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신문 창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de Description) |
(→Contextual Relations)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Definition= | + | ==Definition== |
− | |||
− | |||
+ | 【1896년】. 독립신문 창간(獨立新聞 創刊). 1896년 4월 7일에 민간 신문이자 한글, 영문판 신문을 창건하였다. 서재필이 중심이 되어 독립협회(獨立協會)의 기관지로 발간되었다. 서재필은 정부로부터 창립 자금 4400원을 지원 받아 시작하였다. 1896년 4월 7일 창간 당시 국배판(菊倍版) 면으로 구성되었고 3면은 한글, 1면은 영어로 표기했다. 본문은 순한글 세로쓰기로 되어 있고, 논설과 광고, 국내외 소식 보도면으로 구성되었다. 한글판은 서재필과 주시경이 편집을 하였고, 영문판은 헐버트가 사실상의 편집자였다. 서재필을 중심으로 발간했으나 그가 미국으로 망명한 뒤에 헨리 아펜젤러를 발행인으로 하여 윤치호가 맡아 발행하다가 독립협회의 해산과 함께 폐간되었다.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22번째 줄: | 21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독립신문_창간]] || [[독립신문]]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 [[ | + | | [[독립신문_창간]] || [[유길준]]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독립신문_창간]] || [[윤치호]]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독립신문_창간]] || [[서재필]]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독립신문_창간]] || [[독립협회]]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독립신문_창간]] || [[한성신보]]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독립신문_창간]] || [[박정양]]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독립신문_창간]] || [[호머_베절릴_헐버트]]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독립신문_창간]] || [[주시경]]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독립신문_창간]] || [[호레이스_그랜트_언더우드]]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54번째 줄: | 50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독립신문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984 |
|- | |- | ||
− | | 해설 || 위키백과 || | + | | 해설 || 위키백과 || 독립신문 || || https://ko.wikipedia.org/wiki/독립신문 |
|- | |- | ||
− | | 해설 || 두산백과 || | + | | 해설 || 두산백과 || 독립신문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638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번째 줄: | 65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김성혜. 「『독립신문』에 드러난 군주의 표상과 고종의 실체」, 『대동문화연구』 78,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2012.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7771 |
+ | |- | ||
+ | | 논문 || 최현우. 「『독립신문』 논설에 나타난 근대화의 요건」, 『민족문화논총』 77,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5081 | ||
+ | |- | ||
+ | | 논문 || 조맹기. 「소문(所聞)에서 신문(新聞)으로: 『조보』, 대간 제도, 『독립신문』 사이의 내적 연관성」, 『한국소통학보』 15, 한국소통학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70550 | ||
+ | |- | ||
+ | | 논문 || 김용직. 「개화기 한국의 근대적 공론장과 공론형성 연구 : 독립협회와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11-38, 한국동북아논총, 200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98753 | ||
+ | |- | ||
+ | | 논문 || 김동택. 「[독립신문]의 근대국가 건설론」, 『사회과학연구』 12-2, 서강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59362 | ||
+ | |- | ||
+ | | 논문 || 이동수. 「<<독립신문>>과 공론장」, 『한국학』 29-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41836 |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오영섭. 「『독립신문』에 나타난 미국인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7,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59518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김수자. 「{독립신문}에 나타난 개화지식인들의 근대주의와 儒學 인식」, 『동양고전연구』 45, 동양고전학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12650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김영희. 「『독립신문』의 지식 개념과 그 의미」, 『한국언론학보』 57-3, 한국언론학회, 2013.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82849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문경득. 「개항기 신문 매체를 통해 본 공론 개념의 의미장ㅡ'한성순보', '한성주보',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융합인문학』 7-4, 한국융합인문학회, 201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25854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전은경. 「『독립신문』의 문학적 장치와 공론장에 등장한 독자 - 문학과 정치의 상관관계」, 『대동문화연구』 9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15867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김윤희. 「『독립신문』의 ‘사랑’, 동포애와 공리주의의 관계」, 『아시아문화연구』 43,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21228 |
|- | |- | ||
− | | | + | | 논문 || 이동수. 「개화와 공화민주주의: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한국학』 30-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48787 |
|- | |- | ||
− | | | + | | 논문 || 최형익. 「한국에서 근대 민주주의의 기원: 구한말 독립신문,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활동」, 『한국학』 27-3,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42310 |
|- | |- | ||
− | | | + | | 논문 || 김현수, 이호규. 「『독립신문』 창간의 내적 기반에 관한 고찰: 조선후기 한글 확산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2, 서강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51045 |
|- | |- | ||
|} | |} |
2021년 11월 22일 (월) 22:50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1896년】. 독립신문 창간(獨立新聞 創刊). 1896년 4월 7일에 민간 신문이자 한글, 영문판 신문을 창건하였다. 서재필이 중심이 되어 독립협회(獨立協會)의 기관지로 발간되었다. 서재필은 정부로부터 창립 자금 4400원을 지원 받아 시작하였다. 1896년 4월 7일 창간 당시 국배판(菊倍版) 면으로 구성되었고 3면은 한글, 1면은 영어로 표기했다. 본문은 순한글 세로쓰기로 되어 있고, 논설과 광고, 국내외 소식 보도면으로 구성되었다. 한글판은 서재필과 주시경이 편집을 하였고, 영문판은 헐버트가 사실상의 편집자였다. 서재필을 중심으로 발간했으나 그가 미국으로 망명한 뒤에 헨리 아펜젤러를 발행인으로 하여 윤치호가 맡아 발행하다가 독립협회의 해산과 함께 폐간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독립신문_창간 | Event | 사건 | 독립신문 창간(獨立新聞 創刊 1896) | 독립신문 창간 | 獨立新聞 創刊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독립신문_창간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독립신문_창간 | 독립신문 | isRelatedTo | ||
독립신문_창간 | 유길준 | isRelatedTo | ||
독립신문_창간 | 윤치호 | isRelatedTo | ||
독립신문_창간 | 서재필 | isRelatedTo | ||
독립신문_창간 | 독립협회 | isRelatedTo | ||
독립신문_창간 | 한성신보 | isRelatedTo | ||
독립신문_창간 | 박정양 | isRelatedTo | ||
독립신문_창간 | 호머_베절릴_헐버트 | isRelatedTo | ||
독립신문_창간 | 주시경 | isRelatedTo | ||
독립신문_창간 | 호레이스_그랜트_언더우드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독립신문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984 | |
해설 | 위키백과 | 독립신문 | https://ko.wikipedia.org/wiki/독립신문 | |
해설 | 두산백과 | 독립신문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6381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