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방유취
의방유취(醫方類聚) | |
대표명칭 | 의방유취 |
---|---|
한자표기 | 醫方類聚 |
유형 | 고서 |
편자 | 김수온, 유성원, 김예몽, 민보화, 신석조, 이예, 전순의, 최윤, 김유지, 노중례 |
저술시기 | 1445년 |
간행시기 | 1477년 |
시대 | 조선 |
수량 | 266권 264책 |
소장처 | 한독의약박물관 |
지정번호 | 보물 제1234호 |
지정일 | 1996년 01월 19일 |
목차
정의
세종 27년(1445)에 왕의 명에 의해 편찬된 한방의학의 백과사전으로, 이는 성종 8년(1477)에 활자로 다시 찍어내었다.
내용
의방유취의 편찬
1442년 세종은 의서들을 종류별로 모아 편찬하기 위하여 집현전 부교리 김예몽(金禮蒙), 저작랑 유성원(柳誠源), 사직 민보화(閔普和) 등에 명하여 편성시킨 뒤, 다시 집현전 직제학 김문(金汶)·신석조(辛碩祖), 부교리 이예(李芮), 승문원 교리 김수온(金守溫)에 명하여 의관(醫官) 전순의(全循義)·최윤(崔閏)·김유지(金有智) 등을 모아 편집하게 하였다. 그리고 안평대군(安平大君)과 도승지 김사철(金思哲), 우부승지 이사순(李師純), 첨지중추원사 노중례(盧仲禮)로 하여금 감수하게 하여 3년이 지난 1445년에 모두 365권을 편성하여 완료하였다. 그러나 그 뒤 1477년에 실제로 간행할 때에는 총권수 266권 264책으로 되어 있어 편성 당시에 비하여 훨씬 축소되었다. [1]
의방유취의 판본 사항
총 266권 264책으로 목활자본이고 한방의학의 백과사전이다. 이 책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가토(加藤淸正)가 약탈해 가서 일본 센다이(仙台)의 의사 구토가(工藤家)에 보관해 오다가, 현재 일본 궁내성 도서료(宮內省圖書寮)에 비장된 유일한 을해자 원간본이 남아 있다. 그 뒤 1852년(철종 3) 의관 기타무라(喜多村直寬)가 에도(江戶)에서 10년에 걸쳐 목활자로 축판(縮板), 중간하였다. 1876년(고종 13) 강화도조약이 강행될 때, 목활자 중인본 2질을 우리 정부에 수호예물로 헌납하였다. 이 2질 중 1질은 태의원(太醫院)에 보관되었다가 현재 장서각도서에 이장되었는데 이미 많이 낙질되었다. 나머지 1질은 조선 고종이 그 당시의 전의인 홍철보(洪哲普)에게 하사하였던 것인데, 그 뒤 다시 홍택주(洪宅柱)가 소장하고 있다가 현재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2]
의방유취의 내용
제1권 첫머리는 총론으로 의료기술·의료행위·복약방법·약품의 분류 등을 열거하였다. 그 다음에는 모든 질병을 91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처방을 출처의 연대순에 따라 열거하였다. 인용된 고전 의서들은 한·당·송·원·명시대에 이르는 중요한 고전 의서들이 153부나 망라되어 있다.<ref>김두종, "의방유취 권20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 성종 | 악학궤범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93년 |
악학궤범 편찬 | 악학궤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성현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유자광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신말평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박곤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김복근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장악원 | 신말평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
장악원 | 유자광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
동동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정읍사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봉래의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헌선도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육화대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아박무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몽금척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493년 | 조선 성종의 명으로 성현, 유자광, 신말평, 박곤, 김복근 등이 악학궤범을 편찬하였다. |
1655년 | 악학궤범이 복각되었다. |
1743년 | 악학궤범이 복각되었다. |
주석
- ↑ 김두종, "의방유취 권20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두종, "의방유취 권20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이혜구,『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 남상숙,『악학궤범 악론 연구』, 민속원, 2009.
- 논문
- 박은옥, 「《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국악원논문집』28, 국립국악원, 2013.
- 송방송, 「《악학궤범》의 음악사학적 소명」, 『진단학보』77, 진단학회, 1994.
- 웹자원
- "예악 정신과 음악-악학궤범 서문", 사료로 본 한국사,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악학궤범", 교과서 속 이미지 자료,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예악 정신과 음악-악학궤범 서문", 사료로 본 한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