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기록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21번째 줄: 21번째 줄:
 
| [[본영도형]] || Object ||  ||  || 본영도형(本營圖形) || 본영도형 || 本營圖形 ||  ||  || <html><img height=5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기록화/PIC70AD.png"/></html> || 구현회 ||  || 2022
 
| [[본영도형]] || Object ||  ||  || 본영도형(本營圖形) || 본영도형 || 本營圖形 ||  ||  || <html><img height=5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기록화/PIC70AD.png"/></html> || 구현회 ||  || 2022
 
|-
 
|-
| [[본영도형]] || Object ||  ||  || 본영도형(本營圖形) || 본영도형 || || 本營圖形 ||  || <html><img height=5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기록화/PIC70FC.png"/></html> || 구현회 ||  || 2022
+
| [[본영도형]] || Object ||  ||  || 본영도형(本營圖形) || 본영도형 || 本營圖形 || ||  || <html><img height=5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기록화/PIC70FC.png"/></html> || 구현회 ||  || 2022
 
|-
 
|-
 
| [[인정전급부속건물평면도]] || Object ||  ||  || 인정전급부속건물평면도(仁政殿及付屬建物平面圖) || 인정전급부속건물평면도 || 仁政殿及付屬建物平面圖 ||  ||  || <html><img height=5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기록화/PIC713B.png"/></html> || 구현회 ||  || 2022
 
| [[인정전급부속건물평면도]] || Object ||  ||  || 인정전급부속건물평면도(仁政殿及付屬建物平面圖) || 인정전급부속건물평면도 || 仁政殿及付屬建物平面圖 ||  ||  || <html><img height=5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기록화/PIC713B.png"/></html> || 구현회 ||  || 2022

2022년 8월 12일 (금) 14:00 판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remark project
도성대지도 Object 지도 도성대지도(都城大地圖) 도성대지도 都城大地圖 구현회 2022
천하도 Object 지도 천하도(天下圖)-한양도(漢陽圖) 천하도 天下圖 구현회 2022
조선성시도 Object 지도 조선성시도(朝鮮城市圖) 조선성시도 朝鮮城市圖 구현회 2022
대동여지도 Object 지도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경조오부도(京兆五部圖)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구현회 2022
동여도 Object 지도 동여도(東與圖) 동여도 東與圖 구현회 2022
슈션전도 Object 지도 슈션전도(首善全圖) 슈션전도 首善全圖 구현회 2022
동궐도 Object 궁궐도 동궐도(東闕圖) 동궐도 東闕圖 구현회 2022
동궐도형 Object 동궐도형(東闕圖形) 동궐도형 東闕圖形 구현회 2022
본영도형 Object 본영도형(本營圖形) 본영도형 本營圖形 구현회 2022
본영도형 Object 본영도형(本營圖形) 본영도형 本營圖形 구현회 2022
인정전급부속건물평면도 Object 인정전급부속건물평면도(仁政殿及付屬建物平面圖) 인정전급부속건물평면도 仁政殿及付屬建物平面圖 구현회 2022
궁내부청사신축정면건도 Object 궁내부청사신축정면건도(宮內府廳舍新築正面建圖) 궁내부청사신축정면건도 宮內府廳舍新築正面建圖 구현회 2022
궁궐양관응접실 Object 궁궐양관응접실(宮闕洋館應接室) 스케치 궁궐양관응접실 宮闕洋館應接室 구현회 2022
내부장식도 Object 내부장식도(內部裝飾圖) 내부장식도 內部裝飾圖 구현회 2022
대조전정원평면도 Object 대조전정원평면도(大造殿庭園平面圖) 대조전정원평면도 大造殿庭園平面圖 구현회 2022
제실박물관신축계획도 Object 제실박물관신축계획도(帝室博物館新築計畫圖) 제실박물관신축계획도 帝室博物館新築計畫圖 구현회 2022
갑인춘친정계첩 Object 궁중기록화 갑인춘친정계첩(甲寅春親政契帖) 갑인춘친정계첩 甲寅春親政契帖 구현회 2022
기축진찬도병 Object 궁중기록화 기축진찬도병(己丑進饌圖屛) 기축진찬도병 己丑進饌圖屛 구현회 2022
헌종가례진하도병 Object 궁중기록화 헌종가례진하도병(憲宗嘉禮進賀圖屛) 헌종가례진하도병 憲宗嘉禮進賀圖屛 구현회 2022
무신진찬도병 Object 궁중기록화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무신진찬도병 戊申進饌圖屛 구현회 2022
왕세자두후평복진하계병 Object 궁중기록화 왕세자두후평복진하계병(王世子痘候平復陳賀禊屛) 왕세자두후평복진하계병 王世子痘候平復陳賀禊屛 구현회 2022
정해진찬도병 Object 궁중기록화 정해진찬도병(丁亥進饌圖屛) 정해진찬도병 丁亥進饌圖屛 구현회 2022
신축진찬도병 Object 궁중기록화 신축진찬도병(辛丑進饌圖屛) 신축진찬도병 辛丑進饌圖屛 구현회 2022
신축진연도병 Object 궁중기록화 신축진연도병(辛丑進宴圖屛) 신축진연도병 辛丑進宴圖屛 구현회 2022
고종임인진연도병 Object 궁중기록화 고종임인진연도병(高宗壬寅進宴圖屛) 고종임인진연도병 高宗壬寅進宴圖屛 구현회 2022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Object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발인반차도>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구현회 2022
대사례도 Object 궁중기록화 대사례도(大射禮圖) 대사례도 大射禮圖 구현회 2022
종친부사연도 Object 궁중기록화 종친부사연도(宗親府賜宴圖) 종친부사연도 宗親府賜宴圖 구현회 2022
명묘조서총대시예도 Object 궁중기록화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蔥臺試藝圖) 명묘조서총대시예도 明廟朝瑞蔥臺試藝圖 구현회 2022
선묘조제재경수연도 Object 궁중기록화 선묘조제재경수연도(宣廟朝諸宰慶壽宴圖) 선묘조제재경수연도 宣廟朝諸宰慶壽宴圖 구현회 2022
어제준천제명첩 Object 궁중기록화 어제준천제명첩(御製濬川題名帖) 어제준천제명첩 御製濬川題名帖 구현회 2022
서총대첩 Object 궁중기록화 서총대첩(瑞蔥臺帖) 서총대첩 瑞蔥臺帖 구현회 2022
준천당랑시사연구첩 Object 궁중기록화 준천당랑시사연구첩(濬川堂郎試射聯句帖) 준천당랑시사연구첩 濬川堂郎試射聯句帖 구현회 2022
왕세자입학도첩 Object 궁중기록화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 왕세자입학도첩 王世子入學圖帖 구현회 2022
성균관친림강론도 Object 궁중기록화 성균관친림강론도(成均館親臨講論圖) 성균관친림강론도 成均館親臨講論圖 구현회 2022
군국기무소회의도 Object 군국기무소회의도(軍國機務所會議圖) 군국기무소회의도 軍國機務所會議圖 구현회 2022
조일통상조약기념연회도 Object 조일통상조약기념연회도(朝日通商條約紀念宴會圖) 조일통상조약기념연회도 朝日通商條約紀念宴會圖 구현회 2022
이원기로계첩 Object 계회도 이원기로계첩(梨園耆老稧帖) 이원기로계첩 梨園耆老稧帖 구현회 2022
태학계첩 Object 태학계첩(太學契帖) 태학계첩 太學契帖 구현회 2022
규장각도 Object 규장각도(奎章閣圖) 규장각도 奎章閣圖 구현회 2022
사복시전곶목장지도 Object 사복시전곶목장지도(司僕寺箭串牧場地圖) 사복시전곶목장지도 司僕寺箭串牧場地圖 구현회 2022
북일영도 Object 북일영도(北一營圖) 북일영도 北一營圖 구현회 2022
남소영도 Object 남소영도(南小營圖) 남소영도 南小營圖 구현회 2022
동문조도 Object 동문조도(東門祖圖) 동문조도 東門祖圖 구현회 2022
동소문도 Object 동소문도(東小門圖) 동소문도 東小門圖 구현회 2022
수문상친림관역도 Object 수문상친림관역도(水門上親臨觀役圖) 수문상친림관역도 水門上親臨觀役圖 구현회 2022
서울풍경 Object 서울풍경 서울풍경 구현회 2022
이태왕전하장의사진첩 Object 이태왕전하장의사진첩(李太王殿下葬儀寫眞帖) 이태왕전하장의사진첩 李太王殿下葬儀寫眞帖 구현회 2022
순종국장록 Object 순종국장록(純宗國葬錄) 순종국장록 純宗國葬錄 구현회 2022

지도

1


  • Image File Name: img978.jpg 가로 1615pixel, 세로 2134pixel
  • 도성대지도(都城大地圖)
  • 1754-1764년, 지본채색, 188×213㎝, 서울역사박물관
  • 한양도성을 그린 가장 정밀하고 상세한 지도. 도성 안의 시가지나 도로, 개천의 표시가 정확히 표현됨.

2


  • Image File Name: img980.jpg 가로 1977pixel, 세로 1444pixel
  • 천하도(天下圖)-한양도(漢陽圖)
  • 1822년, 지본채색, 25.3×35㎝,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의 주요 산천, 궁궐, 성곽, 4대문과 4소문, 종루, 성균관, 5부, 6조, 한강변의 나루와 섬 등을 간결하게 묘사한 지도.

3


  • Image File Name: img981.jpg 가로 2153pixel, 세로 1708pixel
  • 조선성시도(朝鮮城市圖)
  • 1830년, 지본채색, 63×83.2㎝, 서울역사박물관
  • 한양을 그린 도성도로 도성과 북한산성, 탕춘대성, 4대문과 4소문 등이 그려져 있고, 도성내 삼군문의 분계를 묵선으로 표시한 지도

4


  • Image File Name: img982.jpg 가로 2202pixel, 세로 1708pixel
  •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경조오부도(京兆五部圖)
  • 1861년, 목판채색, 29.9×40㎝, 서울역사박물관
  • 1861년 김정호가 校刊한 《대동여지도》의 제1첩에 그려진 서울 도성 안팎의 지도

5


  • Image File Name: img984.jpg 가로 2050pixel, 세로 1571pixel
  • 동여도(東與圖)
  • 1852-1872년, 지본채색, 30.5×40㎝, 서울역사박물관
  • 조선말기의 김정호가 만든 전국지도. 《대동여지도》와 유사하나 목판본인데 비해 《동여도》는 채색필사본이고, 2첩이 더 많음.

6


  • Image File Name: img983.jpg 가로 2202pixel, 세로 1708pixel
  • 슈션전도(首善全圖)
  • 1892년경, 지본채색, 99×70㎝, 연세대박물관
  • 미국인 서교사들이 사용하던 서울 지도. 고려대학교 소장본을 보고 펜으로 모사한 것으로 추정됨.

궁궐도

7


  • Image File Name: img001.jpg 가로 1453pixel, 세로 2129pixel
  • 동궐도(東闕圖)
  • 1826(순조 26)~1830(순조 30), 견본채색, 273×584㎝, 고려대박물관
  • 동궐도는 크기, 구도, 화풍이 거의 동일한 두 작품이 고려대학교박물관과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에 1점씩 소장되어 있다.

8


  • Image File Name: 134726.png 가로 778pixel, 세로 539pixel
  • 동궐도형(東闕圖形)
  • 1907년, 종이에 필사, 344.0×59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4364)
  • 1907년(융희 1) 이후 昌德宮과 昌慶宮의 건물 및 大門의 배치와 畓, 蓮池 등을 그린 평면도. 井間 위에 건물과 지형을 평면도로 작성하였다.

9


  • Image File Name: 135842.png 가로 438pixel, 세로 743pixel
  • 본영도형(本營圖形)
  • 1799년, 지본채색, 195.8×111.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서울에 있던 장용영 본영의 건물배치도. 이현궁의 옛 건물을 사용하면서 공간이 필요할 때마다 확장함. 증축의 내용과 변화를 기록하기 위해 제작(K4366)

10


  • Image File Name: 화면 캡처 2022-04-11 135919.png"/>
    </html>
  • #####3:가로 488pixel, 세로 743pixel
  • 본영도형(本營圖形)
  • 1787-1801년, 종이에 필사, 193.2×123.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4365)
  • 장용영의 內營을 圖形으로 그린 평면도. 붉은 먹선으로 井間을 표시한 뒤에 격자 1間을 간격으로 공간을 배치하여 해당 공간의 명칭과 室房의 용도를 적는 형태를 취하였다.

11


  • Image File Name: 그림1.jpg 가로 1792pixel, 세로 1518pixel
  • 인정전급부속건물평면도(仁政殿及付屬建物平面圖)
  • 1907-1908년, 양지, 68×101.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인정전 일곽의 여러 시설을 그린 도면. 인정전, 동행각, 서행각, 인정문 중심과 기단 중심을 잇는 길과 계단, 길 좌우의 품계석 12줄, 인정전 기단 서쪽 아래의 우물 등이 그려져 있다. 

12


  • Image File Name: --320220411_104308.jpg 가로 4346pixel, 세로 2096pixel
  • 궁내부청사신축정면건도(宮內府廳舍新築正面建圖)
  • 1909년, 천, 43×91.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궁내부 청사의 정면을 축척 1/100로 천에 그린 도면. 2층 건물에 팔작지붕을 얹은 모습이며, 몸채 1층 중앙에는 1칸 규모 1충 높이의 현관을 둔 것이 특징이다.

13


  • Image File Name: --320220411_104411.jpg 가로 3374pixel, 세로 2582pixel
  • 궁궐양관응접실(宮闕洋館應接室) 스케치
  • 연대미상, 양지, 53×6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궁궐 양관 응접실의 실내를 일점투시도법으로 그린 스케치. 전면과 향좌측의 창에는 커튼 박스와 커튼이 설치되어 있고, 향우측 벽에는 벽난로 2개가 설치되어 있음.

14


  • Image File Name: --320220411_104435.jpg 가로 2831pixel, 세로 2582pixel
  • 내부장식도(內部裝飾圖)
  • 연대미상, 양지, 70.8×51.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커튼을 설치했을 때의 모습을 가상해서 그린 스케치에 채색을 한 그림. 3중으로 설치된 커튼 중에 푸른색을 칠한 가운데 커튼에는 이화문양을 중심에 배치한 것이 특징

15


  • Image File Name: --320220411_104520.jpg 가로 3294pixel, 세로 2582pixel
  • 대조전정원평면도(大造殿庭園平面圖)
  • 연대미상, 양지, 73.2×89.6㎝,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제목이 ‘정원평면도’로 되어있으나 실제로는 나무, 폭포, 정자, 초가집 등 경물을 산수 사이에 실감나게 배치하여 그린 도면.

16


  • Image File Name: --320220411_104637.jpg 가로 3835pixel, 세로 2530pixel
  • 제실박물관신축계획도(帝室博物館新築計畫圖)
  • 1910년, 청사진, 61.8×9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창경궁 자경전 터에 신축할 예정인 제실박물관에 대한 도면. 1/00의 축척으로 그린 도면의 청사진

궁중기록화


  • Image File Name: img009.jpg 가로 1375pixel, 세로 1057pixel
  • 갑인춘친정계첩(甲寅春親政契帖)
  • 1734년, 견본채색, 29.2×44.5㎝, 동아대박물관
  • 영조가 1734년 2월 9일과 10일 이틀 동안 희정당에서 행한 인사행정 업무인 친정을 행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18


  • Image File Name: 기축진찬도.jpg 가로 1097pixel, 세로 796pixel
  • 기축진찬도병(己丑進饌圖屛)
  • 1829년, 8첩 병풍, 견본채색, 150×413.0㎝, 국립중앙박물관
  • 순조의 聖壽 40년, 등극 30주년을 기념하여 효명세자가 창경궁에서 올린 진찬례 장면을 그린 그림.

19


  • Image File Name: img003[회전.jpg 가로 2354pixel, 세로 1297pixel
  • 헌종가례진하도병(憲宗嘉禮進賀圖屛)
  • 1844년, 견본채색, 각 114.2×51.5㎝, 국립중앙박물관
  • 1844년 10월 헌종이 계비 孝定王后( 1831~1903)를 맞이하여 가례를 올린 뒤 진하를 받는 장면을 그린 그림.

20


  • Image File Name: 무신진찬도.jpg 가로 1085pixel, 세로 778pixel
  •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 1848년, 8첩 병풍, 견본채색, 각 136.1×47.6㎝, 국립전주박물관
  • 대왕대비(순원왕후 김씨) 六旬과 왕대비 神貞王后 趙氏의 望五(41세)를 기념하기 위하여 창경궁에서 거행된 진찬 장면을 그린 그림

21


  • Image File Name: 8.왕세자두후평복진하계병.jpg 가로 1776pixel, 세로 619pixel
  • 왕세자두후평복진하계병(王世子痘候平復陳賀禊屛)
  • 1879년, 10첩 병풍, 비단에 채색, 170×383㎝, 고려대학교박물관
  • 1789년(고종 16) 12월, 왕세자[순종]가 천연두를 앓던 중 극적으로 회복되자 이를 기념하여 오위도총부의 관리들이 제작한 병풍

22


  • Image File Name: 정해진찬.jpg 가로 424pixel, 세로 658pixel
  • 정해진찬도병(丁亥進饌圖屛)
  • 1887년, 견본채색, 147.0×48.5㎝, 국립중앙박물관
  • 대왕대비 신정왕후 조씨(1808~1890)의 팔순을 기념하여 경복궁에서 열린 진찬 장면을 그린 그림

23


  • Image File Name: 임인진찬도병.jpg 가로 1054pixel, 세로 1468pixel
  • 신축진찬도병(辛丑進饌圖屛)
  • 1901년 5월, 10첩 병풍, 견본채색, 각 150×48㎝, 국립고궁박물관
  • 1901년 5월 憲宗의 繼妃였던 대왕대비 孝定王后 洪氏(1831~1903)의 71세를 기념한 禮宴 장면을 그린 도병.

24


  • Image File Name: 신축진연도병.jpg 가로 525pixel, 세로 798pixel
  • 신축진연도병(辛丑進宴圖屛)
  • 1901년 7월, 8첩 병풍, 견본채색, 각 149.5×48.5㎝, 연세대학교박물관
  • 1901년 7월 황제가 된 고종의 五旬을 稱慶하기 위해 황태자가 올린 연향을 기념한 도병.

25


  • Image File Name: --310. 고종 임인진연도 병풍.jpg 가로 831pixel, 세로 781pixel
  • 고종임인진연도병(高宗壬寅進宴圖屛)
  • 1902년, 비단에 채색, 각 61×199㎝, 국립국악원
  • 1902년(광무 6) 11월, 황태자가 고종을 위해 올린 진연을 기념하여 제작한 병풍이다.

26


  • Image File Name: CLP0000cd940001.bmp
  • #####3:가로 199pixel, 세로 241pixel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발인반차도>
  • 1898년, 종이에 채색, 49.7×33.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1897년(광무 1) 고종의 비 명성황후(明成皇后)의 국장에 관한 기록인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에는 채색으로 그린 <명성황후발인반차도>가 실려 있다.

27


  • Image File Name: img994.jpg 가로 1678pixel, 세로 1943pixel
  • 대사례도(大射禮圖)
  • 18세기, 견본채색, 60.4×46.9㎝, 고려대학교 박물관
  • 1743년(영조 19) 윤4월 7일 거행된 대사례의 장면을 그린 그림. 대사례는 왕이 성균관에서 석존제를 지낸 뒤 신하들과 행하는 활쏘기 의식을 말한다.

28


  • Image File Name: img999.jpg 가로 1096pixel, 세로 2330pixel
  • 종친부사연도(宗親府賜宴圖)
  • 1744년, 견본채색, 134.5×64㎝, 서울대박물관
  • 1744년 9월 영조가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한 진연을 마치고, 영조가 종친들에게 술과 음식을 내려준 사연 장면을 그린 그림. 하단에 종친 38명의 명단이 적혀 있다.

29


  • Image File Name: img990.jpg 가로 1732pixel, 세로 1267pixe
  •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蔥臺試藝圖)
  • 18세기 후반, 지본채색, 54.7×58.6㎝, 고려대학교 박물관
  • 명종이 서총대에 친림하여 문무시예를 시행한 어느 날 남응운(南應雲)이 제술과 활쏘기에 모두 으뜸으로 뽑혀 말 두 필을 상으로 하사받은 고사를 그린 그림 

30


  • Image File Name: img991.jpg 가로 1776pixel, 세로 2408pixel
  • 선묘조제재경수연도(宣廟朝諸宰慶壽宴圖)
  • 18세기 후반, 지본채색, 34×24.7㎝, 고려대학교 박물관
  • 1605년 4월 삼청동에서 여러 제신들이 노모를 위해 개최한 경수연의 모습을 다섯 장면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

31


  • Image File Name: img008.jpg 가로 2178pixel, 세로 1571pixel
  • 어제준천제명첩(御製濬川題名帖)
  • 1760년, 지본채색, 37.4×49.6㎝, 서울역사박물관
  • 1760년 준천사업을 마친 뒤 시사를 벌이는 장면을 그린 화첩. 사서눈 창덕궁의 영화당 앞에서 이루어짐.

32


  • Image File Name: img992.jpg 가로 2207pixel, 세로 1537pixel
  • 서총대첩(瑞蔥臺帖)
  • 18세기, 견본채색, 39×61.8㎝, 고려대학교 도서관
  • 서총대를 배경으로 하여 서로 다른 행사에 대한 그림과 기록을 합쳐 놓은 것. 그림은 1760년청계천의 준천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주제로 하였다.
  •  

33


  • Image File Name: img993.jpg 가로 2148pixel, 세로 1600pixel
  • 준천당랑시사연구첩(濬川堂郎試射聯句帖)
  • 18세기 후반, 지본채색, 39.7×40.6㎝, 고려대학교 박물관
  • 1760년 4월 15일 준천의 완공을 선언한 이튿날 영조는 창덕궁 후원에 있던 춘당대에서 준천소 당상과 낭청 이하의 비장을 시사하고 전원에게 음식을 내려 노고를 치하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

34


  • Image File Name: img995.jpg 가로 2217pixel, 세로 1625pixe
  •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
  • 1817년, 지본채색, 34.1×46.5㎝, 고려대학교 도서관
  • 1817년 왕세자가 소학과 주자가례를 배울 수 있는 나이에 이르렀을 때 성균관에서 작헌례를 올린 뒤 명륜당에서 입학례를 치르는 일련의 의식을 그린 그림

35


  • Image File Name: img996.jpg 가로 1101pixel, 세로 2579pixel
  • 성균관친림강론도(成均館親臨講論圖)
  • 19세기 후반, 지본채색, 111.4×49㎝, 고려대학교 박물관
  • 왕이 성균관의 대성전에 행차하여 알성례를 행한 뒤 유생들의 공부상황을 살피기 위해 경서에 대한 강의와 문답을 실시하는 광경을 그림 그림

36


  • Image File Name: CLP0000cd94b62a.bmp
  • #####3:가로 197pixel, 세로 199pixel
  • 군국기무소회의도(軍國機務所會議圖)
  • 1894년, 종이에 채색, 24×24㎝,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을 추진한 최고 정책 의결 기관인 군국기무처의 회의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회의 장면 아래에는 영상총재 김홍집(金弘集)과 회의원 박정양(朴定陽)을 비롯한 17명의 이름을 기록하였다.

37


  • Image File Name: 142017.png 가로 1098pixel, 세로 700pixel
  • 조일통상조약기념연회도(朝日通商條約紀念宴會圖)
  • 1883년, 비단에 채색, 35.5×53.5cm,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1883년(고종 20)에 체결된 조일통상조약을 기념한 연회의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계회도

38


  • Image File Name: img004[회전.jpg 가로 2310pixel, 세로 1644pixel
  • 이원기로계첩(梨園耆老稧帖)
  • 1730년, 지본채색, 37×25.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1730년 4월 13일 궁중의 음악을 관장하는 장악원에서 고령의 전직 관리들이  연회를 갖고 이를 기념하여 제작한 계첩

39


  • Image File Name: img989.jpg 가로 1899pixel, 세로 1561pixel
  • 태학계첩(太學契帖)
  • 1747년, 지본채색, 44.9×54.6㎝, 서울역사박물관
  • 태학은 성균관의 별칭. 1747년 성균관 대사성 이정보가 성균관 속록을 만든후 성균관 내부의기강을 바로 잡고, 외부 환경을 정비한 것을 기념하여 泮宮圖를 그리고 이 일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적어 놓은 기록.

진경산수화

40


  • Image File Name: img002.jpg 가로 1541pixel, 세로 1943pixel
  • 규장각도(奎章閣圖)
  • 18세기 후반, 견본채색, 144.4×115.6㎝, 국립중앙박물관
  • 정조가 1776년 즉위한 후 선왕들의 어필과 어제를 봉안하기 위해 창덕궁 내에 규장각(奎章閣)을 건립하도록 하여 건립된 규장각의 전경을 그린 그림.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작품.

41


  • Image File Name: img985.jpg 가로 1659pixel, 세로 2467pixel
  • 사복시전곶목장지도(司僕寺箭串牧場地圖)
  • 1789-1802년, 지본채색, 115.9×79㎝,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 사복시의 살곶이 목장을 그린 지도로 정밀한 지도라기 보다 개략도에 가까움. 실측을 강조하였다기 보다 목장 주변의 산, 시내, 성책 등을 표현한 실용적인 지도

42


  • Image File Name: img986.jpg 가로 2187pixel, 세로 1630pixel
  • 김홍도, 북일영도(北一營圖)
  • 18세기, 지본담채, 32.5×43.7㎝, 고려대학교 박물관
  • 북일영은 훈련도감의분영으로 궁궐의 호위를 맡았던 부대의 하나. 위치는 지금의 경희궁 덕무문 밖 사직동에 있었는데, 활터로 유명한 곳임.

43


  • Image File Name: img987.jpg 가로 2187pixel, 세로 1630pixel
  • 김홍도, 남소영도(南小營圖)
  • 18세기, 지본담채, 32.5×43.7㎝, 고려대학교 박물관
  • 남소영은 어영청의 분영으로 도성 남쪽의 방위를 맡았던 곳. 위치는 현재 장충동과 한남동을 잇는 고개의 마루턱에 위치하던 남소문 근처였다. 
  •  

44


  • Image File Name: 01.jpg 가로 3806pixel, 세로 4659pixel
  • 정선, 동문조도(東門祖圖)
  • 1746년경, 저본채색, 22.0×26.7㎝, 이대박물관
  • 흥인지문의 동쪽밖을 조망하여 그림 그림. 오간수문과 동묘 등이 그려져 있다.

45


  • Image File Name: 도 05.jpg 가로 5231pixel, 세로 3596pixel
  • 작자미상, 수문상친림관역도(水門上親臨觀役圖)
  • 1760년, 비단에 담채색, 34.2×22.0㎝, 부산박물관
  • 1760년(영조 36) 영조가 청계천 준천사업의 현장인 오간수문을 방문하여 참관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

46


  • Image File Name: 04.jpg 가로 2346pixel, 세로 2594pixel
  • 정선, 동소문도(東小門圖)
  • 1754년경, 견본채색, 16.7×18.1㎝, 고려대박물관
  • 한양도성 4소문 중의 하나인 동소문의 모습을 그린 그림. 동소문도는 일명 혜화문으로도 불렸다.

47


  • Image File Name: img005.jpg 가로 1801pixel, 세로 900pixel
  • 휴버트 보스, 서울풍경
  • 1898년, 캔버스에 유채, 국립현대미술관
  • 네델란드 태생의 화가 휴버트 보스(Hubert Vos, 1855-1935)가 정동 미공사관에서 경복궁을 바라본 경치를 그린 풍경화

사진첩

48


  • Image File Name: img998.jpg 가로 2036pixel, 세로 1747pixel
  • 이태왕전하장의사진첩(李太王殿下葬儀寫眞帖)
  • 1919년, 28×37cm, 서울대학교박물관
  • 1919년 1월 21일 승하한 고종의 장례 장면을 기록한 사진첩. 덕수궁에서의 발인에서부터 홍릉에 안장하기까지의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49


  • Image File Name: img997.jpg 가로 1517pixel, 세로 1199pixel
  • 순종국장록(純宗國葬錄)
  • 1926년, 35.5×53.5cm, 국립중앙박물관
  • 1926년 순종의 국장과 관련된 장면들을 촬영하여 만든 사진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