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Web Resource)
(Bibliography)
68번째 줄: 68번째 줄:
 
|-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논문 || 자오성웨이·리샤오위(엮은이), 이성현(옮긴이), 「주르날 제국주의 : 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현실문화』, 현실문화연구,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5094903
 
|-
 
| 논문 ||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 KISS / 네이버 학술정보 > 학술논문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8058 /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42305152
 
 
|-
 
|-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81번째 줄: 77번째 줄: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http://www.museum.go.kr) > 학술 > 역사학 > 연구보고서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
 
|}
 
|}

2021년 10월 8일 (금) 08:17 판

Definition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말 모양의 흉의장(凶儀仗)이다. 싸리나무와 마른풀, 가마니 등을 엮어서 만든 의장용 말로, 등에 안장이 없는 죽산마(竹散馬)와 안장이 있는 죽안마(竹鞍馬)가 짝이 되어 사용되었다. 죽산마는 검은색으로 칠을 하고, 죽안마는 다양한 색으로 칠해졌다. 발인 행렬에서 작은 가마인 채여(彩輿)의 좌우에 위치하였으며 수레에 실려 운반되었다. 왕은 죽산마 2필, 죽안마 10필이 사용되었고, 왕비는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즉위 전에 훙서한 왕세자·왕세자빈·왕세손 등도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발인 의식이 끝나면 죽산마와 죽안마, 청수안마, 자수안마 등은 정결한 장소에서 불태웠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만장-원의 Object 물품 만장(挽章)-원의(原儀) 만장-원의 挽章-原儀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만장-원의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덕수궁국장화첩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hasPart
고종_국장_행렬_사진 앨버트_테일러 creator
고종_국장_행렬_사진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hasPart
고종_국장_행렬_사진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hasPart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죽산마 depicts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죽산마 depicts
죽산마 죽안마 isRelatedTo
죽산마 고종황제의_마지막_길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일생의례사전 만장(挽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8728&docId=3560961&categoryId=58728
해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만장挽章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375&category=A&sWord=만장
해설 한국 기록유산 Encyves 만장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만장
해설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만장(挽章)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만장(挽章)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단행본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단행본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단행본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RISS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단행본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RISS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단행본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