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대표명칭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한자표기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가례도감(嘉禮都監)
의례담당자
신만(申晩)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59년(영조 35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규장각한국학연구원 (태백산)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어람용: 총 2책 288장(상책 150장, 하책 138장) 태백산: 총 2책 291장(상책 152장, 하책 139장)
크기
어람용: 47.2×33.8 태백산: 45.9×32.8
도설
18면(상책 4면, 하책 14면)(채색)
반차도
50면(하책)(채색) 총 길이: 약 1,700㎝
정의
1759년 영조(英祖) 와 계비 정순왕후(貞純王后) 의 혼례를 치르는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 이다.
내용
1757년(영조 33) 2월 정비 정성왕후 와 사별한 영조 는 3년상이 끝난 1759년(영조 35) 6월에 정순왕후(貞純王后) 를 계비로 맞이했다. 당시 영조 는 66세이고, 정순왕후 는 15세였다. 영조 는 정빈 이씨 와 영빈 이씨 등 후궁이 있었다. 정빈 이씨 는 효장세자 를 낳았고, 영빈 이씨 는 [[사도세자|장헌세자를 낳아 대리청정을 하고 있었으며 장헌세자 는 후에 정조 가 될 원손을 낳아 영조 의 총애를 받고 있었다. 그러나 영빈 이씨 는 장희빈 의 횡포를 경험한 숙종 이 후궁 이 왕비 가 되는 길을 제도적으로 막아 버려 왕비 가 될 수 없었다. 그래서 66세의 노년임에도 빈 중궁전을 둘 수 없어 새 왕비 를 맞이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1]
1757년(영조 33) 영조 는 정성왕후 와 인원왕후 의 3년상도 끝나 종묘 에 부묘되어 3년상에서 모두 벗어나 5월 우의정 신만 을 도제조 로 하는 가례도감 이 설치하고 혼례 를 간소하게 치르겠다고 명했다. 6월 9일 창경궁 통명전 에서 간택을 행하여 김한구(金漢耉) 의 딸이 최종 선택했다. 6월 13일 신부의 집에 청혼서를 보내는 납채 , 6월 17일 신부집에 예물을 보내는 납폐 , 6월 19일 가례 의 일자를 알리는 고기 , 6월 20일 신부를 왕비 로 책봉하는 책비 는 모두 창덕궁 명정전 에서 거행되었다. 6월 22일 신부의 집에서 신부를 데리고 오는 친영 에 영조 는 어의궁 에서 왕비 수업을 받고 있는 왕비 를 데리고 궁으로 돌아와 왕비 와 술과 음식을 나누는 동뢰 를 창경궁 통명전 에서 거행했다. 영조 는 신하들의 하례를 받고 가례도감 관원들과 장인들에게 차등을 두어 상을 내렸다. [영조]]는 1749년(영조 25)에 『국혼정례(國婚定例)』 를 편찬하여 궁중 혼례 의 사치와 낭비를 막고 혼수량을 간소하게 하는 조처를 취해 이번 혼례식도 간소하게 치러졌다. 이 책에는 영조 가 신부 정순왕후 를 데리고 궁으로 가는 50면의 친영 반차도 가 실려있는데, 등장하는 말이 대략 390필, 참여자가 1,118명에 달한다.[2]
목록
상책: 좌목(座目), 계사질(啓辭秩), 예관질(禮關秩), 이문질(移文秩), 내관질(來關秩), 품목질(稟目秩), 감결질(甘結秩), 일방의궤(一房儀軌)
하책: 이방의궤(二房儀軌), 삼방의궤(三房儀軌), 별공작의궤(別工作儀軌), 수리소의궤(修理所儀軌)
해제
김지영,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상책 ", 의궤 검색, 『외규장각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김지영,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하책 ", 의궤 검색, 『외규장각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김영인,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의궤 검색, 『의궤 종합정보』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 어람용(2534), (253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예조본(奎 13104), 태백산본(奎 13102), 오대산본(奎 1310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적상산성본(K2-259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영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정순왕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의 대례복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의 조복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비의 대례복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비의 소례복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가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documents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59년
영조 와 정순왕후 의 가례 가 거행되었다
1759년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8802
126.994825
창경궁 명정전 에서 납채 가 거행되었다.
37.578802
126.994825
창경궁 명정전 에서 납폐 가 거행되었다.
37.578802
126.994825
창경궁 명정전 에서 고기 가 거행되었다.
37.578802
126.994825
창경궁 명정전 에서 책비 가 거행되었다.
37.579476
126.991018
어의궁 에서 친영 이 거행되었다.
37.579476
126.991018
창경궁 통명전 에서 동뢰 가 거행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왕의 행렬
왕비의 행렬
도감 관원의 행렬
번호
이미지
대상
설명[5]
복장/복식
1
도감사령(都監使令)
임시 관청인 도감에 소속된 하급 관원
백관의 융복
1
서리(書吏)
중앙 관아에 근무하던 하급 관원
무각평정건 단령(團領)
1
사령(使令)
각 관청의 관원이 부리던 하인으로 호위와 시종을 담당
백관의 융복
2-1
도제조(都提調)
육조의 속아문이나 군영 등에 두었던 정1품 관직으로, 영조-정순왕후 가례의 총책임자는 신만(申晩) 이었다.
백관의 조복
2-2
제조(提調)
당상관 이상의 관원이 없는 관아에 겸직으로 임명하여 각 관아를 실질적으로 통솔하던 직책
백관의 조복
2-3
도청(都㕔)
임시 관서인 도감의 관직
백관의 조복
2-4
낭청(郎㕔)
각 관서에서 차출하여 겸임시켰던 당하관의 실무 담당 관직
백관의 조복
2-5
감조관(監造官)
여러가지 왕실행사의 실무를 감독하는 관원
백관의 조복
2-5
감역관(監役官)
토목과 건축을 담당하는 선공감(繕工監)에 속한 정9품의 관원
백관의 조복
주석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313쪽.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314~322쪽.
↑ 제송희,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하) ",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제송희,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하) ",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제송희,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하) ",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국혼정례』
『상방정례』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