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방상씨

Encyves Wiki
복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3일 (화) 18:50 판 (정의)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방상씨(方相氏)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방상씨
한자표기 方相氏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흉례(凶禮)-상례(喪禮)-발인(發引)에 사용



정의

국장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흉의장(凶儀仗)이다.

내용

사람이 분장하여 부정을 막는 방상씨 역할을 하였다.
4개의 황금색 눈을 단 붉은 가면을 쓰고, 검은색 상의와 붉은색 하의를 입고 곰가죽을 둘러썼다. 오른손에는 삼지창, 왼손에는 방패를 들었다.
행렬의 좌우로 2명씩 총 4명의 방상씨가 수레에 앉아 이동하며, 장지에 도착하면 현궁(玄宮)에 삼지창을 휘둘러 사특한 기운을 물리쳤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방상씨(方相氏)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방상씨(方相氏)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방상씨(方相氏)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방상씨(方相氏) 발인(發引)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
  2.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3.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박봉주, "방상씨(方相氏)",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이욱, "방상씨(方相氏)",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