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화복두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의 백관의 공복인 단령(團領)에 착용한 관(冠)이다.[1] 복두(幞頭)는 처음에는 두건에서 비롯되었다. 두건은 사각형의 직물을 머리에 두르고, 두 귀[角]를 먼저 정수리 아래에서 묶고 다른 두 귀를 뒤에서 앞으로 올려 이마에서 묶는다. 이후 한 폭의 직물을 묶던 것을 각을 세워 고정하여 2단으로 턱이 진 네모형이 되고 앞으로 올려 묶던 두 귀는 없어지고, 뒤로 내린 두 귀는 좌우로 길게 뻗쳐진 형태로 발전하였다. 북주[後周] 무제(武帝)가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한대(漢代) 즈음 두건을 사용하다 동한(東漢) 이후 두건에서 조금 변형된 형태인 복건이 출현하였다. 위진남북조 시기 선비족의 모자가 유입되면서 그 영향을 받아 복두가 탄생했다.[2] 신라 진덕여왕 이후 당나라에서 들어왔는데, 두 귀가 양옆으로 길게 뻗은 전각복두[3]를 착용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사모를 많이 착용하면서 복두를 착용하는 일이 줄어들어 조선후기에는 과거에 급제한 경우 앵삼과 함께 어사화를 꽃은 복두를 착용했다.[4] 궁중 정재시 악공들은 화화복두를 착용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화화복두 Clothing 복식 쓰개 화화복두(花畵幞頭) 화화복두 花畵幞頭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복두


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소장]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화화복두
대표명칭 화화복두
한자표기 花畵幞頭
이칭별칭 채화복두(菜花幞頭)
구분 쓰개
착용신분 악공
착용성별 남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반차도 악공 isUsedIn 고종명성후가례 전부고취.png
국립민속박물관 복두 references
  • 유물 번호: 민속051224
  • 유물 사이즈: 가로 44cm, 세로 19.5cm
  • 전체적인 형태 참고
복두(민속051224)1-국립민속박물관.JPG

복두(민속051224)2-국립민속박물관.JPG
복두(민속051224)3-국립민속박물관.JPG
복두(민속051224)4-국립민속박물관.JPG
복두(민속051224)5-국립민속박물관.JPG

정해진찬의궤 화화복두 references
  • 복두의 이마 부분에 그림과 같이 채색한 꽃이 그려져 있어야 함
화화복두(의궤).jpg
리조복식도감 화화복두 references
  • 복두의 이마 부분에 그림과 같이 채색한 꽃이 그려져 있어야 함
화화복두(의궤-채색).jpg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복두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복두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복두(幞頭)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038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복두(幞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복두&ridx=0&tot=12
동영상 문화콘텐츠닷컴 채화복두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data/contentDataView.do?cp_code=cp0413&content_data_id=cp0413340029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박가영, 『조선시대 궁중 패션』, 민속원, 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1,2,3, 민속원, 2005.
황의숙 외3인,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

Notes

  1. "복두", 『한국 기록유산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
  3. "전각복두", 디렉토리검색, 『한국복식사전』online, 한국복식학회.
  4. "복두", 디렉토리검색, 『한국복식사전』online, 한국복식학회.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