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광흥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서동신님이 광흥사 문서를 안동 광흥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차이 없음)

2017년 10월 16일 (월) 13:44 판

광흥사
(廣興寺)
"안동 광흥사 응진전 및 전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광흥사
한자표기 廣興寺
유형 유적
시대 삼국시대
관련인물 학조대사
관련단체 불교
관련장소 국립경주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관련물품 취지금니 묘법연화경 백지묵서 묘법연화경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 학가산(鶴駕山)에 있는 절.

내용

광흥사의 연혁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의상(義湘)이 창건하였으며, 그 뒤 여러 차례의 중건과 중수를 거쳐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절이 방치된 채로 남게 되어, 1946년에는 화재로 정면 6칸의 대웅전이 소실되었고, 1954년에는 극락전이 도괴되었으며, 1962년에는 학서루(鶴棲樓)와 대방(大房)이 무너졌다.[1]

광흥사의 구조

현존하는 당우로는 정면 6칸, 측면 3칸의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5호로 지정된 응진전(應眞殿)과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응향각(凝香閣), 1962년에 이건한 정면 2칸의 칠성각, 정면 6칸, 측면 3칸의 대방과 정면 8칸, 측면 3칸의 요사채가 있다.[2]

광흥사에 소장된 유물들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314호로 지정된 『취지금니묘법연화경(翠紙金泥妙法蓮華經)』과 보물 제315호로 지정된 『백지묵서묘법연화경』이 있으며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999년 11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6호로 지정된 『불설대부모은중경(佛說大父母恩重經)』은 1562년(명종 17)광흥사에서 다른 경전과 함께 간행한 것이다.[3]

광흥사에서 도난당한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을 둘러싼 소유권 싸움은 처음 자신이 소장했다고 주장한 배익기, 그리고 배씨에게서 도난당했다고 고소를 진행한 조영훈 이 두 사람간의 소유권 분쟁으로 진행되는 듯 보였다. 하지만 검찰이 더 깊게 조사해 들어가자 그 중간에 도굴꾼 서씨광흥사에 소장된 불상에서 상주본및 여러 고서적을 빼내어 그것을 조영훈에게 500만원에 팔았다는 진술이 알려졌다. [4] 이 사실이 알려져 광흥사에서도 소유권을 주장하고 나섰으나 배씨가 끝까지 안내놓고 있어 현재 상황으론 상주본이 돌아오기는 힘든 것 같다.[5]

광흥사훈민정음 해례본과의 관련성

광흥사는 안동출신인 학조대사와 인연이 깊은 사찰이었으며, 학조대사는 훈민정음 창제에 관여한 신미대사의 제자였다. 학조대사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부친은 김계권(金係權)이다. 호는 등곡(燈谷)·황악산인(黃岳山人)이며, 신미(信眉)·학열(學悅) 등과 함께 선종의 승려로서 세조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여러 고승들과 함께 많은 불경을 국어로 번역, 간행하였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상 광흥사 A는 B를 창건하였다 신라시대
취지금니묘법연화경 광흥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었다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광흥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었다
불설대부모은중경 광흥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었다
취지금니묘법연화경 국립경주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국립경주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광흥사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A는 B를 소장 하였다 조선시대-1999년
도굴군 서씨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A는 B를 소장 하였다 1999년
조영훈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A는 B를 소장 하였다 1999-2007년
배익기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A는 B를 소장 하였다 2007년-현재
학조대사 광흥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신미대사 학조대사 A는 B의 스승이다
김계권 학조대사 A는 B의 아버지다
신미대사 학열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신미대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학열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신라시대 광흥사의상에 의해서 창건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645541 128.6142 광흥사이 위치한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위석, "광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위석, "광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위석, "광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황경상,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빈손’ 소유권만 국가에 귀속 ‘이상한 일’, "『경향신문』, 2012년 05월 06일자 기사."
  5. 김일우, "1000억 주면 '훈민정음 상주본' 내놓겠다고?",『한겨례』, 2015년 10월 09일자 기사.
  6. "광흥사(廣興寺)의 사적(史蹟)", 『광흥사』online, 광흥사.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분류:한글고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