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原州 居頓寺 圓空國師勝妙塔碑) |
|
대표명칭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gong at Geodonsa Temple Site, Wonju |
한자 | 原州 居頓寺 圓空國師勝妙塔碑 |
주소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로 270(정산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78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최충(崔冲) |
서자 | 김거웅(金巨雄) |
각자 | 정원(貞元), 계상(契想), 혜명(惠明), 득래(得來), 혜보(惠保)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지종(智宗) |
건립연대 | 1025년 |
승탑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
정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거돈사지(居頓寺址)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원공국사 지종(圓空國師 智宗, 930-1018)의 탑비.
내용
개요
비신의 높이 252㎝, 너비 124.5㎝. 이 탑비는 전체적으로 비신은 가늘고 상부는 비대한 조형 경향을 보여준다.[1] 귀부(龜趺)의 거북머리가 용머리같이 변화하였는데 양쪽 귀 뒤가 물고기 지느러미같이 되어 있다. 귀갑문 안에는 만(卍)자와 연꽃무늬가 교대로 장식되었다. 비머리인 이수(螭首)에는 구름 위에 요동치는 용이 불꽃에 싸인 보주를 다투어 물고자 하는 모습을 섬세하고 화려하게 조각하였다.[2] 최충(崔沖)이 글을 짓고, 김거웅(金巨雄)이 글씨를 썼다. 비문에 새긴 글씨는 해서(楷書)인데, 중국 구양순(歐陽詢)의 서법을 이어받은 것이다. 이는 고려시대의 여러 비에 새긴 글 중에서도 매우 뛰어난 것으로 중국에 비교해서도 조금도 뒤떨어지지 않는다.[3] 1963년 보물 제78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비문에는 원공국사(圓空國師)의 생애가 기술되어있다. 원공국사 지종은 태어나 사나사(舍那寺)에 있던 인도 홍범(弘梵)에게 출가하여 수학하고 광종 때 실시한 승과에 급제하였다. 955년에는 오월(吳越)에 가서 영명연수(永明延壽)에게서 법을 전해 받고 국청사에서 정광(淨光)을 만나고 법화(法華)를 강론하는 등 활동을 했다. 962년에는 고려에 돌아와 광종과 경종, 성종, 목종, 현종에게 대대로 우대를 받았으며, 1013년(현종 4)에 왕사(王師)에 책봉되어 거돈사(居頓寺)에서 입적하였다.[4]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최충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김거웅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
원주 거돈사지 | 원주 거돈사 | A는 B의 터이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두산백과』online .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7 -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베개, 2012. 온라인 참조: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문화재 검색』online , 문화재청. - ↑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7 -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베개, 2012. 온라인 참조: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두산백과』online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문화재 검색』online , 문화재청. -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