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범어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59번째 줄: 59번째 줄: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사찰]]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화유산]]
 +
[[분류:문화유산]]

2017년 11월 20일 (월) 23:31 판

부산 범어사
(釜山 梵魚寺)
대표명칭 부산 범어사
한자 釜山 梵魚寺
주소 부산시 금정구 청룡동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사찰.

내용

삼국유사』에 따르면 범어사는 678년(문무왕 18)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의상이 창건하고 의상의 제자 표훈(表訓)이 주석했던 범어사는 신라 화엄십찰(華嚴十刹)의 하나로서, 또 왜구를 진압하는 비보사찰(裨補寺刹)의 하나로서 중요한 가람이 되었다.[1] 범어사는 임진왜란 때 관련 기록이 모두 소실되는 바람에 그 변천 과정을 잘 알 수가 없다. 범어사는 임진왜란 때 불타 버린 뒤 10여 년을 폐허로 있다가 1602년(선조 35)에 관선사(觀禪師)가 중건하였으나 곧 또다시 화재로 소실되었다. 1613년(광해군 5)에 묘전(妙全), 현감(玄鑑), 계환(戒環), 법인(法仁), 천원(天元), 덕균(德均) 등이 법당 및 요사채, 불상과 시왕상(十王像), 그리고 필요한 집기들을 갖추어서 중창하였다. 1684년(숙종 10)에 해민(海敏) 화상(和尙)의 주도로 비로전이 건립되었고, 1700년(숙종 26)에는 명학 화상의 주도로 팔상전과 불이문이 건립되었다. 그 뒤 범어사는 많은 고승들을 배출하면서 사원의 규모를 넓혔으며 1900년대 들어 선찰 대본산(禪刹大本山)이란 이름 아래 민족적인 사찰로서 자리매김하면서 근대 민족 불교를 지향하는 중심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2]

관련 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부산 범어사 의상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표훈 부산 범어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원효 진영(범어사) 부산 범어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유정 진영(범어사) 부산 범어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각자료

주석

  1. 김위석, "범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최연주, "범어사", 『부산역사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위석, "범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연주, "범어사", 『부산역사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