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불일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951년(광종 2)에 | + | 951년([[고려 광종|광종]] 2)에 [[고려 광종|광종]]이 [[고려 태조|태조]]의 원당으로 [[서울 봉은사|봉은사(奉恩寺)]]를 창건하면서 어머니 유씨(劉氏)의 원당으로 불일사(佛日寺)를 창건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019 불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신해〉 2년(951) 대봉은사(大奉恩寺)를 성의 남쪽에 창건하여 태조(太祖)의 원당(願堂)으로 삼고, 또 불일사(佛日寺)를 동쪽 교외에 창건하여 돌아가신 어머니 유씨(劉氏)의 원당으로 삼았다. | 〈신해〉 2년(951) 대봉은사(大奉恩寺)를 성의 남쪽에 창건하여 태조(太祖)의 원당(願堂)으로 삼고, 또 불일사(佛日寺)를 동쪽 교외에 창건하여 돌아가신 어머니 유씨(劉氏)의 원당으로 삼았다. | ||
|출처=『고려사』 세가 권제2, 광종 2년, 「월미상」.<ref>"[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itemIds=kr&sort=levelId&dir=ASC&limit=20&page=1&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B%B6%88%EC%9D%BC%EC%82%AC&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B%B6%88%EC%9D%BC%EC%82%AC&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002_0300_0010_0010/13/0/13/o 태조와 비 유씨의 원당을 짓다]", 『고려사』 세가 권제2, 광종 2년, 「종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출처=『고려사』 세가 권제2, 광종 2년, 「월미상」.<ref>"[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itemIds=kr&sort=levelId&dir=ASC&limit=20&page=1&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B%B6%88%EC%9D%BC%EC%82%AC&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B%B6%88%EC%9D%BC%EC%82%AC&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002_0300_0010_0010/13/0/13/o 태조와 비 유씨의 원당을 짓다]", 『고려사』 세가 권제2, 광종 2년, 「종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또한, 1057년(문종 11) 왕이 이 절에 행차하여 반승(飯僧)을 베풀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019 불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또한, 1057년([[고려 문종|문종]] 11) 왕이 이 절에 행차하여 반승(飯僧)을 베풀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019 불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Blockquote|여름 4월 병진 왕이 불일사(佛日寺)에 행차하여 반승(飯僧)을 베풀었다. | {{Blockquote|여름 4월 병진 왕이 불일사(佛日寺)에 행차하여 반승(飯僧)을 베풀었다. | ||
|출처=『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 11년, 「4월」.<ref>"[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itemIds=kr&sort=levelId&dir=ASC&limit=20&page=1&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B%B6%88%EC%9D%BC%EC%82%AC&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B%B6%88%EC%9D%BC%EC%82%AC&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008r_0010_0040_0010/13/3/13/r 반승을 베풀다]", 『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 11년, 「4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출처=『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 11년, 「4월」.<ref>"[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itemIds=kr&sort=levelId&dir=ASC&limit=20&page=1&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B%B6%88%EC%9D%BC%EC%82%AC&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B%B6%88%EC%9D%BC%EC%82%AC&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008r_0010_0040_0010/13/3/13/r 반승을 베풀다]", 『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 11년, 「4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 | 이후의 역사는 전하는 것이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이 절이 존재한다는 기록이 있어 조선 중기 이후에 폐허화된 것으로 추정한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019 불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사탑고적고|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에 | + | 『[[사탑고적고|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에 따르면 이 절터는 동서로 약 150칸, 남북으로 약 100칸의 유지가 남아 있으며, 이 유지에는 북한 국보급 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된 [[개성 불일사 오층석탑|오층석탑]]을 비롯하여 석불 네 구와 사리탑 두 기, [[당간지주]] 등이 남아 있다고 한다. [[개성 불일사 오층석탑|오층석탑]]은 1906년 태평동으로 옮겨 세웠다가 지금은 고려박물관에 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019 불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57번째 줄: | 57번째 줄: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2일 (목) 09:12 판
개성 불일사 (開城 佛日寺) |
|
대표명칭 | 개성 불일사 |
---|---|
영문명칭 | Bulilsa Temple, Gaeseong |
한자 | 開城 佛日寺 |
건립시기 | 951년 |
창건자 | 고려 광종 |
경내문화재 | 개성 불일사 오층석탑 |
정의
경기도 개성시 판문군 보봉산(寶鳳山)에 있었던 고려시대에 세워진 절.
내용
951년(광종 2)에 광종이 태조의 원당으로 봉은사(奉恩寺)를 창건하면서 어머니 유씨(劉氏)의 원당으로 불일사(佛日寺)를 창건하였다.[1]
〈신해〉 2년(951) 대봉은사(大奉恩寺)를 성의 남쪽에 창건하여 태조(太祖)의 원당(願堂)으로 삼고, 또 불일사(佛日寺)를 동쪽 교외에 창건하여 돌아가신 어머니 유씨(劉氏)의 원당으로 삼았다. |
||
출처: 『고려사』 세가 권제2, 광종 2년, 「월미상」.[2] |
또한, 1057년(문종 11) 왕이 이 절에 행차하여 반승(飯僧)을 베풀었다.[3]
여름 4월 병진 왕이 불일사(佛日寺)에 행차하여 반승(飯僧)을 베풀었다. | ||
출처: 『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 11년, 「4월」.[4] |
이후의 역사는 전하는 것이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이 절이 존재한다는 기록이 있어 조선 중기 이후에 폐허화된 것으로 추정한다.[5]
『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에 따르면 이 절터는 동서로 약 150칸, 남북으로 약 100칸의 유지가 남아 있으며, 이 유지에는 북한 국보급 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된 오층석탑을 비롯하여 석불 네 구와 사리탑 두 기, 당간지주 등이 남아 있다고 한다. 오층석탑은 1906년 태평동으로 옮겨 세웠다가 지금은 고려박물관에 있다.[6]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려 광종 | 개성 불일사 | A는 B를 창건하였다 | 951년 |
개성 불일사 오층석탑 | 개성 불일사 | A는 B에 있었다 | |
개성 불일사 오층석탑 | 고려박물관 | A는 B에 있다 |
주석
- ↑ 김위석, "불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태조와 비 유씨의 원당을 짓다", 『고려사』 세가 권제2, 광종 2년, 「종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김위석, "불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반승을 베풀다", 『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 11년, 「4월」,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김위석, "불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불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위석, "불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태조와 비 유씨의 원당을 짓다", 『고려사』 세가 권제2, 광종 2년, 「종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반승을 베풀다", 『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 11년, 「4월」,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