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Encyves Wiki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
|
대표명칭 |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
---|---|
한자표기 | 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
주제 | 가례(嘉禮) |
작성주체 | 가례도감(嘉禮都監) |
의례담당자 | 이시백(李時白)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652년(효종 3년) |
소장처(원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오대산)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어람용: 총 1책 171장 오대산: 총 1책 124장 |
크기 | 어람용: 47.4×32.8 오대산: 45.5×35.5 |
도설 | 12면(채색) |
반차도 | 어람용: 16면(채색) 총 길이: 약 528㎝ 오대산: 12면(채색) 총 길이: 약 420㎝ |
목차
정의
1651년 현종(顯宗)과 명성왕후(明聖王后)의 혼례를 치르는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현종의 혼례를 위해 1651년 7월 가례도감이 설치되었다. 7월 19일 최종 간택(삼간택)을 거쳐 명성왕후가 낙점되었으며 이후 9월 28일 납채, 10월 17일 납폐, 10월 27일 고기, 11월 21일 책빈, 12월 22일 친영 및 동뢰등에 이르는 가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목록
계사(啓辭), 첩정(牒呈), 감결(甘結), 의주(儀註), 서계상전(書啓賞典),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2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오대산본(奎 13107), 강화부본(奎 1307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적상산성본(K2-268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 가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651년 | 현종과 명성왕후의 가례가 거행되었다 |
1651년 |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시각자료
가상현실
왕세자빈의 행렬
번호 | 이미지 | 대상 | 설명[1] | 복장/복식 |
---|---|---|---|---|
1 | 청양산(靑陽繖) | 청색 양산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2 | 함부(函負) | 함을 지고 가는 사람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2 | 기행나인(騎行内人) | 말을 탄 궁녀 | 전모(氈帽) 장삼(長衫) 치마(赤亇) 말군(襪裙) | |
2 | 보행나인(步行内人) | 걸어가는 궁녀 | 저고리(赤古里) 치마(赤亇) | |
2 | 상궁(尚宫) | 정5품 궁녀 | 너울[羅兀] 여립(女笠) 할의(割衣) 치마(赤亇) | |
3 | 향차비(香差備) | 향을 담당하는 관원 | 가리마 저고리(赤古里) 치마(赤亇) | |
4 | 별감(别監) | 호위를 맡았던 하급 군관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4 | 봉촉(捧燭) | 등불을 든 사람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4 | 소환귀유치(小宦歸遊赤) | 나이 어린 내시 | *홍건 *홍의 | |
5 | 나장(羅將) | 행렬의 호위를 담당하는 의금부나 병조의 하급 군졸 | 조건(皁巾) 반비의 협수주의(周衣) | |
6 | 별감(别監) | 호위를 맡았던 하급 군관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7 | 연(輦)-명성왕후(明聖王后) | 왕실에서 사용하는 지붕이 있는 가마로, 명성왕후(明聖王后)가 타고 있다. | 왕비의 소례복 | |
7 | 연배군(輦陪軍) | 왕비의 가마를 메는 군사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8 | 청선(靑扇) | 청색 부채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9 | 차지(次知) | 궁궐의 여러가지 일을 맡아 보던 사람 | *백관의 상복 | |
9 | 내관(內官) | 궁궐에서 음식이나 왕명 전달, 청소 등의 일을 맡아보던 환관 | *백관의 상복 | |
10 | 시녀(侍女) | 궁궐에서 왕비 등의 시중을 담당한 궁녀 | 너울[羅兀] 여립(女笠) 할의(割衣) 치마(赤亇) | |
10 | 의녀(醫女) | 내의원과 혜민서에 소속된 여자 의원 | 전모(氈帽) 저고리(赤古里) 치마(赤亇) | |
11 | 연배여군(輦陪餘軍) | 예비로 따라가는 왕비의 가마를 메는 군사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12 | 내의원관원(內醫院官員) | 왕의 약을 조제하던 의관 | 백관의 상복 | |
12 | 도사(都事) | 중앙과 지방 관청에서 사무를 담당한 관직 | 백관의 상복 |
도감 관원의 행렬
번호 | 이미지 | 대상 | 설명[2] | 복장/복식 |
---|---|---|---|---|
1 | 사령(使令) | 각 관청의 관원이 부리던 하인으로 호위와 시종을 담당함 | 갓 철릭 | |
1 | 서리(書吏) | 중앙 관아에 근무하던 하급 관원 | 갓 철릭 | |
2 | 도제조(都提調) | 육조의 속아문이나 군영 등에 두었던 정1품 관직으로, 현종-명성왕후 가례의 총책임자는 이시백(李時白)이었다. | 백관의 상복 | |
2 | 제조(提調) | 당상관 이상의 관원이 없는 관아에 겸직으로 임명하여 각 관아를 실질적으로 통솔하던 직책 | 백관의 상복 | |
2 | 도청(都廳) | 임시 관서인 도감의 관직 | 백관의 상복 | |
2 | 낭청(郎廳) | 각 관서에서 차출하여 겸임시켰던 당하관의 실무 담당 관직 | 백관의 상복 | |
2 | 감조관(監造官) | 여러가지 왕실행사의 실무를 감독하는 관원 | 백관의 상복 |
주석
- ↑ 제송희,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제송희,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혼정례』
- 『상방정례』
더 읽을거리
-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