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혜초의 천축기행

Korea100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7월 27일 (목) 23:55 판 (새 문서: {{기본정보 |제목=혜초의 천축기행 |집필자=황정욱 |인물/기관/단체=혜초, 현장, [금강지]], 펠리오 |장소/공간= |사건= |기록물= |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제목 혜초의 천축기행
집필자 황정욱
인물/기관/단체 혜초, 현장, [금강지]], 펠리오



원고

출처 및 관련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관련자료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혜초의 ‘천축기행’은 세계 4대 여행기 중 하나로, 문화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천축기행’의 문화사적 가치 에 대해서 좀 더 기술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화사적 가치 이외에도 ‘천축기행’은 8세기 한국의 고대 문명교류사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8세기 인도+중앙아시아+서아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한 점, 한반도의 경주에서 출발해 육로와 해로를 거쳐 인도+중앙아시아+서아시아의 서쪽 끝까지 여행하면서 당시 한국인이 본 세계상을 소개한 점 등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해로)경주->광저우->인도/(육로)페르시아->중앙아시아->창안으로의 혜초가 지나온 길을 이미지 자료로 제시해 글의 이해를 도울 필요가 있다. 이 원고의 출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만 제시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첫 페이지의 표 내용을 누락되어 있으므로 이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혜초는 통일신라 시기 승려로, 혜초가 당으로 유학을 가서 공부를 하고 인도까지 구법여행을 떠날 수 있었던 당시 시대 상황에 대해 서술하였으면 한다. 그리고 혜초가 당시 어느 정도 영향력을 가졌던 신분, 지위를 가졌는지 등 개인에 대한 설명도 있었으면 한다.
  • <왕오천축국전>이 현재 어디에 소장되어 있는지도 서술할 것
  • 내용이 혜초가 다녔던 지역을 시간 순서로 서술하였는데, 이러한 내용은 혜초가 다녔던 곳을 기록한 지도를 자료로 함께 제시하였으면 이해에 도움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