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성대지도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기록화

Definition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도성대지도>는 18세기 조선의 수도 한양을 그린 회화식 지도로 현존하는 도성도 중 가장 크고 정밀하다. 현재 2폭의 가리개로 장황되어 있으나 본래 형태는 절첩본折帖本 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병풍 제액題額에 쓰여진 '謙齋都城大地圖 丙申魏一中題'에 의해 정선鄭敾, 1676~1759의 작품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정선의 영향을 받은 도화서 소속 화원이 함께 그렸을 가능성이 높다. 서예가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1921~2006이 제액을 썼다. 도성 내.외에 서로 다른 축척을 사용하여 도성 안과 도성 밖 지형을 한눈에 살필 수 있다. 백악산(북악산), 타락산(낙산), 인왕산, 목멱산(남산)을 연결하는 도성을 둘러싼 산줄기는 진경산수화풍으로 그려내 화면 중앙에 배치하였다. 도성 안은 홍인문과 돈의문을 잇는 동서대로와 숭례문에서 종루까지 이어지는 대로를 기본으로 한 도로망, 개천으로 합류하는 물길, 삼군영의 관할구역, 부部, 방坊, 계契로 구성된 행정구역, 성곽 문루, 궁궐, 관아, 다리 등의 명칭을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도성대지도>는 회화적으로 훌륭할 뿐만 아니라 인문지리 정보제공 두 가지 측면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1]


<도성대지도(都城大地圖)>. 180 x 213㎝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서울역사014165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도성대지도 Object 그림 지도 도성대지도(都城大地圖) 도성대지도 都城大地圖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도성대지도 2022:구현회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도성대지도 서울역사박물관 currentLocation 2022:구현회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사진 서울역사박물관 도성대지도(都城大地圖) 서울역사박물관 > 유물 > 소장유물정보 > 소장유물검색 > 도성대지도(都城大地圖) https://museum.seoul.go.kr/www/relic/RelicView.do?mcsjgbnc=PS01003026001&mcseqno1=014165&mcseqno2=00000&cdLanguage=KOR
해설 서울역사박물관 소장유물자료집11 도성대지도 서울역사박물관 > 학술·자료 > 발간도서 > 전체 > 도성대지도 https://museum.seoul.go.kr/www/board/NR_boardList.do?bbsCd=1012&currentPage=1&searchKey=TITLE___1002&searchVal=도성대지도&sso=ok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서울역사박물관:2020:도성대지도 자료집 『도성대지도』, 서울역사박물관, 2020 서울역사박물관 https://museum.seoul.go.kr/CHM_HOME/ebook/ecatalog.jsp?Dir=566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출처: 『도성대지도』, 서울역사박물관, 2020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