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한설야

Intellectuals in Modern Korea


한설야(韓雪野)
한설야 초상화 - 변월룡 그림(1953).jpg
대표명칭 한설야
한자표기 韓雪野
영문명칭 Han Sorya, Han Seol-ya, Han Sol-ya
생몰년 1900년-1976년
이칭 한병도(韓秉道:본명), H생(필명), 김덕혜(필명) 등
출생지 함경남도 함주군
국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저서 황혼, 한설야단편집, 한설야선집
대표직함 조선프롤레테라아예술동맹 맹원, 동아일보 기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작가동맹 위원장, 조선 평화옹호전국민족위원회 위원장
한직연(韓稷淵)
전주 이씨 안풍대군파(安豊大君派) 이병유(李炳裕)의 딸
자녀 한록손, 한형원, 한욱 등
유형 소설가, 평론가, 정치인, 기자,



인물 목록으로 가기

목차

질문, Question

개요, Outline

연보, Annals

1900년, 01

1906년, 07

1910년, 11

1914년, 15

  • 1914xxxx일: 보통학교 우등으로 졸업. 아버지를 따라 상경. 경성고등보통학교기관(전 제일고보, 후 경기중학)에 무시험으로 입학. 동창인 박헌영(朴憲永)인물과 청년회관 영어과(야학)에 다녔지만 영화에 빠져 오래 다니지는 못함.
    〔출처: 한설야, 「나의 이력서-고난기」, 『조광』, 1938.10 .〕

1917년, 18

  • 1917xxxx일: 고등보통학교 4학년 때 서모와의 불화로 서울을 떠나 함흥고보(함흥고등보통학교)기관(후 함남중학)로 전학.
    〔출처: 한설야, 「나의 이력서-고난기」, 『조광』, 1938.10 .〕

1919년, 20

1920년, 21

  • 1920xxxx일: 형을 따라 북경공간으로 건너감. 형에게 중국어를 배움. 당시 지나(중국) 비행계에 이름이 높던 서사보(徐四甫)인물(본명 양국일)의 소개로 지나 육군성 관사인 모 조선인 집의 서생으로 들어감. 철도국원이었던 그 집 둘째아들의 번역일을 대신해주며 생활비를 벌었음. 여가 시간에는 야학 수준의 작은 학교인익지영문학교(益智英文學校)기관를 다님. 이때부터 사회과학을 보기 시작함.
    〔출처: 한설야, 「나의 이력서-고난기」, 『조광』, 1938.10 .〕

1921년, 22

  • 1921xxxx일: 잠시 조선에 들어왔다가 한 여인과 사랑에 빠지지만 실연의 아픔을 겪게 됨. 이후 동경공간으로 건너 가 니혼대학(일본대학)기관 사회학과에 입학. 딸 한록손(韓祿孫)인물 출생 (綠孫, 祿孫, 祿媛 이름의 표기가 다 다르나, 한설야의 글에는 祿孫으로 되어 있음.)(1940년 20세를 기준으로 추정)
    〔출처: 한설야, 「나의 이력서-고난기」, 『조광』, 1938.10 .〕〔한설야, 「처녀장편의 여히로인」, 『신동아』, 1936.07〕〔한설야, 「아비의 심경」, 『여성』, 1939.04. 〕〔채정근, 「한양자상범 공판기」, 『여성』, 1940.02.〕

1923년, 24

1924년, 25

1925년, 26


1926년, 27

1927년, 28

1928년, 29

1931년, 32

  • 1931xxxx일: 서울에 가서 대조문헌를 속간하여 단독으로 2호를 냄.
    〔출처: 한설야, 「나의 이력서-고난기」, 『조광』, 1938.10 .〕

1932년, 33

  • 1932xxxx일: 조선지광사기업에 입사하여 신계단문헌 편집을 맡아 봄.
    〔출처: 한설야, 「나의 이력서-고난기」, 『조광』, 1938.10 .〕

1933년, 34

  • 1933xxxx일: 조선일보사기업에 입사하여 학예부 편집을 봄.
    〔출처: 한설야, 「나의 이력서-고난기」, 『조광』, 1938.10 .〕

1934년, 35

1935년, 36

  • 19351209일: 전주지방법원기관에서 신건설사 사건사건의 1심 판결 언도 공판. 1년 징역 집행유예 3년 언도.
    〔출처: 『조선중앙일보』 1935.12.10 〕
  • 19351218일: 아침에 출감하여 곧바로 상경함. 신문 인터뷰도 함.
    〔출처: 한설야, 「나의 이력서-고난기」, 『조광』, 1938.10 .〕

1936년, 37

  • 1936xxxx일: 조선일보신문에 장편 황혼말글 발표.
    〔출처: 한설야, 「나의 이력서-고난기」, 『조광』, 1938.10 .〕

1937년, 38

  • 1937xxxx일: 동아일보신문에 장편 청춘기말글 발표.
    〔출처: 한설야, 「나의 이력서-고난기」, 『조광』, 1938.10 .〕

1938년, 39

1939년, 40

1940년, 41

1941년, 42

1942년, 43

1943년, 44

1944년, 45

1945년, 46

1946년, 47

1947년, 48

  • 19470724일: 소련 방문길에 오름 (일행 2명 더).
    〔출처: 레뽀르따쥬 쏘련려행기(1948.12. 교육성 발행)〕
  • 19470804일: 조선 유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도시 이루꾸쯔꾸공간에 도착함. 유학 1년차 조선유학생 19명과 만남.
    〔출처: 『레뽀르따쥬 쏘련려행기』(1948.12. 교육성 발행)〕
  • 19470807일: 똠쓰크공간에 도착. 조선유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공과대학기관 방문. 그곳에서 유학중인 조선유학생 39명과 만남.
    〔출처: 『레뽀르따쥬 쏘련려행기』(1948.12. 교육성 발행)〕
  • 19470811일: 스웰드르브쓰크공간 도착. 산업대학기관 방문. 그곳에서 유학중인 아들 한욱인물을 만남. (산업대학에 조선유학생 120명 광산대학에 37명 유학중)
    〔출처: 『레뽀르따쥬 쏘련려행기』(1948.12. 교육성 발행)〕
  • 19470812일: 까잔공간 도착. 법률대학기관 방문. (조선유학생 10명 유학중)
    〔출처: 『레뽀르따쥬 쏘련려행기』(1948.12. 교육성 발행)〕
  • 19470925일: 평양역공간 도착.
    〔출처: 『레뽀르따쥬 쏘련려행기』(1948.12. 교육성 발행)〕

1948년, 49

1949년, 50

1950년, 51

  • 19500501일: 5.1절 기념 평양시 군중대회사건에 참석하여 주석단에 오름. (평화옹호전국민족위원회 위원장)
    〔출처: 『로동신문』 1950.05.02.〕

1951년, 52

  • 19510310일: 조선문학예술총동맹단체 결성.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됨.
    〔출처: 『조선문학』 1951.04.〕
  • 19510426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국기훈장(제2급) 수상.
    〔출처: 『조선문학』 1951.04.〕

1953년, 54

1956년, 57

1957년, 58

1958년, 59

1960년, 61

  • 19600912일: 인민상 수상.
    〔출처: 『문학신문』 1960.09.13.〕

1962년, 63

1963년, 64

1976년, 77

xxxx년,

데이터, Data


노드 데이터, Node Data


인물, Person


단체, Group

예맹(카프)단체, 조선문학예술총동맹단체, 조선작가동맹단체


기업, Company

동아일보기업, 조선일보지국기업, 조선일보사기업, 동명극장 기업, 조선지광사기업


기관, Institution

함흥군 공립 보통학교기관, 경성고등보통학교기관, 함흥고보(함흥고등보통학교)기관, 익지영문학교(益智英文學校)기관, 니혼대학(일본대학)기관, 북청고보학술강습소(北靑高普學術講習所)기관, 전주형무소기관, 공과대학기관, 산업대학기관, 법률대학기관


공간, Location

함흥부 외 농촌 나촌공간, 함경남도 함주군 주서면 하구리 503번지공간, 북경공간, 동경공간, 북청공간, 만주 무순(撫順)공간, 서울공간, 함흥공간, 평양공간, 평안남도 평양시 중성리 98번지공간, 이루꾸쯔꾸공간, 똠쓰크공간, 스웰드르브쓰크공간, 까잔공간, 평양역공간, 파리공간, 프라하공간, 뉴델리공간, 카이로공간, 타슈켄트공간, 애국열사릉(愛國烈士陵)공간

사건, Event

관동대지진사건, 북청사건사건, 신건설사 사건(新建設社事件)사건, 아서원 좌담회사건, 봉황각 좌담회사건, 북조선 각 정당‧사회단체, 행정국 및 각 도‧시‧군인민위원회 대표 확대협의회사건, 북조선로동당 제2차 대회사건, 평화옹호세계대회사건, 5.1절 기념 평양시 군중대회사건, 제1차 전국 작가 예술가 대회사건, 제2차 조선작가대회사건, 아세아 작가대회사건, 아세아 아프리카 단결 회의사건, 아세아 및 아프리카 제국 작가회의사건


말글, Writing

그날밤말글, 황혼말글, 청춘기말글, 열풍말글, 해바라기말글, 계급대립과 계급문학말글, 오호 서왈보공말글, 계급문학에 관하여말글, 프로예술의 선언말글, 권구현 군의 일월 창작작평의 중간파적 태도를 박함말글, 무산문예가의 입장에서 김화산 군의 허구문예론말글, 문예의 비평의 과학적 태도말글, 합숙소의 밤말글, 예술의 유물사론(속)말글, 1928년의 대중간의 문예관계는 엇더케 진전될가말글, 홍수말글, 작가 한설야론(상,중,하)말글, 모색말글, 문학풍토기-함흥편말글, 파도말글, 천단 북경통신말글, 신간평말글, 이녕말글, 술집말글, 종두말글, 나의 생명의 연수(나의 문학 십년기)말글, 북경통신 만수산기행말글, 류전말글


저서, Volume

조선지광192603저서, 조선지광192801저서, 인문평론194003저서, 인문평론194005저서, 인문평론194010저서, 인문평론194104저서, 문장193905저서, 문장193905저서, 문장193907저서, 문장193908저서, 문장194002저서, 문장194009저서, 문장194104저서


문헌, Book

조선지광문헌, 예술운동문헌, 대조문헌, 신계단문헌, 인문평론문헌, 문학의 이론문헌, 문장문헌

신문, Newspaper

만주일일신문신문, 조선일보신문, 동아일보신문


엣지 데이터, Edge Data


인물 Person인물 Person

hasSon


hasDaughter


인물 Person시간 Time

isBornIn


diedOn


인물 Person공간 Location

isBornAt


visits


isBuriedAt


인물 Person단체 Group

isMemberOf


인물 Person기업 Company

worksAt


인물 Person기관 Institution

gradutes


worksAt



인물 Person사건 Event

isRelatedTo



저서 Volume문헌 Book

isEditionOf


말글 Writing저서 Volume

isContainedIn


isRelatedTo


저서 Volume인물 Person

author


말글 Writing인물 Person

author


말글 Writing신문 Newspaper

isContainedIn

참고자료, Reference

단행본, Volume

학위논문, Thesis

타임맵, Tim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