21 기사
『승정원일기』2824책(탈초본 131책),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10/25 기사
![]() |
전교하기를,“왕자 이선(李墡)을 완화군(完和君)에 봉작하도록 비의하라.” 하였다.
傳曰, 王子墡, 完和君封爵下批。 |
![]() |
출처: 『승정원일기』2824책(탈초본 131책),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10/25 기사 |
『승정원일기』2824책(탈초본 131책),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13/25 기사
![]() |
정원이 아뢰기를, “왕자 이선을 완화군에 봉작하는 일을 비의하도록 하명하셨습니다. 정관을 패초하여 정사를 여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윤허한다고 전교하였다.
政院啓曰, 王子墡, 完和君封爵下批事, 命下矣。 政官牌招開政, 何如? 傳曰, 允。 |
![]() |
출처: 『승정원일기』2824책(탈초본 131책),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13/25 기사 |
『승정원일기』2824책(탈초본 131책), 고종 13년(1876) 4월 10일 신미(辛未) 22/25 기사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3일 갑오(甲午) 7/18 기사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4일 을미(乙未) 19/19 기사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6일 정유(丁酉) 6/14 기사
![]() |
심상목에게 전교하기를, “완화군 선(完和君墡)의 관례(冠禮) 때 주인(主人)은 종정경 이재면(李載冕)으로 하라고 분부하라.” 하였다.
傳于沈相穆曰, 完和君墡冠禮時, 主人以宗正卿李載冕爲之事, 分付。 |
![]() |
출처: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6일 정유(丁酉) 6/14 기사 |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9일 경자(庚子) 9/11 기사
『승정원일기』2843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0월 19일 경자(庚子) 10/11 기사
『승정원일기』2844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1월 25일 갑자(甲子) 12/23 기사
『승정원일기』2845책(탈초본 132책), 고종 14년(1877) 12월 4일 갑신(甲申) 4/18 기사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2일 경진(庚辰) 2/24 기사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9/20 기사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10/20 기사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11/20 기사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18/20 기사
![]() |
이원명(李源命)을 판의금부사로 삼았다. 완화군 선의 시망은 효헌(孝憲)으로 하였다.
以李源命爲判義禁, 完和君墡諡望爲孝憲。 |
![]() |
출처: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3일 신사(辛巳) 18/20 기사 |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4일 임오(壬午) 2/15 기사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4일 임오(壬午) 12/15 기사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5일 계미(癸未) 2/13 기사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5일 계미(癸未) 7/13 기사
![]() |
또 아뢰기를, “신 정직조가 오늘 완화군 선의 상에 성복하는 데에 치조(致弔)하러 나아가기 위하여 하직합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又啓曰, 臣稷朝, 今日完和君墡喪成服, 致弔進去, 下直之意, 敢啓。 傳曰, 知道。 |
![]() |
출처: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15일 계미(癸未) 7/13 기사 |
『승정원일기』2871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1월 21일 기축(己丑) 10/18 기사
『승정원일기』2873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3월 7일 갑술(甲戌) 3/14 기사
『승정원일기』2873책(탈초본 132책), 고종 17년(1880) 3월 9일 병자(丙子) 2/23 기사
『승정원일기』3211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7월 18일 정미(丁未) 7/7 기사
『승정원일기』3211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7월 27일 병진(丙辰) 5/8 기사
『승정원일기』3211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7월 28일 정사(丁巳) 7/7 기사
『승정원일기』3211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7월 29일 무오(戊午) 13/20 기사
![]() |
또 아뢰기를, “완화군을 왕으로 추봉하는 길일을 언제쯤 추택 하겠습니까? 감히 아룁니다.” 하니, 봉지에 이르기를, “음력 8월 20일 이후로 추택하여 올리라.” 하였다.
又奏, 完和君追封王吉日, 以何間推擇乎? 敢奏。 奉旨, 陰曆來月念後擇入。 |
![]() |
출처: 『승정원일기』3211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7월 29일 무오(戊午) 13/20 기사 |
『승정원일기』3212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8월 6일 을축(乙丑) 2/18 기사
『승정원일기』3212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8월 6일 을축(乙丑) 3/18 기사
『승정원일기』3212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8월 6일 을축(乙丑) 6/18 기사
『승정원일기』3212책(탈초본 141책), 순종 1년(1907) 8월 6일 을축(乙丑) 9/18 기사
매천야록
『매천야록』권1
『매천야록』권1
대한계년사
『대한계년사』권8, 순종황제 융희원년 정미(自8월)
![]() |
追封興宣大院君爲大院王, 完和君墡爲完王, 封李埈鎔爲永宣君。 十三日舊曆八月初六日 追封興宣大院君昰應, 爲興宣大院王, 贈諡獻懿, 驪興府大夫人閔氏爲王妃, 贈諡純穆, 完和君墡爲完王, 封義王堈妻延原郡夫人爲王妃, 李埈鎔爲永宣君。 | ![]() |
출처: 『대한계년사』권8, 순종황제 융희원년 정미(自8월) |
청우일록
『청우일록』병자(고종 13, 1876), 정월
![]() |
王子墡完和君封爵, 王子生朝日, 傳曰, 王子墡, 完和君封爵, 政院啓曰, 王子完和君墡, 封爵下批事命下矣, 政官牌招何如, 傳曰允, 吏判閔奎鎬, 叅判成彛鎬, 叅議李有榮。 | ![]() |
출처: 『청우일록』병자(고종 13, 1876), 정월 |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현재의 묘역
초장 추정지
갤러리
동영상
전자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