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묘호란

Encyves Wiki
김선미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12일 (일) 20:29 판 (지식 관계망)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묘호란(丁卯胡亂)
정하명, "정묘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정묘호란
한자표기 丁卯胡亂
유형 사건
시대 조선시대
날짜 1627년
관련인물 조선 인조, 임경업, 최명길, 이원익, 이괄
관련유물유적 어머니 신천강씨가 딸 순천김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 산성일기


정의

1627년 후금(청)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전쟁.

내용

인조반정 후 악화된 조선과 후금의 관계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몰아내고 조정의 실권을 잡은 서인들은 광해군 때의 중립적 대외 정책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후금과의 관계를 끊는 한편, 모문룡을 지원하는 등 친명배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에 후금은 배후로부터 위협을 받게 되고, 명나라에 이어 조선과도 경제 교류의 길이 막혀 극심한 물자 부족에 허덕이게 되었다. 때문에 후금은 무력적인 수단으로 이를 타개할 기회를 노렸다.[1]

인조반정 후 조선의 불안과 정묘호란의 시작

한편 조선에서는 인조반정 뒤,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李适)반란을 일으켜 그 잔당이 후금과 내통하였다. 이에 청나라 청 태종은 1627년 1월 아민(阿敏)에게 3만의 병력으로 조선을 침공하게 하였다. 조선군은 능한산성(凌漢山城)을 비롯, 곳곳에서 후금군을 저지하는 데 실패하고, 모문룡신미도(身彌島)로 도망갔다. 인조장만(張晩)을 도체찰사로 삼아 적을 막게 하고, 여러 신하를 각지에 파견해 근군(勤軍)을 모집하였다. 그 동안 후금군은 남진을 계속, 안주성을 점령하고 다시 평양을 거쳐 황주까지 진출하였다. 그리고 평산에 포진했던 장만은 개성으로 후퇴하였다.[2]

조선과 후금 화약을 맺다

전세가 극도로 불리하자 김상용(金尙容)이 유도대장(留都大將)이 되어 서울을 지키고, 소현세자(昭顯世子)는 전주로 남하하였다. 이 사이 인조는 전란을 피해 강화도로 들어갔다. 한편, 각지에서는 의병이 일어나 후금군의 배후를 공격하거나 군량을 조달하는 등 분전하였다. 특히 정봉수(鄭鳳壽)·이립(李立) 등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평산까지 진출한 후금군은 계속 남하하는 데 따르는 후방의 위협을 염려하게 되었고, 조선은 전쟁을 계속할 여력이 남지 않았다. 이에 후금군은 평산 이남으로 더 이상 진출하지 않고 곧 철병하고, 양국은 형제의 나라로 일컬으며, 조선은 후금과 화약을 맺되 명나라에 적대하지 않는다는 등의 조건으로 3월 3일 두 나라 사이에 화의가 성립되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묘호란 친명배금 정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친명배금 정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인조반정 친명배금 정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인조반정 조선 인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인조반정 이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괄의 난 이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이괄의 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청 숭덕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청 숭덕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아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모문룡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장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김상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인조 소헌세자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정묘호란 정봉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이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산성일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송시열 분재 편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났다
1624년 이괄의 난이 일어났다
1627년 1월-3월 정묘호란이 일어났다
1636년 12월-1637년 1월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정하명, "정묘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하명, "정묘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하명, "정묘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용흠, 「정묘호란(丁卯胡亂)과 주화(主和),척화(斥和) 논쟁」, 『韓國思想史學』26, 한국사상사학회, 2006, 159-199쪽.
    • 권내현, 「정묘호란 의병장 정봉수의 활약과 조선왕조의 인식」, 『한국사학보』42, 고려사학회, 2011, 113-139쪽.
  • 웹자원
    • 정하명, "정묘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