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조국장도감의궤

Encyves Wiki
정주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5월 10일 (수) 15:24 판 (기본 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복식문헌정보

정의

1834년 헌종憲宗이 즉위한 뒤 11월부터 1835년 4월까지 치러진 순조(1790~1834)의 국장 과정에 대해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순조국정도감의궤는 4권 4책으로 구성되었다. 순조가 1834년 11월 13일 해시(亥時)에 경희궁(慶熙宮) 회상전(會祥殿)에서 승하(昇遐)하자 복의(復儀)를 행하였다. 11월17일 장락전(長樂殿)에 빈전을 차렸다. 11월 18일에 성복(成服)하고, 11월 19일에 빈청회의(賓廳會議)를 통해 묘호·시호·전호·능호를 정하였다. 3번의 습의를 거쳐 1835년 4월 17일 발인(發靷)을 행하고, 이튿날 능소에 도착하였다. 19일 찬궁(欑宮)을 열고, 현궁(玄宮)을 내리는 일을 거행하였다. 반우(返虞)하여 창덕궁 선정전(宣政殿)에 봉안되었다. 묘호는 순종(純宗), 시호를 문안무정헌경성효(文安武靖憲敬成孝), 전호는 효성(孝成), 능호는 인릉(仁陵)이다.

복의, 묘호, 시호, 전호, 능호, 습의,능소, 찬궁, 현궁, 반우 뜻 표기나 페이지 작성이 필요함 (정주영)



목록

1책: 권수(卷首), 총목(總目), 권지일(卷之一)로 구성. 권지일은 도청의궤(都廳儀軌)를수록. 시일(時日), 좌목(座目), 전교(傳敎)(계사(啓辭) 병기), 장계(狀啓), 이문(移文), 내관(來關), 예관(禮關), 의주(儀註), 감결(甘結), 재용(財用, 식례(式例) 부기), 상전(賞典), 의궤(儀軌)
2책: 권지이(卷之二)로, 일방의궤(一房儀軌)와 이방의궤(二房儀軌)
3책: 권지삼(卷之三)으로, 삼방의궤(三房儀軌)
4책: 권지사(卷之四)로, 우주소의궤(虞主所儀軌), 표석소의궤(表石所儀軌), 지석소의궤(誌石所儀軌), 별공작의궤(別工作儀軌), 분장흥고의궤(分長興庫儀軌), 분전설사의궤(分典設司儀軌)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2책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3책 해제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춘추관본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32), (2631)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춘추관본(奎 13669), 오대산본(奎 13668), 예조본(奎 13670), 정족산성본(奎 1367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순조)국휼등록((純祖)國恤謄錄)』 (K2-2972), (K2-2973)

관련항목

문헌 → 소장처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조국장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한다
순조국장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문헌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조국장도감의궤 상례복 A는 B를 보여준다

문헌 → 의례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조국장도감의궤 상례 A는 B를 기록한다

의례 → 기관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상례 국장도감 A는 B에서 주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