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중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71번째 줄: 71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html>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제중원"></iframe><br/>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제중원'">
+
{{SemanticGraph | key=제중원}}
</html>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Place]] [[분류:김지영]]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Place]] [[분류:김지영]]

2023년 6월 8일 (목) 13:02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미국 북장로교 의료선교사 알렌의 건의로 1885년 4월 10일 조선 정부가 세운 최초의 서양식 공립병원. 명칭이 광혜원에서 제중원으로 바뀌었다. 미국 대리공사 포크와 민영익의 협조를 받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소속 의료기관으로 시작하였다. 1885년 5월에는 선혜청이 혜민서활인서에 지급하던 재정을 제중원으로 귀속시켰다. 조선시대 서민의 의료와 구제를 담당하던 혜민서와 활인서의 역할을 계승한 의료기관이었다. 여성진료를 위해 제중원_부녀과가 신설되었고, 한국인 의사를 배출하기 위해 제중원_의학당을 운영하였다. 역대 제중원 원장은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들이 맡았다. 제중원은 처음에 재동에 있던 홍영식의 집을 활용하였고, 구리개로 확장 이전하였다. 에비슨 원장 때 세브란스의 후원으로 남대문 밖 복숭아골에 서양식 신축건물을 세워 세브란스병원을 개원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제중원 Place 병원 제중원(濟衆院) 제중원 濟衆院 House of Universal Helpfulness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제중원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제중원 광혜원 isSameAs
제중원 호레이스_뉴턴_알렌 contributor
제중원 재동_제중원 formerLocation 재동 제중원
제중원 구리개_제중원 formerLocation 구리개 제중원
세브란스병원 제중원 isNewNameOf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중원 administrates
제중원 제중원_부녀과 hasPart
제중원 제중원_의학당 hasPart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중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479
해설 위키실록사전 제중원(濟衆院)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제중원(濟衆院)
해설 위키백과 제중원 https://ko.wikipedia.org/wiki/제중원
원문 승정원일기 고종 22년 3월 7일: 제중원 제중원 설립과 관원 http://sjw.history.go.kr/id/SJW-K22030070-01200
원문 조선왕조실록 고종 22년 2월 29일: 광혜원을 설치하도록 하다 광혜원 설치 http://sillok.history.go.kr/id/kza_12202029_001
원문 조선왕조실록 고종 22년 3월 12일: 광혜원을 제중원으로 개칭하다 광혜원을 제중원으로 개칭 http://sillok.history.go.kr/id/kza_12203012_001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이만열, 『한국기독교의료사』, 아카넷, 2003.
논문 최은경, 「선교사 편지로 본 제중원 운영권 이관과 환수(1890~1905)」, 『사회와 역사』 111, 한국사회사학회, 201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55231
논문 신규환, 「한중선교병원의 '정체성' 논쟁 비교 연구:제중원과 시병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172, 연세대국학연구원, 2015.1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73786
단행본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엮음, 『제중원 130년과 근대의학』, 역사공간, 2016.
단행본 신규환‧박윤재, 『제중원‧ 세브란스 이야기』, 역사공간, 2015.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