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
갓 (笠) |
|
대표명칭 | 갓 |
---|---|
한자표기 | 笠 |
이칭별칭 | 黑笠 |
구분 | 관 및 쓰개 |
착용신분 | 왕, 왕세자, 문무백관, 평민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왕의 편복, 왕세자의 편복, 백관의 편복이나 평민들이 관례나 제례 등의 의례에 도포, 직령(直領), 창의(氅衣), 중치막(中赤莫)의 위에 쓰던 조선시대 모든 남성들이 착용한 관모이다.
내용
복식세부
형태
대오리를 가늘게 갈라서 양태와 대우를 만들고 그 위에 베[布]나 실[絲], 말총[馬尾]을 이용해 만든 후 검은 옷칠을 해서 만든다. [1] 조선시대 남성의 대표적 쓰개인 갓은 정수리를 덮는 원통형의 ‘대우’와 차양의 역할을 하는 테두리인 ‘양태(凉太)’로 구성된다. [2]
갓은 시대에 따라서 정수리를 덮는 뿐의 높이와 양태의 너비에 변화가 있었다. 조선 초기의 형태는 정확히 알 수 없고, 성종(15세기)대에는 모정이 둥글고 챙이 넓은 형태였다. 연산군 초에는 모정이 조금 뾰족하게 변하였다가 연산군 말기부터 모자의 모양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원통형으로 되었다. 선조에서 광해군(17세기 초반) 때에는 양태가 가장 넓은 립이 유행하였고, 인조와 효종(17세기 중반) 때에는 모정이 높고 양태가 너무 넓어 문을 드나들 때 방해가 될 정도로 큰 립이 유행하였다. 이후 숙종 때에는 양태가 잠깐동안 작아졌으나 영조와 정조(18세기) 때에는 양태가 비교적 넓으며 거기에 밀화나 호박, 대모 등으로 만든 갓끈으로 멋을 부렸다. 순조(19세기 초) 때에 다시 넓은 갓이 유행하다가, 점차 작아지고 흥선대원군의 의관 개정(20세기 전후) 이후 작은 갓으로 정해졌다.[3]
갓이 벗겨지지 않게 하기 위해 끈을 달았는데 끈의 재료는 천으로 된 끈과 함께 옥, 마노, 호박, 산호, 수정, 밀화, 대나무 등 주영(珠纓)을 사용하면서 길이가 점점 길어져 장식적인 요소로 변화되었다. 양태와 대우를 싸는 재료에 따라 ‘포립(布笠)’, ‘사립(絲笠)’, ‘마미립(馬尾笠)’, ‘음양립(陰陽笠)’[4] 등이 있다. 원래 마미립은 당상관 이상에서만 썼는데 후에는 사족(士族)들도 쓰고 사치를 부렸다. [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왕 | 갓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왕세자 | 갓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백관 | 갓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온양민속박물관 | 갓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국립민속박물관 | 갓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갓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왕의 편복 | 갓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세자의 편복 | 갓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백관의 편복 | 갓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 궁중기록화 복식 갓(대오리)01.jpg
대오리로만 엮은 갓. [6]
- 궁중기록화 복식 갓(대오리와 베)02.jpg
대오리로 만든 양태에 베[布]를 입힌 갓. [7]
대오리로 뼈대를 잡고 말총으로 엮어 만든 양태에 베[布]를 입힌 갓. [8]
갓을 보관해두는 함. [9]
영상
주석
- ↑ 국립민속박물관, 『머리에서 발끝까지』, 국립민속박물관, 2011, 19쪽.
- ↑ 국립민속박물관, 『머리에서 발끝까지』, 국립민속박물관, 2011, 19쪽.
- ↑ 국립민속박물관, 『머리에서 발끝까지』, 국립민속박물관, 2011, 19쪽.
- ↑ 음양립(陰陽笠): 대우는 총으로 하고 양태는 포로 싼 갓의 이름이다.
- ↑ 황의숙 외3인,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 187쪽.
- ↑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 ↑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姜淳弟, 「우리 冠帽의 始末에 관한 硏究-男子 便服 冠帽를 中心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姜淳弟, 「笠制의 變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4.
- 姜淳弟, 「韓國 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服飾』 vol.1, 한국복식학회, 1977.
- 국립민속박물관, 『머리에서 발끝까지』, 국립민속박물관, 2011.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형박, 「朝鮮時代 笠(黑笠)의 造形性에 關한 硏究」,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5.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李民周, 「朝鮮時代 王族冠帽에 關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李銀喜, 「朝鮮朝 黑笠에 관한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이철성, 「18·19세기 朝鮮의 對淸貿易 展開過程에 관한 硏究-帽子·人蔘貿易을 둘러싼 譯·商間의 경쟁을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張淑煥, 「朝鮮後期 笠飾 硏究」,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장숙환, 「조선후기 笠飾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9 No.3,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陳美喜, 「朝鮮時代 男子 便服冠帽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황의숙 외3인,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