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해산
Encyves Wiki
최해산(崔海山) | |
대표명칭 | 최해산 |
---|---|
한자표기 | 崔海山 |
생몰년 | 1380년-1443년 |
시대 | 고려~조선 |
국적 | 원 |
대표직함 | 좌군절제사, 중추원부사 |
성격 | 무신 |
정의
조선 초기 무신이자, 최무선의 아들이다.
내용
아버지 최무선의 저서인 『화약수련법』과 『화포법』을 통해 화포와 화약에 관련된 비법을 전수받아 무기 제조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
![]() |
...아들이 있으니 최해산이다. 무선이 임종할 때에 책 한 권을 그 부인에게 주고 부탁하기를, "아이가 장성하거든 이 책을 주라."하였다. 부인이 잘 감추어 두었다가 해산의 나이 15세에 약간 글자를 알게 되어 내어주니, 곧 화약을 만드는 법이었다. | ![]() |
출처: 『태조실록』 7권, 태조 4년(1395) 4월 19일(임오) 1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명 홍무(洪武) 28년 검교 참찬문하부사 최무선의 졸기', |
최무선은 1401년(태종 1) 권근의 상소로 군기시에 등용되어 주부(注簿)에 올랐다.
![]() |
...최해산으로 군기 주부(軍器注簿)를 삼았다. 참찬(參贊) 권근이 상서하기를, "...고(故)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최무선은 처음으로 화약(火藥)을 제조하여 능히 해구(海寇)를 제어하였으니, 실로 국가에 공(功)이 있습니다. 그 아들 해산도 또한 마땅히 서용(敍用)하여야 합니다." 하였으므로, 그대로 따른 것이었다. |
![]() |
출처: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
1409년 10월 조선 태종이 지켜보는 가운데 최해산화차를 만들어 해온정(解慍亭)에서 발사실험을 하였다.
![]() |
...전하께서 최해산에게 명하여 그것을 주조하라 하니, 최군이 물러나와 대ㆍ중ㆍ소 20개를 만들어 올리자, 이것을 해온정(解慍亭)에 나가서 발사 시험을 하니, 화석포(火石炮)가 1백 50보의 거리까지 나갔으므로 최군은 내승마(內乘馬)를 상으로 받았다... | ![]() |
출처: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군기시(軍器寺). 온라인 참조: '군기시(軍器寺)', |
1424년(세종 6) 12월에는 군기판사로서 조선 세종을 모시고 광연루(廣延樓) 밑에서 화포를 발사하였다.[1]
그는 아버지인 최무선으로부터 전수받은 화약 제조 비법으로 화약병기와 화포 발전에 기여하였다.
![]() |
...아, 최군은 위로는 융숭한 위임을 저버리지 않았고, 아래로는 그 아버지가 비밀리에 남겨 준 기술을 잃지 않아, 아버지가 앞에서 시작한 것을 아들이 뒤에서 계승하였으니, 참 유능한 신하라 하겠고, 또한 유능한 아들이라 하겠다... | ![]() |
출처: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군기시(軍器寺). 온라인 참조: '군기시(軍器寺)',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해산 | 최무선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최해산화차 | 최해산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최해산화차 | 화차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최해산화차 | 철령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권근 | 최해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군기시 | 최해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이동 ↑ 『세종실록』 26권, 세종 6년(1424) 12월 14일(을묘) 3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군기 판사 최해산에게 명령하여 광연루에서 화포를 쏘게 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료
- 『태조실록』 7권, 태조 4년(1395) 4월 19일(임오) 1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명 홍무(洪武) 28년 검교 참찬문하부사 최무선의 졸기',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군기시(軍器寺). 온라인 참조: '군기시(軍器寺)',
『한국고전종합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 『세종실록』 26권, 세종 6년(1424) 12월 14일(을묘) 3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군기 판사 최해산에게 명령하여 광연루에서 화포를 쏘게 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태조실록』 7권, 태조 4년(1395) 4월 19일(임오) 1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명 홍무(洪武) 28년 검교 참찬문하부사 최무선의 졸기',
- 웹 자원
- "최해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