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화복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재현물 제작 정보) |
(→재현물 제작 정보)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조선의 백관의 공복인 단령(團領)에 착용한 관(冠)이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복두 복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의 백관의 공복인 단령(團領)에 착용한 관(冠)이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복두 복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복두(幞頭)는 처음에는 두건에서 비롯되었다. 두건은 사각형의 직물을 머리에 두르고, 두 귀[角]를 먼저 정수리 아래에서 묶고 다른 두 귀를 뒤에서 앞으로 올려 이마에서 묶는다. 이후 한 폭의 직물을 묶던 것을 각을 세워 고정하여 2단으로 턱이 진 네모형이 되고 앞으로 올려 묶던 두 귀는 없어지고, 뒤로 내린 두 귀는 좌우로 길게 뻗쳐진 형태로 발전하였다. 북주[後周] 무제(武帝)가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한대(漢代) 즈음 두건을 사용하다 동한(東漢) 이후 두건에서 조금 변형된 형태인 [[복건 | + | 복두(幞頭)는 처음에는 두건에서 비롯되었다. 두건은 사각형의 직물을 머리에 두르고, 두 귀[角]를 먼저 정수리 아래에서 묶고 다른 두 귀를 뒤에서 앞으로 올려 이마에서 묶는다. 이후 한 폭의 직물을 묶던 것을 각을 세워 고정하여 2단으로 턱이 진 네모형이 되고 앞으로 올려 묶던 두 귀는 없어지고, 뒤로 내린 두 귀는 좌우로 길게 뻗쳐진 형태로 발전하였다. 북주[後周] 무제(武帝)가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한대(漢代) 즈음 두건을 사용하다 동한(東漢) 이후 두건에서 조금 변형된 형태인 [[복건]]이 출현하였다. 위진남북조 시기 선비족의 모자가 유입되면서 그 영향을 받아 [[복두]]가 탄생했다.<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신라 진덕여왕 이후 당나라에서 들어왔는데, 두 귀가 양옆으로 길게 뻗은 전각복두<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72 전각복두]", 디렉토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복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복식학회.</ref>를 착용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사모]]를 많이 착용하면서 [[복두]]를 착용하는 일이 줄어들어 조선후기에는 과거에 급제한 경우 [[앵삼]]과 함께 어사화를 꽃은 [[복두]]를 착용했다.<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16 복두]", 디렉토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복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복식학회.</ref> 궁중 정재시 악공들은 [[화화복두]]를 착용하였다.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화화복두]] || Clothing || 복식 || | + | | [[화화복두]] || Clothing || 복식 || 쓰개 || 화화복두(花畵幞頭) || 화화복두 || 花畵幞頭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복두 || |
−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5/5b/%EB%B3%B5%EB%91%90-%EB%AF%BC%EB%B0%95%EC%86%8C%EC%9E%A5.jpg"/></html><br | +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5/5b/%EB%B3%B5%EB%91%90-%EB%AF%BC%EB%B0%95%EC%86%8C%EC%9E%A5.jpg"/></html><br>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소장] |
|- | |- | ||
|} | |}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id || [[화화복두]] | | id || [[화화복두]] | ||
|- | |- | ||
− | |한자표기|| | + | |대표명칭|| 화화복두 |
+ | |- | ||
+ | |한자표기|| 花畵幞頭 | ||
|- | |- | ||
|이칭별칭|| 채화복두(菜花幞頭) | |이칭별칭|| 채화복두(菜花幞頭) | ||
|- | |- | ||
− | |구분|| | + | |구분|| 쓰개 |
|- | |- | ||
− | |착용신분|| 악공 | + | |착용신분|| [[악공]] |
|- | |- | ||
|착용성별|| 남성 | |착용성별|| 남성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Contextual Relations=== | ||
43번째 줄: | 44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55번째 줄: | 52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 [ | + | |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반차도 || 악공 || [[isUsedIn]] || || [[파일:고종명성후가례 전부고취.png|50px]] |
− | + | |- | |
− | * 가로 44cm | + | | 국립민속박물관 || 복두 || [[references]] || |
− | + | * '''유물 번호:''' 민속051224 | |
− | || < | + | * '''유물 사이즈:''' 가로 44cm, 세로 19.5cm |
+ | * 전체적인 형태 참고 | ||
+ | || [[파일:복두(민속051224)1-국립민속박물관.JPG|120px]]<br/> | ||
+ | [[파일:복두(민속051224)2-국립민속박물관.JPG|120px]]<br/> | ||
+ | [[파일:복두(민속051224)3-국립민속박물관.JPG|80px]]<br/> | ||
+ | [[파일:복두(민속051224)4-국립민속박물관.JPG|80px]]<br/> | ||
+ | [[파일:복두(민속051224)5-국립민속박물관.JPG|120px]]<br/> | ||
+ | |- | ||
+ | | 정해진찬의궤 || 화화복두 || [[references]] || | ||
+ | * 복두의 이마 부분에 그림과 같이 채색한 꽃이 그려져 있어야 함 | ||
+ | || [[파일:화화복두(의궤).jpg | 150px]] | ||
|- | |- | ||
− | | | + | | 리조복식도감 || 화화복두 || [[references]] || |
− | + | * 복두의 이마 부분에 그림과 같이 채색한 꽃이 그려져 있어야 함 | |
− | * | + | || [[파일:화화복두(의궤-채색).jpg | 150px]] |
− | |||
− | || | ||
|- | |- | ||
|} | |} | ||
80번째 줄: | 85번째 줄: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복두(幞頭)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복두&ridx=0&tot=12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복두(幞頭)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복두&ridx=0&tot=12 | ||
|- | |- | ||
− | | 동영상 || | + | | 동영상 || 문화콘텐츠닷컴 || 채화복두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data/contentDataView.do?cp_code=cp0413&content_data_id=cp0413340029 |
|- | |- | ||
|} | |} | ||
107번째 줄: | 112번째 줄: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 | +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화화복두"></iframe> |
−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 | +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화화복두'"> |
</html> | </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아람]]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아람]] |
2020년 12월 22일 (화) 06:0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의 백관의 공복인 단령(團領)에 착용한 관(冠)이다.[1] 복두(幞頭)는 처음에는 두건에서 비롯되었다. 두건은 사각형의 직물을 머리에 두르고, 두 귀[角]를 먼저 정수리 아래에서 묶고 다른 두 귀를 뒤에서 앞으로 올려 이마에서 묶는다. 이후 한 폭의 직물을 묶던 것을 각을 세워 고정하여 2단으로 턱이 진 네모형이 되고 앞으로 올려 묶던 두 귀는 없어지고, 뒤로 내린 두 귀는 좌우로 길게 뻗쳐진 형태로 발전하였다. 북주[後周] 무제(武帝)가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한대(漢代) 즈음 두건을 사용하다 동한(東漢) 이후 두건에서 조금 변형된 형태인 복건이 출현하였다. 위진남북조 시기 선비족의 모자가 유입되면서 그 영향을 받아 복두가 탄생했다.[2] 신라 진덕여왕 이후 당나라에서 들어왔는데, 두 귀가 양옆으로 길게 뻗은 전각복두[3]를 착용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사모를 많이 착용하면서 복두를 착용하는 일이 줄어들어 조선후기에는 과거에 급제한 경우 앵삼과 함께 어사화를 꽃은 복두를 착용했다.[4] 궁중 정재시 악공들은 화화복두를 착용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화화복두 | Clothing | 복식 | 쓰개 | 화화복두(花畵幞頭) | 화화복두 | 花畵幞頭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복두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화화복두 |
대표명칭 | 화화복두 |
한자표기 | 花畵幞頭 |
이칭별칭 | 채화복두(菜花幞頭) |
구분 | 쓰개 |
착용신분 | 악공 |
착용성별 | 남성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반차도 | 악공 | isUsedIn | ||
국립민속박물관 | 복두 | references |
|
|
정해진찬의궤 | 화화복두 | references |
|
|
리조복식도감 | 화화복두 | references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AKS Encyves | 복두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복두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복두(幞頭)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038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복두(幞頭)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복두&ridx=0&tot=12 | |
동영상 | 문화콘텐츠닷컴 | 채화복두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data/contentDataView.do?cp_code=cp0413&content_data_id=cp0413340029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박가영, | 『조선시대 궁중 패션』, | 민속원, 2017. |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1,2,3, | 민속원, 2005. | ||
황의숙 외3인, | 『아름다운 한국복식』, | 수학사, 2010.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