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동의보감의 간행

Korea100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제목 조선 의학의 표준, <동의보감>
집필자 황인희
교열자 유안리
인물/기관/단체 허준(許浚), 선조, 정작(鄭碏), 이명원(李命源), 양예수(楊禮壽), 김응탁(金應鐸), 정예남(鄭禮男), 광해군
장소/공간 의주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개념용어 목활자, 내의원, , , 양생,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1차 원고

<동의보감(東醫寶鑑)>은 1610년에 완성하여 1613년 목활자로 인쇄된 조선에서 가장 오래된 의학 서적이다. 이 책의 대표 저자는 허준(許浚)이라는 의원이다. 책 제목의 ‘동의’는 중국 남쪽과 북쪽의 의학 전통에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동쪽의 의학 전통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조선의 의학 전통을 말한다. ‘보감’은 ‘보배스러운 거울’이란 뜻으로 ‘모범이 될 만하다’라는 뜻을 지닌다. 허준은 조선의 의학 전통을 계승하여 중국과 조선 의학의 표준을 세웠다는 뜻으로 <동의보감>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동의보감>의 편찬 사업은 선조의 명령으로 시작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의주로 피란 갔다가 서울로 돌아온 선조는 전쟁 피해의 복구에 온 힘을 기울였다. 거의 모든 분야에서 전쟁의 참화를 입었지만 특히 민간에서 이용되던 의학 서적들이 거의 다 없어진 것은 치명적인 피해였다. 이에 선조는 1596년 의원 허준에게 새 의학 서적의 편찬을 지시했다. 처음에는 허준을 비롯하여 정작(鄭碏), 이명원(李命源), 양예수(楊禮壽), 김응탁(金應鐸), 정예남(鄭禮男) 등 여섯 명이 편찬 작업에 참여했다. 그러나 끝내는 허준이 혼자 집필하여 14년 만에 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처음 <동의보감>의 편찬 작업이 시작될 때 집필진은 세 가지 원칙을 세웠다.

첫째, “병을 고치기에 앞서 수명을 늘이고 병이 안 걸리도록 하는 방법을 중요하게 여긴다”이다. 병 걸린 후 치료하는 것보다 몸을 잘 지키고 병을 예방하는 것이 당연히 더 낫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둘째, “무수히 많은 처방의 요점만을 간추린다”이다. 당시에는 중국에서 수입된 의학책이 매우 많았는데 그 책들에 쓰인 내용들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셋째, “국산 약을 널리, 쉽게 쓸 수 있도록 약초 이름은 조선 사람이 부르는 이름을 한글로 쓴다”이다.

이런 원칙에 따라 목차가 겨우 만들어졌던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났다. 이 전쟁 때문에 작업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뿔뿔이 흩어져버려 <동의보감> 편찬 작업이 중단되었다. 전쟁이 완전히 끝난 후 1601년 선조는 허준을 불러 왕실에서 소장하고 있던 고금의 의서 500여 권을 내주면서 의학 책의 편찬을 독려했다. 이 때 허준에게 혼자서라도 <동의보감>을 완성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공무(公務)로 바빴던 허준은 선조가 세상을 떠난 1608년까지 절반도 끝내지 못했다. 허준은 선조의 죽음에 대한 문책으로 의주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동의보감> 집필에 전념했다. 1609년 말 귀양에서 풀려난 허준은 이듬해 8월 <동의보감>을 완성하여 광해군에 바쳤다. 하지만 전쟁 직후라 출판할 사정이 되지 않았고 3년이 지난 1613년에야 인쇄본이 출판될 수 있었다.

<동의보감>은 목차 2권, 의학 내용 23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학 내용은 ‘내경편(內景篇)’, ‘외형편(外形篇)’, ‘잡병편(雜病篇)’, ‘탕액편(湯液篇)’, ‘침구편(鍼灸篇)’ 등 다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경편’에는 신체 내부와 관련된 내용을, ‘외형편’에는 신체 외부와 관련된 내용을 실었다. ‘잡병편’에는 신체 관련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각종 병 이론과 구체적인 병 내용이 담겨 있다. ‘탕액편’은 약에 관한 이론과 구체적인 약물에 관한 각종 지식이, ‘침구편’에는 침 · 뜸에 대한 이론과 실재 사용 방법이 실려 있다.

<동의보감>의 주요 특징은 세 가지이다. 첫째, 치료보다 병을 예방하거나 건강을 추구하는 양생의 정신을 강조하였다. 둘째, 기존 중국과 조선 의학의 핵심을 잘 정리하였다. 허준은 200여 종에 이르는 중국의 문헌과 조선 의서들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경험과 학식을 더해 병의 증상 · 진단 · 예후 · 예방법 등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셋째, 뛰어난 편집 방식이다. 목차 2권은 색인 구실을 할 정도로 상세하며, 본문의 관련 내용끼리는 상호 참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 참고 자료의 인용처를 일일이 밝혀 원 저작을 찾아볼 수 있게 하였다.

<동의보감>은 출간 이후 현재까지 중국에서 30여 차례, 일본에서 두 차례 출간되었다. 이처럼 국내외 많은 사람에게 인정받은 <동의보감>은 2009년 7월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동의보감의 편찬과정에만 치중되어 있음. 동의보감이 당시 서민들에게 어떻게 확산되고 활용되었는지 유용성에 대한 이야기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 도입 서술

- <동의보감> 집필 원칙과 주요 특징을 함께 연관지어 서술하면 좋을 듯, 반복되는 느낌있음.
- 허준의 의원으로서의 사명감, 능력 관련 에피소드 첨가했으면.

- 현재 <동의보감> 활용 상황을 서술


수정 원고

<동의보감(東醫寶鑑)>은 1610년에 완성하여 1613년 목활자로 인쇄된 조선에서 가장 오래된 의학 서적이다. 이 책의 대표 저자는 허준(許浚, 1539〜1615)이라는 의원이다. 책 제목의 ‘동의’는 중국 남쪽과 북쪽의 의학 전통에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동쪽의 의학 전통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조선의 의학 전통을 말한다. ‘보감’은 ‘보배스러운 거울’이란 뜻으로 ‘모범이 될 만하다’라는 뜻을 지닌다. 허준은 조선의 의학 전통을 계승하여 중국과 조선 의학의 표준을 세웠다는 뜻으로 <동의보감>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동의보감>의 편찬 사업은 선조의 명령으로 시작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의주로 피란 갔다가 서울로 돌아온 선조는 전쟁 피해의 복구에 온 힘을 기울였다. 그 일환으로 선조는 1596년 의원 허준에게 새 의학 서적의 편찬을 지시했다. 민간에서 이용되던 의학 서적들이 거의 다 없어졌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허준을 비롯하여 정작(鄭碏), 이명원(李命源), 양예수(楊禮壽), 김응탁(金應鐸), 정예남(鄭禮男) 등 여섯 명이 편찬 작업에 참여했다. 그러나 끝내는 허준이 혼자 집필하여 14년 만에 책을 완성할 수 있었다.

<동의보감> 완성까지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우선 목차가 겨우 만들어졌던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났다. 이 전쟁 때문에 작업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뿔뿔이 흩어져버려 <동의보감> 편찬 작업이 중단되었다. 전쟁이 완전히 끝난 후 1601년 선조는 허준을 불러 왕실에서 소장하고 있던 고금의 의서 500여 권을 내주면서 혼자서라도 <동의보감>을 완성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내의원 일이 바빴던 허준은 선조가 세상을 떠난 1608년까지 절반도 끝내지 못했다. 허준은 선조의 죽음에 대한 문책으로 의주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동의보감> 집필에 전념했다. 1609년 말 귀양에서 풀려난 허준은 이듬해 8월 <동의보감>을 완성하여 광해군에 바쳤다. 하지만 전쟁 직후라 출판할 사정이 되지 않았고 3년이 지난 1613년에야 인쇄본이 출판될 수 있었다.

<동의보감>은 목차 2권, 의학 내용 23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학 내용은 ‘내경편(內景篇)’, ‘외형편(外形篇)’, ‘잡병편(雜病篇)’, ‘탕액편(湯液篇)’, ‘침구편(鍼灸篇)’ 등 다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경편’에는 신체 내부와 관련된 내용을, ‘외형편’에는 신체 외부와 관련된 내용을 실었다. ‘잡병편’에는 신체 관련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각종 병 이론과 구체적인 병 내용이 담겨 있다. ‘탕액편’은 약에 관한 이론과 구체적인 약물에 관한 각종 지식이, ‘침구편’에는 침 · 뜸에 대한 이론과 실재 사용 방법이 실려 있다. 침을 놓는 데 필요한 경혈(徑穴)을 그림으로 알기 쉽게 설명했고 침을 놓아 병을 고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동의보감>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병 증상에 따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허준은 사람들이 흔히 겪는 병 증세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쉬운 치료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했다. 허준은 증상에 따른 치료 방법을 자세히 기록하고 치료 근거가 되는 여러 가지 문헌을 들었다. 여기에는 우리나라에서 편찬되거나 중국에서 수입된 의서는 물론, 민간에 전하는 속방(俗方)의 치료 방법과 허준 자신이 직접 경험한 비방까지 포함되어 있다. 내용의 충실성은 물론 민간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어려서 서자로 자라며 서민들의 고통을 스스로 체험했던 허준은 왕족이나 양반 사대부들의 치료는 물론 가난한 민중을 병마에서 구하는 데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대표적 예로 <언해두창집요〉·〈언해태산집요〉·〈언해구급방〉 등 우리말로 된 의서를 간행한 점을 들 수 있다.

<동의보감>이 한국인에게 주는 가장 큰 의의는 이 책이 한민족에게 맞게 만들어진 의서라는 점이다. 당시에도 이미 많은 의서가 중국에서 수입되었지만 그 책들은 내용이 서로 모순되는 경우가 많았다. 무엇보다 한국과 중국은 자연 환경, 서식하는 동식물, 음식, 질병 등이 달라 중국의 의학을 그대로 한민족에 적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었다. 허준은 이런 점을 감안하여 한민족에 맞는 새로운 의서 <동의보감>을 만들어낸 것이다. 중국의 의서를 참고할 때도 우리 현실에 맞는 부분만 골랐고 “국산 약을 널리, 쉽게 쓸 수 있도록 약초 이름은 조선 사람이 부르는 이름을 한글로 쓴다”라는 집필 원칙을 두기도 했다.

국내외 많은 사람에게 인정받은 <동의보감>은 2009년 7월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교열본

조선 의학의 표준을 세우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은 1610년에 완성하여 1613년 목활자로 인쇄된 조선에서 가장 오래된 의학 서적이다. 이 책의 대표 저자는 허준(許浚, 1539〜1615)이라는 의원이다. 책 제목의 ‘동의’는 중국 남쪽과 북쪽의 의학 전통에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동쪽의 의학 전통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조선의 의학 전통을 말한다. ‘보감’은 ‘보배스러운 거울’이란 뜻으로 ‘모범이 될 만하다’라는 뜻을 지닌다. 허준은 조선의 의학 전통을 계승하여 중국과 조선 의학의 표준을 세웠다는 뜻으로 <동의보감>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동의보감>의 편찬 사업은 선조의 명령으로 시작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의주로 피란 갔다가 서울로 돌아온 선조는 전쟁 피해를 복구하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그 일환으로 선조는 1596년 의원 허준에게 새 의학 서적의 편찬을 지시했다. 민간에서 이용되던 의학 서적들이 전란 중에 거의 다 없어졌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허준을 비롯하여 정작(鄭碏), 이명원(李命源), 양예수(楊禮壽), 김응탁(金應鐸), 정예남(鄭禮男) 등 여섯 명이 편찬 작업에 참여했다. 그러나 끝내는 허준이 혼자 집필하여 14년 만에 책을 완성할 수 있었다.

<동의보감> 완성까지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우선 목차가 겨우 만들어졌던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났다. 이 전쟁 때문에 작업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뿔뿔이 흩어져버려 <동의보감> 편찬 작업이 중단되었다. 전쟁이 완전히 끝난 후 1601년 선조는 허준을 불러 왕실에서 소장하고 있던 고금의 의서 500여 권을 내주면서 혼자서라도 <동의보감>을 완성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내의원 일이 바빴던 허준은 선조가 세상을 떠난 1608년까지 절반도 끝내지 못했다. 허준은 선조의 죽음에 대한 문책으로 의주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동의보감> 집필에 전념했다. 1609년 말 귀양에서 풀려난 허준은 이듬해 8월 <동의보감>을 완성하여 광해군에 바쳤다. 하지만 전쟁 직후라 출판할 사정이 되지 못했고 3년이 지난 1613년에야 인쇄본이 출판될 수 있었다.

한민족을 위한 의학서

<동의보감>은 목차 2권, 의학 내용 23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학 내용은 ‘내경편(內景篇)’, ‘외형편(外形篇)’, ‘잡병편(雜病篇)’, ‘탕액편(湯液篇)’, ‘침구편(鍼灸篇)’ 등 다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경편’에는 신체 내부와 관련된 내용을, ‘외형편’에는 신체 외부와 관련된 내용을 실었다. ‘잡병편’에는 신체 관련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각종 병 이론과 구체적인 병 내용이 담겨 있다. ‘탕액편’은 약에 관한 이론과 구체적인 약물에 관한 각종 지식이, ‘침구편’에는 침 · 뜸에 대한 이론과 실제 사용 방법이 실려 있다. 침을 놓는 데 필요한 경혈(徑穴)을 그림으로 알기 쉽게 설명했고 침을 놓아 병을 고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동의보감>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병 증상에 따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허준은 사람들이 흔히 겪는 병 증세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쉬운 치료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했다. 허준은 증상에 따른 치료 방법을 자세히 기록하고 치료 근거가 되는 여러 가지 문헌을 들었다. 여기에는 우리나라에서 편찬되거나 중국에서 수입된 의서는 물론, 민간에 전하는 경험적인 치료 방법과 허준 자신이 직접 체험한 비방까지 포함되어 있다. 내용의 충실성은 물론 민간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어려서 서자로 자라며 서민들의 고통을 스스로 체험했던 허준은 왕족이나 양반 사대부들의 치료는 물론 가난한 민중을 병마에서 구하는 데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대표적 예로 <언해두창집요〉·〈언해태산집요〉·〈언해구급방〉 등 우리말로 된 의서를 간행한 점을 들 수 있다.

<동의보감>이 한국인에게 주는 가장 큰 의의는 이 책이 한민족에게 맞게 만들어진 의서라는 점이다. 당시에도 이미 많은 의서가 중국에서 수입되었지만 그 책들은 내용이 서로 모순되는 경우가 많았다. 무엇보다 한국과 중국은 자연 환경, 서식하는 동식물, 음식, 질병 등이 달라 중국의 의학을 그대로 한민족에 적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었다. 허준은 이런 점을 감안하여 한민족에 맞는 새로운 의서 <동의보감>을 만들어낸 것이다. 중국의 의서를 참고할 때도 우리 현실에 맞는 부분만 골랐고 “국산 약을 널리, 쉽게 쓸 수 있도록 약초 이름은 조선 사람이 부르는 이름을 한글로 쓴다”라는 집필 원칙을 두기도 했다.

일본과 중국에서도 일곱 차례 간행된 바 있으며 목활자 초판본은 남아있지 않고 뒤에 목판본으로 인쇄된 것이 전해진다. 국내외 많은 사람에게 인정받은 <동의보감>은 2009년 7월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출처 및 관련자료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관련자료
    • 김호,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일지사, 2000.
    • 김두종, 『조선의학사』,김두종, 탐구당, 1966.
    • 윤병태, 「동의보감해제」, 『도서관』106,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