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중화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민족기록화_문헌_망암집_1.jpg)
 
1번째 줄: 1번째 줄:
 +
{{물품정보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
 +
|한자표기=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
 +
|시대=
 +
|용도=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
 +
 +
 
민족기록화_문헌_망암집_1.jpg
 
민족기록화_문헌_망암집_1.jpg
 +
 +
 +
==정의==
 +
조선시대의 다연장 발사무기.
 +
 +
==내용==
 +
===최해산화차===
 +
화차는 수레 위에 총을 수십개 장치하여 이동이 손쉽고, 한번에 여러 개의 총을 쏠 수 있게 한 무기로 우리 나라에는 조선시대에만 5종의 화차가 있었다.<br/>
 +
첫번째 화차는 1409년(태종 9) [[최해산]](崔海山)이 아버지 최무선(崔茂宣)의 뒤를 이어 각종 화약무기를 연구하던 끝에 완성한 것이다. 작은 수레(小車)에 철로 만든 날개를 단 [[철령전]](鐵翎箭)을 장진한 수십개의 동통(銅㷁:청동으로 만든 총)을 실은 것으로서, 화약을 사용하여 발사하도록 되어 있다.<ref>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882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문종화차===
 +
두번째 화차는 문종화차(文宗火車)이다. 1451년(문종 1) [[조선 문종 | 문종]]이 손수 창안한 것이다. [[조선 문종 | 문종]]은 세자시절부터 화약무기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즉위할 즈음 완성하였다. 이 화차의 수레는 지름 87㎝짜리, 바퀴 2개 위에 길이 2.3m, 너비 74㎝의 차체가 올려졌다. 나무로 제작되었으며, 2명이 끌도록 설계되었다. 차체 위에는 총통기(銃筒機)나 신기전기(神機箭機)를 장치하여 사용한 독창적이고, 위력있는 무기였다.<ref>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7636&cid=47306&categoryId=47306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sup>online</sup></online></html>,네이버 지식백과.</ref>
 +
 +
===주자총통화차===
 +
세번째 화차는 문종화차의 총통기에 4전총통 대신 [[주자총통]](宙字銃筒) 50개를 설치하여 사용한 것인데, [[주자총통]]은 1490년(성종 21)경 세종 때 제작된 삼총통(三銃筒)에 붙인 새 이름이다. [[주자총통]]은 [[피령전]](皮翎箭:가죽날개를 붙인 화살)이나 화전(火箭), 그리고 2개의 총알을 발사할 수 있는 다목적용 총으로서, 현존하는 [[조선 세종 | 세종]] 때의 총으로서는 가장 많은 40-50개가 남아 있다.<ref>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882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변이중화차===
 +
네 번째 화차는 임진왜란 때에 [[변이중]]이 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수레 위에 40개의 [[승자총통]]을 총통기에 설치하고 총통의 심지를 이어서 차례로 쏘게 한 것이다. 이 화차는 [[행주대첩]]에서 [[권율]]이 사용하여 큰 전과를 세웠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264&content_id=cp020812640001&search_left_menu=3 화차]",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
===조총부착화차===
 +
다섯번째 화차는 조총부착화차이다. [[변이중]]의 화차에서 사용된 승자총 대신에 조총 50개를 설치한 것으로, 10개의 조총을 한 층으로 하여 다섯 층을 쌓아 만들었다. 한 층의 10개 조총이 한곳에 붙어 있어, 한번에 한 층의 조총을 장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화차의 좌우에 방패를 부착시켰다. 19세기 초에 사용되었다.<ref>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7636&cid=47306&categoryId=47306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sup>online</sup></online></html>,네이버 지식백과.</ref>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변이중화차]] || [[화차]] || A의 유형은 B이다 || 
 +
|-
 +
| [[변이중화차]] || [[변이중]]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시각자료'''==
 +
===영상===
 +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하늘을 달리는 불(게시일: 2014년 07월 25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01lLrLpvvM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 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882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0005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264&content_id=cp020812640001&search_left_menu=3 화차]",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7636&cid=47306&categoryId=47306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sup>online</sup></online></html>,네이버 지식백과.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물품]]

2017년 10월 16일 (월) 15:47 판

()



민족기록화_문헌_망암집_1.jpg


정의

조선시대의 다연장 발사무기.

내용

최해산화차

화차는 수레 위에 총을 수십개 장치하여 이동이 손쉽고, 한번에 여러 개의 총을 쏠 수 있게 한 무기로 우리 나라에는 조선시대에만 5종의 화차가 있었다.
첫번째 화차는 1409년(태종 9) 최해산(崔海山)이 아버지 최무선(崔茂宣)의 뒤를 이어 각종 화약무기를 연구하던 끝에 완성한 것이다. 작은 수레(小車)에 철로 만든 날개를 단 철령전(鐵翎箭)을 장진한 수십개의 동통(銅㷁:청동으로 만든 총)을 실은 것으로서, 화약을 사용하여 발사하도록 되어 있다.[1]

문종화차

두번째 화차는 문종화차(文宗火車)이다. 1451년(문종 1) 문종이 손수 창안한 것이다. 문종은 세자시절부터 화약무기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즉위할 즈음 완성하였다. 이 화차의 수레는 지름 87㎝짜리, 바퀴 2개 위에 길이 2.3m, 너비 74㎝의 차체가 올려졌다. 나무로 제작되었으며, 2명이 끌도록 설계되었다. 차체 위에는 총통기(銃筒機)나 신기전기(神機箭機)를 장치하여 사용한 독창적이고, 위력있는 무기였다.[2]

주자총통화차

세번째 화차는 문종화차의 총통기에 4전총통 대신 주자총통(宙字銃筒) 50개를 설치하여 사용한 것인데, 주자총통은 1490년(성종 21)경 세종 때 제작된 삼총통(三銃筒)에 붙인 새 이름이다. 주자총통피령전(皮翎箭:가죽날개를 붙인 화살)이나 화전(火箭), 그리고 2개의 총알을 발사할 수 있는 다목적용 총으로서, 현존하는 세종 때의 총으로서는 가장 많은 40-50개가 남아 있다.[3]

변이중화차

네 번째 화차는 임진왜란 때에 변이중이 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수레 위에 40개의 승자총통을 총통기에 설치하고 총통의 심지를 이어서 차례로 쏘게 한 것이다. 이 화차는 행주대첩에서 권율이 사용하여 큰 전과를 세웠다.[4]

조총부착화차

다섯번째 화차는 조총부착화차이다. 변이중의 화차에서 사용된 승자총 대신에 조총 50개를 설치한 것으로, 10개의 조총을 한 층으로 하여 다섯 층을 쌓아 만들었다. 한 층의 10개 조총이 한곳에 붙어 있어, 한번에 한 층의 조총을 장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화차의 좌우에 방패를 부착시켰다. 19세기 초에 사용되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변이중화차 화차 A의 유형은 B이다
변이중화차 변이중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영상

  •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하늘을 달리는 불(게시일: 2014년 07월 25일)

주석

  1.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화차",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online,네이버 지식백과.
  3.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화차",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5. "화차",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online,네이버 지식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화차",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화차",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화차",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online,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