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저고리(여성)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저고리
(赤古里)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저고리
한자표기 赤古里
구분 의복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 궁녀 등 모든 여성
착용성별 여성



정의

여자의 상의 종류를 총칭하는 용어로, 대한제국의 황후, 황태자비와 조선의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 궁녀, 일반 백성 등 모든 신분이 귀천 없이 평상시에 겉옷으로 착용하고, 의례에 참여할 때는 받침옷으로 착용하는 옷이다.[1]

내용

여자 저고리는 겉옷으로 장식적인 경향이 있다. 구성방법에 따라 홑(單)ㆍ겹(裌)ㆍ누비(衲)ㆍ솜(襦)으로 만들며, 길이와 구성상의 차이, 색상과 소재 깃의 형태 등의 차이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여 소(小), 장(長), 당(唐), 회장(回粧)의 수식어가 붙는다. 시대에 따라 여자 저고리는 길이가 점점 짧아지고 품이 좁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깃의 형태는 16세기까지 목판깃이 일반적이었으나 17세기 초에 당코 목판깃으로 변화되었다가 19세기에 당코 둥그레깃으로그리고 20세기에는 둥그레깃으로 변화되었다.[2] 문헌에 ‘저고리’라는 명칭은 1420년(세종 2) 원경왕후의 국상에서 '천전의(薦奠儀)'에 처음 나타난다.[3] 1483년 편찬된 『악학궤범(樂學軌範)』 여기(女妓) 복식중에도 깃과 끝동, 무에 금선(金線)을 댄 장저고리 형태의 그림에 ‘남저고리(藍赤古里)’라고 기록되어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후 저고리(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비 저고리(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비 저고리(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비 저고리(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내명부 저고리(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외명부 저고리(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일반 백성 저고리(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편복 저고리(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비의 편복 저고리(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비의 편복 저고리(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내명부의 편복 저고리(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외명부의 편복 저고리(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저고리(여성) 치마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0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1쪽.
  3. 『世宗實錄』 2년(1420) 9월 13일, 「……粉紅綾裌長衫一, 紫的段子裌隔音一, 粉紅段子繡甫老一, 紅段子赤古里一, 藍羅裌赤亇一, 帛綾裌襪裙一, 白苧布襪裙一, 白綃汗衫一, …….」
  4.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복식․자수편』, 문화재청, 2006, 216쪽.
  5.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姜太妊ㆍ朴有信, 「우리나라 女子服飾에 關한 硏究-저고리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3.
  • 金文子, 「朝鮮時代 저고리 깃에 대한 硏究」, 『服飾』 5권, 한국복식학회, 1981.
  • 김미자, 「한국 유(襦)의 일본 전파와 변천에 관한 연구」, 『服飾』 51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01.
  • 김미정, 「光州出土 朝鮮前期 積城 李氏 (女, 1458~1538) 저고리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金粉七, 「女子 저고리의 形態와 機能에 관한 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7권, 대한가정학회, 1969.
  • 김승혜, 「한복 차림새의 변천을 통해서 본 한국인의 미의식 –치마, 저고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김영숙, 「18세기 여자 저고리 옷길이 변화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9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85.
  • 김용서, 「新婦用 치마·저고리의 特徵에 관한 硏究-개화기 이후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1권 2호, 한복문화학회, 1998.
  • 柳在雲, 「朝鮮後期 女子 저고리 樣式變化의 象徵的 意味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 류재운ㆍ전혜숙, 「朝鮮後期 女子 저고리 短小化와 象徵的 意味 」, 『服飾』 39권, 한국복식학회, 1998.
  • 박춘순ㆍ조우현ㆍ이호정, 「근대이후 여자저고리 실물의 색채와 배색에 관한 연구」, 『服飾』 59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09.
  • 白錦鉉, 「옷깃과 옷섶의 形態變化에 대한 硏究-朝鮮時代의 저고리와 袍-」, 『服飾』 6권, 한국복식학회, 1982.
  • 변연홍, 「19·20C 여자 저고리길이 변천요인 –가슴 노출 저고리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유정자, 「16-17C 저고리의 바느질기법에 관한 연구 –충북대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이경자, 「여자 저고리 小考」, 『대한가정학회지』 제8권, 대한가정학회, 1970.
  • 李尙恩, 「朝鮮時代 異色配色 赤古里의 形態變化에 관한 硏究 -出土服飾을 中心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이상은ㆍ조효순, 「朝鮮時代 赤古里에 關한 硏究」, 『한복문화』 제3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0.
  • 이은정, 「저고리 섶의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이태옥, 「19세기 이후 여자 저고리 변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형태 및 봉제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이태옥ㆍ김구자, 「19세기 이후 여자 저고리 형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복문화』 제12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9.
  • 장인우ㆍ이춘계, 「16·17세기 저고리 형태에 관한 연구-출토복식 중심으로-」, 『服飾』 24권, 한국복식학회, 1995.
  • 조효순, 「조선조 風俗畵에 나타난 여자의 基本服飾연구(Ⅰ)-치마, 저고리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1권 2호, 한복문화학회, 1998.
  • 황유선,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黃孝榮, 「韓國女子 저고리 形態의 歷史的 變遷」, 『대한가정학회지』 제7권, 대한가정학회,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