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조선 세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지식 관계망)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4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세종대왕 표준영정.jpg
+
|사진=joseon_king_mid.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세종
 
|대표명칭=세종
29번째 줄: 30번째 줄:
 
|유형=
 
|유형=
 
}}
 
}}
 +
==정의==
 +
세종(世宗, 1397년~1450)은 조선의 제4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은 1418~1450년이다.
  
==정의==
 
세종(世宗, 1397년~1450)은 조선의 제4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은 1418~1450년이다. 이름은 도(祹)이고 자(字)는 원정(元正)이며, ‘세종(世宗)’은 묘호(廟號)이다.
 
 
==내용==
 
==내용==
 
===출생과 즉위===
 
===출생과 즉위===
[[조선 세종]]은 [[조선 태종|태종(太宗)]]과 [[원경왕후|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의 셋째 아들로, 1397년(태조 6) 4월 10일 한양 준수방(俊秀坊)의 [[조선 태종|태종]] 사저(私邸)에서 출생하였다. 1408년(태종 8) 2월 11일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졌고, 청송 심씨 [[심온]]의 [[소헌왕후|딸]]과 혼인했다. 1412년(태종 12) 5월 3일에 다시 충녕대군(忠寧大君)으로 진봉(進封)되었다. 1418년(태종 18) 6월 3일 세자에 책봉되었으며, 같은 해 8월 10일 태종의 양위를 받아 [[경복궁 근정전|경복궁 근정전(勤政殿)]]에서 즉위하였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조선 세종]]은 [[조선 태종]]과 [[원경왕후]]의 셋째 아들로, 1397년 4월 10일 한양 준수방(俊秀坊)의 [[조선 태종|태종]] 사저(私邸)에서 출생하였다. 1408년 2월 11일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졌고, 청송 심씨 [[심온]]의 [[소헌왕후|딸]]과 혼인했다. 1412년 5월 3일에 다시 충녕대군(忠寧大君)으로 진봉(進封)되었다. 1418년 6월 3일 세자에 책봉되었으며, 같은 해 8월 10일 즉위하였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집현전]]의 설치와 인재양성===
 
===[[집현전]]의 설치와 인재양성===
[[조선 세종]]은 조선의 문물·제도 정비를 완성하고 성리학(性理學)에 기반한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원만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재 양성과 학문 진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1420년 이를 위한 학술 기관으로 [[집현전]]을 설립하였다. [[조선 세종|세종]]은 젊고 유능한 학자들을 [[집현전 ]]학사로 발탁했으며, 이들이 장기간 [[집현전]]에서 학문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 특전을 주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사가독서|사가독서(賜暇讀書)]]로, [[집현전]] 관원들에게 일정 기간 휴가를 주어 정무(政務)에서 벗어나 재충전을 하면서 학문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
1420년 학술 기관인 [[집현전]]을 설립하였다. [[조선 세종|세종]]은 [[집현전 ]]학사를 발탁하여, 이들이 장기간 [[집현전]]에서 학문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 특전을 주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사가독서|사가독서(賜暇讀書)]]이다.
 +
 
 
===[[훈민정음]]의 창제===
 
===[[훈민정음]]의 창제===
[[조선 세종|세종]]이 [[훈민정음]]을 처음 창제한 것은 1443년(세종 25) 12월이었다. 이후 세종은 [[최항|최항(崔恒)]]· [[박팽년|박팽년(朴彭年)]]· [[신숙주|신숙주(申叔舟)]]· [[이현로|이현로(李賢老)]]· [[이개|이개(李塏)]]· [[강희안|강희안(姜希顔)]] 등에게 명하여 [[훈민정음]]으로 『[[운회|운회(韻會)]]』를 번역하게 하였고 국정 운영에 관한 문서들을 훈민정음으로 작성하는 등의 여러 가지 시험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1446년(세종 28) 9월 29일, 마침내 훈민정음의 완성을 공식 반포하였다. 세종은 『[[용비어천가|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거나 『[[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훈민정음으로 해설을 달아 반포하는 등 훈민정음 보급을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동국정운|동국정운(東國正韻)]]』·『[[홍무정운역훈]]』 등을 편찬하여 훈민정음으로 한자의 정확한 발음을 정리하는 작업도 추진하였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조선 세종|세종]]이 [[훈민정음]]을 처음 창제한 것은 1443년 12월이었다. 이후 세종은 [[최항|최항(崔恒)]]· [[박팽년|박팽년(朴彭年)]]· [[신숙주|신숙주(申叔舟)]]· [[이현로|이현로(李賢老)]]· [[이개|이개(李塏)]]· [[강희안|강희안(姜希顔)]] 등에게 명하여 여러 문서들을 훈민정음으로 작성하는 등의 시험 과정을 거쳤다. 1446년 9월 29일, 마침내 훈민정음의 완성을 공식 반포하였다. 세종은 『[[용비어천가|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거나 『[[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훈민정음으로 해설을 달아 반포하는 등 훈민정음 보급을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동국정운|동국정운(東國正韻)]]』·『[[홍무정운역훈]]』 등을 편찬하여 훈민정음으로 한자의 정확한 발음을 정리하는 작업도 추진하였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의례와 음악의 정비===
 
===의례와 음악의 정비===
 
====의례분야====
 
====의례분야====
국가 의례의 정비는 새 나라 조선의 위상에 걸맞는 의례의 제도를 확정하는 것으로 [[조선 태종|태종]]대 [[의례상정소]]가 설치된 이후 본격화되었고 세종대 [[집현전]]이 설치되면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태종~세종대에 추진된 오례 정비의 결과가 정리된 것이 바로 『세종실록(世宗實錄)』에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는 「[[세종실록오례|세종실록오례(世宗實錄五禮)]]」이다. 세종대에 정비된 오례의 내용은 이후 세조~성종대의 보완·정비 과정을 거쳐 1474년(성종 5)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간행·반포로 최종 귀결되었다.
+
국가 의례의 정비는 세종대 [[집현전]]이 설치되면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결과가 정리된 것이 바로 『세종실록(世宗實錄)』에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는 「[[세종실록오례|세종실록오례(世宗實錄五禮)]]」이다. 이후 보완·정비 과정을 거쳐 1474년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간행·반포로 귀결되었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음악분야====
 
====음악분야====
세종의 음악적 업적은 크게 아악(雅樂) 정비, 악기(樂器) 제작, 향악(鄕樂) 창작, 정간보(井間譜) 창안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세종은 종래의 불완전한 아악을 정비하기 위해 [[박연|박연(朴堧)]] 등으로 하여금 [[율관|율관(律管)]]을 제정하고, [[편경|편경(編磬)]]·[[편종|편종(編鐘)]] 등의 아악기를 새로 만들며, 조회(朝會)·회례(會禮) 및 국가 제례에서 사용할 아악을 제정하게 하였다. 또, 세종은 직접 「[[정대업|정대업(定大業)]]」·「[[보태평|보태평(保太平)]]」·「[[봉래의|봉래의(鳳來儀)]]」 등의 음악을 작곡하여 국가 의례에서 연주하도록 했다. 한편, 세종은 음의 시가(時價)와 박자를 표시할 수 있는 기보법(記譜法)을 창안했는데, 그것이 바로 [[정간보|정간보(井間譜)]]이다<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세종은 아악을 정비하기 위해 [[박연|박연(朴堧)]] 등이 [[율관|율관(律管)]]을 제정하고, [[편경|편경(編磬)]]·[[편종|편종(編鐘)]] 등의 아악기를 새로 만들었다. 세종은 직접 「[[정대업|정대업(定大業)]]」·「[[보태평|보태평(保太平)]]」·「[[봉래의|봉래의(鳳來儀)]]」 등의 음악을 작곡하였다. 기보법(記譜法)[[정간보|정간보(井間譜)]]를 제작하였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법제의 정비===
 
1397년(태조 6)에 『[[경제육전|경제육전(經濟六典)]]』이 편찬되었고, 1408년(태종 8)에는 『경제육전』 이후의 법령들을 모은 『[[속육전|속육전(續六典)]]』이 편찬되었다. 1422년(세종 4)~1428년에 『[[속육전]]』 이후 시행된 조례(條例)들을 정리한 『[[신속육전등록|신속육전등록(新續六典謄錄)]]』이 편찬되었다. 이어 1433년(세종 15)에는 『경제육전』 이후 편찬된 『속육전』 계열 법전들의 내용과 그 이후 시행된 조례들을 종합·정리한 『[[신찬경제속육전|신찬경제속육전(新撰經濟續六典)]]』과 『[[육전등록|육전등록(六典謄錄)]]』이 편찬되었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과학 기술의 발전===
 
===과학 기술의 발전===
 
====천문분야====
 
====천문분야====
세종은 1432년(세종 14)부터 [[장영실|장영실(蔣英實)]]· [[이천|이천(李蕆)]] 등에게 [[혼천의|혼천의(渾天儀)]]를 비롯한 각종 천문 관측 기계들을 제작하게 하여 1438년에 모두 완성하였다. 1434년에는 경복궁 안에 석축 간의대(簡儀臺)를 축조하고 이곳에 관측 기계들을 비치하여 매일 밤 천문을 관측하게 하였다. 1434년에는 물시계 [[자격루|자격루(自擊漏)]]가 만들어졌고, 이것을 [[경복궁 보루각|보루각(報漏閣)]]에 설치하여 표준시계로 사용하였다. 또, 1441년(세종 23)에는 [[측우기|측우기(測雨器)]]가 발명되어 새로운 강우량 측정 제도가 마련되었다. 한편, 세종은 역서(曆書)의 정리와 편찬에도 관심을 가졌는데, 그 결과 『[[칠정산내외편|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1442년)과 『[[제가역상집|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1445) 등이 편찬되었다.  
+
세종은 1432년부터 [[장영실|장영실(蔣英實)]]· [[이천|이천(李蕆)]] 등에게 [[혼천의|혼천의(渾天儀)]]천문 관측 기계들을 제작하게 하여 1438년에 모두 완성하였다. 1434년에는 [[자격루|자격루(自擊漏)]]가 만들어졌다. 1441년에는 [[측우기|측우기(測雨器)]]가 제작되었다. 『[[칠정산내외편|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1442년)과 『[[제가역상집|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1445) 등이 편찬되었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의학분야====
 
====의학분야====
세종은 1431년(세종 13) 집현전 학사 [[유효통|유효통(兪孝通)]] 등에게 명하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재를 이용한 처방을 연구하게 하여, 2년 만에 『[[향약집성방|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편찬하였다. 또, 1445년에는 역시 집현전에 명하여 임상적 처방을 병증에 따라서 분류·집성한 『[[의방유취|의방유취(醫方類聚)]]』를 편찬하였다.
+
세종은 1431년 [[유효통|유효통(兪孝通)]] 등에게 명하여 『[[향약집성방|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편찬하였다. 1445년에 집현전에 명하여 『[[의방유취|의방유취(醫方類聚)]]』를 편찬하였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농업분야====
 
====농업분야====
세종은 삼남 지역에 관리를 파견하여 농사 경험이 풍부한 나이 많은 농부들로부터 농사짓는 방법들을 채집하게 하였다. 그리고 [[정초|정초(鄭招)]] 등에게 명하여 삼남에서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농사 방법들을 종합·정리하게 했는데, 그 결과물이 1429년(세종 11)에 편찬된 『[[농사직설|농사직설(農事直說)]]』이다.
+
세종은 [[정초|정초(鄭招)]] 등에게 명하여 삼남에서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429년 『[[농사직설|농사직설(農事直說)]]』을 편찬하였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인쇄술분야====
 
====인쇄술분야====
 
금속활자의 주조가 활발히 추진되어 [[경자자|경자자(庚子字, 1420년)]], [[갑인자|갑인자(甲寅字, 1434년)]], [[병진자|병진자(丙辰字, 1436년)]] 등이 만들어졌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금속활자의 주조가 활발히 추진되어 [[경자자|경자자(庚子字, 1420년)]], [[갑인자|갑인자(甲寅字, 1434년)]], [[병진자|병진자(丙辰字, 1436년)]] 등이 만들어졌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군사분야====
 
====군사분야====
화약 무기 제조 기술이 크게 발전하여 각종 화포(火砲)의 개량과 발명이 계속되었고, 1448년(세종 30)에는 화포 제작 및 화약 사용법을 정리한 『[[총통등록|총통등록(銃筒謄錄)]]』이 편찬되었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1448년 『[[총통등록|총통등록(銃筒謄錄)]]』이 편찬되었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육진 개척]]===
 +
세종은 빈번한 침입과 약탈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던 여진족에 대한 정벌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 결과 압록강 유역에는 여연군·자성군·무창군·우예군 등의 4군을 설치했고, 두만강 방면에는 [[김종서|김종서(金宗瑞)]]를 보내서 경성·회령·종성·경흥·온성·부령 등의 6진을 개척하였다. [12]
  
===[[공법]]의 시행===
+
==지식 관계망==
세종은 1436년(세종 18) 공법상정소(貢法詳定所)를 설치하고 집현전 학자들에게 관련 제도를 연구하게 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 다음 1443년(세종 25) 7월 하삼도에서부터 [[공법]]을 실시하였다. 공법 이전에는 관리가 매년 풍·흉작을 조사하여 세율을 정하는 [[답험손실법|답험손실법(踏驗損實法)]]을 적용했으나, 풍흉을 조사하는 답험관의 부정으로 폐해가 컸기 때문에 이를 개정한 것이다. 공법은 토지를 비옥도에 따라 6등급, 풍흉 정도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고 기본 세율을 1/20로 하는 것이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세종의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에 관한 지식관계망'''
  
===북방 개척과 [[4군6진]]===
+
<html>
세종은 빈번한 침입과 약탈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던 여진족에 대한 정벌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 결과 압록강 유역에는 여연군·자성군·무창군·우예군 등의 4군을 설치했고, 두만강 방면에는 [[김종서|김종서(金宗瑞)]]를 보내서 경성·회령·종성·경흥·온성·부령 등의 6진을 개척하였다. <ref>강문식,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44 세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지식 관계망==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11/A211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1/A001.htm 세종대왕 표준영정의 제작과 논란에 관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10/A210.htm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시험작에 관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3/A023.htm 분류두공부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16/A016.htm 삼강행실도 언해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7/A007.htm 월인석보에 관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9/A009.htm 대불정수능엄경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5/A005.htm 용비어천가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6/A006.htm 월인천강지곡에 관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3/A003.htm 동국정운에 관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4/A004.htm 홍무정운역훈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12/E012.htm 황희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6/C026.htm '''"육진개척"(김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조선 세종]] || [[조선 태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 [[조선 세종]] || [[최해산]] ||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 A ekc:hasSubject B
|-
 
| [[조선 세종]] || [[원경왕후]]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
 
| [[조선 태종]] || [[원경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
 
| [[조선 세종]] || [[정소공주]] || A는 딸 B를 두었다 ||
 
|-
 
| [[조선 세종]] || [[정의공주]] || A는 딸 B를 두었다 ||
 
 
|-
 
|-
| [[조선 세종]] || [[조선 문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
| [[조선 세종]] || [[효령대군]]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
| [[조선 세종]] || [[조선 세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
| [[조선 세종]] || [[육진 개척]]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선 세종]] || [[안평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
| [[김태-육진개척]] || [[육진 개척]]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조선 세종]] || [[임영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
| [[조선 세종]] || [[훈민정음]]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조선 세종]] || [[광평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
| [[훈민정음]] || [[홍무정운역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선 세종]] || [[금성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
| [[훈민정음]] || [[용비어천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선 세종]] || [[평원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
| [[월인천강지곡]] || [[조선 세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조선 세종]] || [[영응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
| [[월인천강지곡]] || [[훈민정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선 세종]] || [[소헌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
| [[대불정수능엄경]] || [[훈민정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소헌왕후]] || [[심온]]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 [[조선 세종]] || [[소헌왕후 심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집현전]] || [[조선 세종]]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
| [[소헌왕후 심씨]] || [[심온]]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훈민정음]] || [[조선 세종]]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 1443년
+
| [[심온]] || [[심덕부]]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조선 세종]] || [[용비어천가]]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
| [[조선 세종]] || [[고려사]]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용비어천가]] 편찬 || [[용비어천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집현전]] || [[조선 세종]]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조선 세종]] || [[운회]]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
| [[동국정운]] || [[집현전]]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운회]] 편찬 || [[훈민정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훈민정음 해례본]] || [[조선 세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운회]] 편찬 || [[운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훈민정음 해례본]] || [[집현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조선 세종]] || [[삼강행실도]]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
| [[훈민정음 해례본]] || [[훈민정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삼강행실도]] 편찬 || [[훈민정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영릉]]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삼강행실도]] 편찬 || [[삼강행실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여주 신륵사]] || [[영릉]]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선 세종]] || [[동국정운]]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
| [[조선 세종]] || [[김시습]] ||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 A ekc:hasSubject B
 
|-
 
|-
| [[동국정운]] 편찬 || [[훈민정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황희]] ||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 A ekc:hasSubject B
 
|-
 
|-
| [[동국정운]] 편찬 || [[동국정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김종서]] ||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 A ekc:hasSubject B
 
|-
 
|-
| [[조선 세종]] || [[홍무정운역훈]]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
| [[조선 세종]] || [[조선 세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홍무정운역훈]] 편찬 || [[훈민정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조선 문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홍무정운역훈]] 편찬 || [[홍무정운역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조선 태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집현전]] || [[세종실록오례]] 편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
| [[소헌왕후 심씨]] || [[양평 용문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세종실록오례]] 편찬 || [[세종실록오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집현전]] || [[김수온]]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국조오례의]] || [[세종실록오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집현전]] || [[성삼문]]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정대업]] || [[조선 세종]]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 [[집현전]] || [[신숙주]]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보태평]] || [[조선 세종]]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 [[집현전]] || [[박팽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봉래의]] || [[조선 세종]]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 [[의방유취]] || [[집현전]]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조선 세종]] || 율관·편경·편종 제작 || A는 B를 명령하였다 ||
+
| [[조선 세종]] || [[최덕지]] ||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 A ekc:hasSubject B
 
|-
 
|-
| [[박연]] || 율관·편경·편종 제작 || A는 B를 주도하였다 ||
+
| [[조선 세종]] || [[농사직설]]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율관·편경·편종 제작 || [[율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의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율관·편경·편종 제작 || [[편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세종실록오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율관·편경·편종 제작 || [[편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세종실록오례]] || [[국조오례의 ]]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율관]] || [[박연]]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 [[삼강행실도]] || [[집현전]]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편경]] || [[박연]]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 [[향약집성방]] || [[조선 세종]]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편종]] || [[박연]]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 [[정간보]] || [[조선 세종]]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 [[조선 세종]] || [[신속육전등록]]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22년
 
|-
 
| [[신속육전등록]] 편찬 || [[신속육전등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신찬경제속육전]]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33년
 
|-
 
| [[신찬경제속육전]] 편찬 || [[신찬경제속육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육전등록]]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33년
 
|-
 
| [[육전등록]] 편찬 || [[육전등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혼천의]] 제작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32년
 
|-
 
| [[혼천의]] 제작 || [[혼천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혼천의]] || [[장영실]]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 [[혼천의]] || [[이천]]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  [[조선 세종]] || [[자격루]] 제작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34년
 
|-
 
| [[자격루]] 제작 || [[자격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측우기]] 제작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41년
 
|-
 
| [[측우기]] 제작 || [[측우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칠정산내외편]]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42년
 
|-
 
| [[칠정산내외편]] 편찬 || [[칠정산내외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제가역상집]]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45년
 
|-
 
| [[제가역상집]] 편찬 || [[제가역상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농사직설]]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29년
 
|-
 
| [[농사직설]] 편찬 || [[농사직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정초]] || [[농사직설]] 편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1429년
 
|-
 
| [[조선 세종]] || [[갑인자]] 제작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20년
 
|-
 
| [[조선 세종]] || [[경자자]] 제작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34년
 
|-
 
| [[조선 세종]] || [[병진자]] 제작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36년
 
|-
 
| [[조선 세종]] || [[총통등록]]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48년
 
|-
 
| [[조선 세종]] || [[공법]]의 시행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43년
 
|-
 
| [[공법]]의 시행 || [[공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선 세종]] || [[4군6진]] 개척 || A는 B를 명령하였다 ||
 
|-
 
| [[김종서]] || [[4군6진]] 개척 || A는 B를 주도하였다 || 
 
|-
 
| [[조선 세종]] || [[장영실]] || A는 B를 신하로 두었다 ||
 
|-
 
| [[조선 세종]] || [[김종서]] || A는 B를 신하로 두었다 ||
 
 
|-
 
|-
 
|}
 
|}
307번째 줄: 24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더 읽을 거리===
 
*단행본
 
*단행본
 
**박현모, 『세종의 서제』, 서해문집, 2016.
 
**박현모, 『세종의 서제』, 서해문집, 2016.
322번째 줄: 263번째 줄:
 
**정달영, 「세종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 『한민족문화연구』22, ,  한민족문화학회, 2007.
 
**정달영, 「세종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 『한민족문화연구』22, ,  한민족문화학회, 2007.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박혜정,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5/menu/251?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5&bbIdx=2990&brdType=R 21세기를 꿰뚫어본 세종대왕의 음악가 정신]", 명사칼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2012년 06월 20일.
+
*박혜정,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5/menu/251?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5&bbIdx=2990&brdType=R 21세기를 꿰뚫어본 세종대왕의 음악가 정신]", 명사칼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2년 06월 20일.
[[분류:한글고문서]]
+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이혜영]]
+
[[분류:역사인물]]

2017년 11월 27일 (월) 05:01 기준 최신판

 


세종(世宗)
Joseon king mid.png
대표명칭 세종
한자표기 世宗
생몰년 1397-1450
이칭 세종대왕
시호 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
원정(元正)
출생지 한양 중수방
사망지 경복궁 근정전
시대 조선
대표직함
배우자 소헌왕후
조선 태종
원경왕후
자녀 정소공주,조선 문종, 정의공주, 조선 세조, 안평대군, 임영대군, 광평대군, 금성대군, 평원대군, 영응대군
전임자 조선 태종
후임자 조선 문종
능묘 영릉


정의

세종(世宗, 1397년~1450)은 조선의 제4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은 1418~1450년이다.

내용

출생과 즉위

조선 세종조선 태종원경왕후의 셋째 아들로, 1397년 4월 10일 한양 준수방(俊秀坊)의 태종 사저(私邸)에서 출생하였다. 1408년 2월 11일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졌고, 청송 심씨 심온과 혼인했다. 1412년 5월 3일에 다시 충녕대군(忠寧大君)으로 진봉(進封)되었다. 1418년 6월 3일 세자에 책봉되었으며, 같은 해 8월 10일 즉위하였다. [1]

집현전의 설치와 인재양성

1420년 학술 기관인 집현전을 설립하였다. 세종집현전 학사를 발탁하여, 이들이 장기간 집현전에서 학문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 특전을 주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사가독서(賜暇讀書)이다.

훈민정음의 창제

세종훈민정음을 처음 창제한 것은 1443년 12월이었다. 이후 세종은 최항(崔恒)· 박팽년(朴彭年)· 신숙주(申叔舟)· 이현로(李賢老)· 이개(李塏)· 강희안(姜希顔) 등에게 명하여 여러 문서들을 훈민정음으로 작성하는 등의 시험 과정을 거쳤다. 1446년 9월 29일, 마침내 훈민정음의 완성을 공식 반포하였다. 세종은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거나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훈민정음으로 해설을 달아 반포하는 등 훈민정음 보급을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동국정운(東國正韻)』·『홍무정운역훈』 등을 편찬하여 훈민정음으로 한자의 정확한 발음을 정리하는 작업도 추진하였다. [2]

의례와 음악의 정비

의례분야

국가 의례의 정비는 세종대 집현전이 설치되면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 결과가 정리된 것이 바로 『세종실록(世宗實錄)』에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는 「세종실록오례(世宗實錄五禮)」이다. 이후 보완·정비 과정을 거쳐 1474년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간행·반포로 귀결되었다. [3]

음악분야

세종은 아악을 정비하기 위해 박연(朴堧) 등이 율관(律管)을 제정하고, 편경(編磬)·편종(編鐘) 등의 아악기를 새로 만들었다. 세종은 직접 「정대업(定大業)」·「보태평(保太平)」·「봉래의(鳳來儀)」 등의 음악을 작곡하였다. 또 기보법(記譜法)인 정간보(井間譜)를 제작하였다. [4]

과학 기술의 발전

천문분야

세종은 1432년부터 장영실(蔣英實)· 이천(李蕆) 등에게 혼천의(渾天儀)등 천문 관측 기계들을 제작하게 하여 1438년에 모두 완성하였다. 1434년에는 자격루(自擊漏)가 만들어졌다. 1441년에는 측우기(測雨器)가 제작되었다. 또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1442년)과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1445) 등이 편찬되었다. [5]

의학분야

세종은 1431년 유효통(兪孝通) 등에게 명하여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편찬하였다. 1445년에 집현전에 명하여 『의방유취(醫方類聚)』를 편찬하였다. [6]

농업분야

세종은 정초(鄭招) 등에게 명하여 삼남에서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429년 『농사직설(農事直說)』을 편찬하였다. [7]

인쇄술분야

금속활자의 주조가 활발히 추진되어 경자자(庚子字, 1420년), 갑인자(甲寅字, 1434년), 병진자(丙辰字, 1436년) 등이 만들어졌다. [8]

군사분야

1448년 『총통등록(銃筒謄錄)』이 편찬되었다. [9]

육진 개척

세종은 빈번한 침입과 약탈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던 여진족에 대한 정벌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 결과 압록강 유역에는 여연군·자성군·무창군·우예군 등의 4군을 설치했고, 두만강 방면에는 김종서(金宗瑞)를 보내서 경성·회령·종성·경흥·온성·부령 등의 6진을 개척하였다. [12]

지식 관계망

  • 세종의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에 관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 세종 최해산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A ekc:hasSubject B
조선 세종 효령대군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조선 세종 육진 개척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태-육진개척 육진 개척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조선 세종 훈민정음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훈민정음 홍무정운역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훈민정음 용비어천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월인천강지곡 조선 세종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월인천강지곡 훈민정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불정수능엄경 훈민정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세종 소헌왕후 심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소헌왕후 심씨 심온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심온 심덕부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조선 세종 고려사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집현전 조선 세종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동국정운 집현전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훈민정음 해례본 조선 세종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훈민정음 해례본 집현전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세종 영릉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주 신륵사 영릉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세종 김시습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A ekc:hasSubject B
조선 세종 황희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A ekc:hasSubject B
조선 세종 김종서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A ekc:hasSubject B
조선 세종 조선 세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선 세종 조선 문종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선 세종 조선 태종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소헌왕후 심씨 양평 용문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집현전 김수온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집현전 성삼문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집현전 신숙주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집현전 박팽년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의방유취 집현전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조선 세종 최덕지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A ekc:hasSubject B
조선 세종 농사직설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조선 세종 의정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세종 세종실록오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세종실록오례 국조오례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삼강행실도 집현전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향약집성방 조선 세종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408년 조선 세종소헌왕후와 혼인하였다.
1408년 조선 세종이 충녕군에 봉해졌다.
1412년 조선 세종이 충녕대군에 봉해졌다.
1418년 조선 세종이 세자에 책봉되었다.
1418년 조선 세종이 즉위하였다.
1420년 조선 세종집현전을 설립하였다.
1420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경자자가 제작되었다.
1422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신속육전등록이 편찬되었다.
1429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농사직설이 편찬되었다.
1431년 조선 세종향약집성방 편찬을 명령하였다.
1432년 조선 세종혼천의 제작을 명령하였다.
1433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신찬경제속육전이 편찬되었다.
1433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육전등록을 편찬되었다.
1433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향약집성방이 편찬되었다.
1434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자격루가 제작되었다.
1434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갑인자가 제작되었다.
1436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병진자가 제작되었다.
1436년 조선 세종공법의 시행을 명령하였다.
1438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혼천의가 제작되었다.
1441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측우기가 제작되었다.
1442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칠정산내외편가 편찬되었다.
1443년 조선 세종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1445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제가역상집이 편찬되었다.
1445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의방유취가 편찬되었다.
1446년 조선 세종훈민정음을 반포하였다.
1448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총통등록이 편찬되었다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강문식, "세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강문식, "세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강문식, "세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강문식, "세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강문식, "세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강문식, "세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7. 강문식, "세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8. 강문식, "세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9. 강문식, "세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박현모, 『세종의 서제』, 서해문집, 2016.
    • 김슬옹, 『세종, 한글로 세상을 바꾸다 : 소통과 어울림의 글자 한글 이야기』, 창비, 2013.
    • 지두환, 『세종대왕과ㅏ 친인척』, 역사문화, 2011.
    • 정윤재, 『(청소년을 위한)세종 리더십 이야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 논문
    • 송방송, 「세종의 음악 정치 목적과 방법 고찰」, 『동양예술』20,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2.
    • 김종명, 「세종의 불교관과 유교 정치」, 『불교학연구』25, ,불교학연구회, 2010.
    • 차문섭, 「세종대의 국방과 외교」, 『세종학연구』12·13,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 박병호, 「법제면에서 본 세종조 문화의 재조명」, 『세종학연구』8,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3.
    • 박성래, 「세종대 과학 발달의 뜻과 그 계승」, 『세종학연구』8,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3.
    • 오기수, 「세종대왕의 조세사상과 공법(貢法) 연구 -조세법 측면에서- 」, 『세무학연구』28, , 한국세무학회, 2011.
    • 정달영, 「세종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 『한민족문화연구』22, , 한민족문화학회, 2007.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