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학궤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지식 관계망) |
(→참고문헌) |
||
111번째 줄: | 111번째 줄: | ||
**남상숙, 『악학궤범 악론 연구』, 민속원, 2009. | **남상숙, 『악학궤범 악론 연구』, 민속원, 2009. | ||
*논문 | *논문 | ||
− | **박은옥, 「《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 + | **박은옥, 「《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국악원논문집』 28, 국립국악원, 2013. |
**송방송, 「《악학궤범》의 음악사학적 소명」, 『진단학보』77, 진단학회, 1994. | **송방송, 「《악학궤범》의 음악사학적 소명」, 『진단학보』77, 진단학회, 1994. | ||
*웹자원 | *웹자원 | ||
120번째 줄: | 120번째 줄: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문헌]] | [[분류:문헌]] | ||
− |
2017년 11월 24일 (금) 14:27 판
악학궤범(樂學軌範) | |
대표명칭 | 악학궤범 |
---|---|
한자표기 | 樂學軌範 |
유형 | 고서 |
저자 | 성현,유자광,신말평,박곤,김복근 |
간행시기 | 1493년 |
시대 | 조선 |
수량 | 9권 3책 |
목차
정의
조선시대의 의궤(儀軌)와 악보를 정리하여 성현(成俔), 유자광 등이 편찬한 음악서이다.
내용
악학궤범의 편찬
1493년에 예조판서 성현, 장악원의 유자광과 신말평, 박곤·김복근 등이 조선 성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음악서이다. 당시 장악원에 있던 의궤와 악보가 제대로 된 것이 없어, 새로운 악규책(樂規冊)을 편찬하게 되었다. 1610년, 1655년, 1743년에 각각 복각되었다. [1]
악학궤범의 내용
12율의 결정(決定)과 여러 제향에 쓰이는 악조(樂調)에서부터 악기의 진설(陳設), 정재춤의 진퇴(進退), 악기·의물(儀物)·관복(冠服)에 이르기까지, 제향·조회·연향의 음악 연주에 필요한 사항들을 빠짐 없이 망라하였으며, 특히 성종 당시의 아악·당악·향악 등 음악 전반을 포함하였다. 음악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린 기술법을 채택하였는데, 그 내용이 치밀하고 정확하게 기술되었다. 그리하여 임진왜란 이후 소실된 악기와 악제를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었다. [2]
악학궤범의 가치
성종 당시의 음악을 자세히 기술한 『악학궤범』 은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음악을 복구하는 실용적면에서 중요한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성종 이전과 그 이후의 음악을 연구하는데, 또 악학궤범 내부의 「동동」과 「정읍사」는 국어국문학 분야의 중요한 자료로 가치가 있다. [3]
지식 관계망
-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 성종 | 악학궤범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성현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유자광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신말평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박곤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김복근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장악원 | 신말평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장악원 | 유자광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악학궤범 | 동동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악학궤범 | 정읍사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악학궤범 | 봉래의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악학궤범 | 헌선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악학궤범 | 육화대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악학궤범 | 아박무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악학궤범 | 몽금척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493년 | 조선 성종의 명으로 성현, 유자광, 신말평, 박곤, 김복근 등이 악학궤범을 편찬하였다. |
1655년 | 악학궤범이 복각되었다. |
1743년 | 악학궤범이 복각되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윤미용, "악학궤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 - ↑ 윤미용, "악학궤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 - ↑ 윤미용, "악학궤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이혜구,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 남상숙, 『악학궤범 악론 연구』, 민속원, 2009.
- 논문
- 박은옥, 「《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국악원논문집』 28, 국립국악원, 2013.
- 송방송, 「《악학궤범》의 음악사학적 소명」, 『진단학보』77, 진단학회, 1994.
- 웹자원
- "예악 정신과 음악-악학궤범 서문", 사료로 본 한국사,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악학궤범", 교과서 속 이미지 자료,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예악 정신과 음악-악학궤범 서문", 사료로 본 한국사,
유용한 정보
- 최육상, "세계음악사, <악학궤범> 같은 '악서' 없다", 『오마이뉴스』, 작성일: 2005년 07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