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전통시대의 교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rea100
이동: 둘러보기, 검색
34번째 줄: 34번째 줄:
  
 
서원은 사림에 의한 사립 교육 기관이었다. 각 지역에 설립된 서원은 학문적 성향이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 연구하고 제자를 교육시키는 기관이었다. 또 학문적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른 선현(우리나라의 존경받는 유학자)의 제사를 모시기도 했다. 1543년에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고려의 유학자 안향(安珦)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서 시작되었다.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며 인재를 모아 학문을 가르쳤다. 이 백운동서원은 임금이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편액을 내리고 농토와 노비 및 서적 등을 하사하여, 사액서원의 시초가 되었다.
 
서원은 사림에 의한 사립 교육 기관이었다. 각 지역에 설립된 서원은 학문적 성향이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 연구하고 제자를 교육시키는 기관이었다. 또 학문적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른 선현(우리나라의 존경받는 유학자)의 제사를 모시기도 했다. 1543년에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고려의 유학자 안향(安珦)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서 시작되었다.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며 인재를 모아 학문을 가르쳤다. 이 백운동서원은 임금이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편액을 내리고 농토와 노비 및 서적 등을 하사하여, 사액서원의 시초가 되었다.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나 공신을 숭배하고 그 덕행을 추모하며, 지방 유생들이 한자리에 모여 학문을 공부하는 장소로서 많은 공헌을 했다. 나라에서도 이를 장려하여 전국에 많은 서원이 설립되었다.
+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나 공신을 숭배하고 그 덕행을 추모하며, 지방 유생들이 한자리에 모여 학문을 공부하는 장소로서 많은 공헌을 했다. 나라에서도 이를 장려하여 전국에 많은 서원이 설립되었다.
  
 
===출처 및 관련자료===
 
===출처 및 관련자료===

2017년 7월 30일 (일) 16:01 판

제목 유교 이념에 바탕을 둔 전통 교육
집필자 황인희
인물/기관/단체 광종, 공자, 선현, 최충, 주세붕, 안향, 백운동서원, 소수서원
장소/공간 문묘, 명륜당, 풍기
사건 서북 방향 국경 개척
개념용어 삼국시대, 유교, 불교, 고구려, 신라, 화랑도, 통일 신라, 고려, 과거 제도, 태학, 국자감, 학당, 향교, 십이도, 서당, 삼사·오경 및 제술, 성리학, 성균관, 서원, 생원 · 진사, 사액서원



원고

한국에서 국가에 의한 학교 교육이 시작된 것은 삼국시대부터이다. 그 시대의 교육에는 유교와 불교가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 시대의 교육은 지배 계급에게만 독점적으로 제공되었으며 그들에게 학문적ㆍ인성적 소양을 길러 주고 국가와 사회에 필요한 용맹한 군인을 양성하는 것을 주요 교육 목표로 삼았다.

최초의 학교는 372년에 고구려에 설립된 태학이었다. 태학은 국가가 세운 최고 교육 기관으로, 귀족 등 지배 계급의 자제들을 위한 관리 양성 기관이었다. 태학에서는 유교의 경전과 무예를 함께 가르쳤다. 신라에는 화랑도라는 교육 제도가 있었다. 화랑도 교육은 어려운 여건에서 나라를 구하고 민족을 중흥시킬 인재를 양성하는 데 그 목표를 두었다.

통일 신라를 계승한 고려는 국가적으로 불교를 장려하였다. 하지만 정치나 교육은 유교의 이념을 따랐다. 제4대 광종 때는 유교적 이념에 입각한 지배 질서의 확립을 꾀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가장 눈에 띠는 것이 과거 제도의 실시이다. 이는 관직 진출의 문호를 모든 지배 계층에 개방하여 새로운 정치 체제를 모색하는 동시에 왕권을 강화하는 작용을 하였다. 여러 형태로 형식은 바뀌었지만 과거 제도는 관리 등용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선 말기까지 유지되었다.

고려의 교육 제도는 크게 관학과 사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학으로는 중앙의 국자감과 학당, 지방의 향교가 있었으며, 사학으로는 십이도(十二徒)와 서당이 있었다. 국립 종합대학교에 해당하는 국자감은 992년 개경에 설립되었다. 국자감에서는 유교 경전을 주로 가르쳤고 입학 자격은 계급과 신분에 따라 규정하였다. 이로 미루어 국자감의 교육 목적은 귀족 자제를 대상으로 한 관리 양성인 동시에 유학의 연구였다고 볼 수 있다.

고려의 향교(鄕校)는 지방에 설립된 중등 정도의 관학 교육 기관이었다. 1127년 3월, 각 주와 현에다 학교를 세워 널리 교도(敎導)에 힘쓰라는 조서를 내린 것을 향학의 시초로 보고 있다. 향교에는 공자와 선현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문묘와 교육을 실시하는 명륜당(明倫堂)이 있다. 지방의 향교와 같은 정도의 교육기관으로 중앙에는 학당이 있었다. 교육 정도는 향교와 유사하였으나 학당은 문묘가 없는, 교육만 담당한 기관이었다.

사학인 십이도는 관학인 국자감과 비슷한 비중을 갖는 교육 기관이었다. 1053년 최충(崔冲)이 국자감을 비롯한 관학의 부진을 개탄하여 자기 집에 서당을 설치, 이웃 아동들을 교육한 데서 비롯하였다. 교과목은 국자감의 범주에 따라 삼사 · 오경 및 제술을 주로 하였고 나아가서 실천 윤리를 앞세웠다.

조선시대의 교육 이념은 성리학적 도학 정신이 중추를 이루었다. 이 시대의 유교 교육은 일반 서민 교육이 아닌, 정치적 이상 실현을 위해 실시되었다. 그 주된 대상은 양반 계급으로서, 관직 진출이나 개인적 수양을 위한 교육에 치중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의 유학 교육은 그 자체가 생활 규범화되어 전 국민에게 도덕적 윤리관을 심어주었다. 또 유학자들의 깊이 있는 학문 체계는 교육 사상 및 정신 문화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조선시대의 교육 기관으로는 성균관과 사부학당, 향교, 서원과 서당 등을 들 수 있다. 국립 고등 교육 기관인 성균관에는 공자와 제현(諸賢)을 모신 문묘와 유생 교육의 장소인 명륜당이 주요 건물로 자리잡았다. 일정한 신분적 요건을 갖춰야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었는데 과거에 1차 합격한 생원 · 진사 이상이 입학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사부학당은 중등 교육을 담당했던 관립 교육 기관이었다. 처음 서울을 동·서·남·북의 4부로 나누고 여기에 각각 학교를 하나씩 세워 사부학당이라 불리다가 중앙에도 학교가 세워져 오부학당이라 하였다.

향교는 고려시대와 같이 지방에서 운영되던 중등 정도의 교육 기관이었다. 향교의 제도는 성균관의 축소판으로, 문묘인 대성전과 명륜당 등의 구조를 갖추었다. 향교에서는 성현에 대한 향례와 유생 교육, 지방민의 교화 등을 담당하였다.

서당은 한국에서 가장 오랫동안 존속되어 초등교육을 담당한 사립학교이다. 고구려 때부터 시작된 서당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더욱 활발해졌다. 선비와 평민의 자제로서 사학이나 향교에 입학하지 못한 8, 9세에서부터 15, 16세에 이르는 소년들을 주로 가르치는 교육 기관이었다.

서원은 사림에 의한 사립 교육 기관이었다. 각 지역에 설립된 서원은 학문적 성향이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 연구하고 제자를 교육시키는 기관이었다. 또 학문적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른 선현(우리나라의 존경받는 유학자)의 제사를 모시기도 했다. 1543년에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고려의 유학자 안향(安珦)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서 시작되었다.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며 인재를 모아 학문을 가르쳤다. 이 백운동서원은 임금이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편액을 내리고 농토와 노비 및 서적 등을 하사하여, 사액서원의 시초가 되었다.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나 공신을 숭배하고 그 덕행을 추모하며, 지방 유생들이 한자리에 모여 학문을 공부하는 장소로서 많은 공헌을 했다. 나라에서도 이를 장려하여 전국에 많은 서원이 설립되었다.

출처 및 관련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자료

  • 『삼국사기(三國史記)』
  • 『삼국유사(三國遺事)』
  • 『고려사(高麗史)』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조선교육사 상·하』(이만규, 을유문화사, 1949)
  • 『한국교육사 상·중·하』(박상만, 대한교육연합회, 1956∼1959)
  • 『한국교육사』(한기언, 박영사, 1963)
  • 『한국신교육사』(오천석,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4)
  • 『한국교육사상사연구』(한기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9)
  • 『한국교육사연구』(차석기·신천식, 재동문화사, 1969)
  • 『한국고등교육연구』(김종철, 배영사, 1969)
  • 『한국근대교육사』(손인수,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1)
  • 『한국기술교육사』(이원호, 서문당, 1974)
  • 『한국교육사자료 1·2』(국사편찬위원회, 1975)
  • 『한국인교육관의 사적 배경』(박준희, 실학사, 1976)
  • 『일제하민중교육운동사』(노영택, 탐구당, 1979)
  • 『한국서원교육제도사연구』(정순목, 영남대학교 출판부, 1979)
  • 『한국개화교육연구』(손인수, 일지사, 1980)
  • 『일제의 대한국식민지교육정책사』(정재철, 일지사, 1986)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한국의 시대별 전통교육기관에 대한 설명은 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별 전통교육기관이 한국의 교육에 미친 영향과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체계화하여 설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글에서 “한국에서 국가에~ 삼국시대부터이다.”라고 서술하고 있는데 좀 더 명확히 서술할 필요가 있다. 자칫 한국 공교육의 시작이 삼국시대부터로 읽힐 수 있다. 이 원고의 출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만 제시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 화랑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서술하였으면. 화랑도는 귀족 자제 중에서 선발된 화랑이 다양한 신분을 포함한 낭도를 이끄는 조직이었다. 화랑과 낭도는 원광의 세속5계를 받들며 명산대천을 다니며 심신을 수련하였다. <삼국사기>에는 “현명한 재상과 충성스러운 신하가 화랑에서 선발되었고, 뛰어난 장수와 용감한 병사가 이에서 나왔다고 하였다.” 화랑도는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 삼사 오경에서 삼사가 무엇인가요? 사서 오경 아닌가요?
- 조선의 교육기관 중 초등 교육기관은 서당, 중등 교육기관은 서울의 경우 사부학당, 지방의 경우 향교, 고등 교육기관은 성균관입니다. 사부학당이 빠졌네요, 확인하고 보완할 것.
- 서원이 사림에 의한 사립교육기관임을 제시하여 당시 관립학교와 차별성을 가졌음을 서술할 것. 각 지역에 설립된 서원은 학문적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른 선현(우리나라의 존경받는 유학자)을 제사하고, 학문적 성향이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 연구하고 제자를 교육시키는 기관.
- 전통시대의 교육은 남성 지배층 중심으로 정리했는데, 조선시대 여성교육의 특징과 내용, 양반 등 지배층 이외의 중인의 교육기관 및 내용도 포함되었으면 좋겠다.

- 교육 후 과거를 통해 과거급제자에게 내린 홍패, 장원급제에게 내린 어사화 등 장원급제자 축하 행사(?)에 대해 서술하는 것도 흥미로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