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논문 |
김성혜. 「『독립신문』에 드러난 군주의 표상과 고종의 실체」, 『대동문화연구』 78,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2012.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7771
|
논문 |
최현우. 「『독립신문』 논설에 나타난 근대화의 요건」, 『민족문화논총』 77,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5081
|
논문 |
조맹기. 「소문(所聞)에서 신문(新聞)으로: 『조보』, 대간 제도, 『독립신문』 사이의 내적 연관성」, 『한국소통학보』 15, 한국소통학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70550
|
논문 |
김용직. 「개화기 한국의 근대적 공론장과 공론형성 연구 : 독립협회와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11-38, 한국동북아논총, 200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98753
|
논문 |
김동택. 「[독립신문]의 근대국가 건설론」, 『사회과학연구』 12-2, 서강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59362
|
논문 |
이동수. 「<<독립신문>>과 공론장」, 『한국학』 29-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41836
|
논문 |
오영섭. 「『독립신문』에 나타난 미국인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7,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59518
|
논문 |
김수자. 「{독립신문}에 나타난 개화지식인들의 근대주의와 儒學 인식」, 『동양고전연구』 45, 동양고전학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12650
|
논문 |
김영희. 「『독립신문』의 지식 개념과 그 의미」, 『한국언론학보』 57-3, 한국언론학회, 2013.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82849
|
논문 |
문경득. 「개항기 신문 매체를 통해 본 공론 개념의 의미장ㅡ'한성순보', '한성주보',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융합인문학』 7-4, 한국융합인문학회, 201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25854
|
논문 |
전은경. 「『독립신문』의 문학적 장치와 공론장에 등장한 독자 - 문학과 정치의 상관관계」, 『대동문화연구』 9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15867
|
논문 |
김윤희. 「『독립신문』의 ‘사랑’, 동포애와 공리주의의 관계」, 『아시아문화연구』 43,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21228
|
논문 |
이동수. 「개화와 공화민주주의: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한국학』 30-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48787
|
논문 |
최형익. 「한국에서 근대 민주주의의 기원: 구한말 독립신문,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활동」, 『한국학』 27-3,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42310
|
논문 |
김현수, 이호규. 「『독립신문』 창간의 내적 기반에 관한 고찰: 조선후기 한글 확산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2, 서강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51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