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장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사진=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장삼01 대전시립박물관.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부산박물관 편, 『(조선 여인의) 美』, 세한기획, 2005, 30쪽.
 
|대표명칭= 장삼
 
|대표명칭= 장삼
 
|한자표기= 長衫
 
|한자표기= 長衫
11번째 줄: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왕실 여성들의 [[노의]] 다음 가는 격의 예복이었으며, 조선시대 5품 이하 정처의 예복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03쪽.</ref>
+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등이 [[노의]] 다음 가는 옷으로, 5품 이하 정처가 의례에 참여할 때 입는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03쪽.</ref>  
  
==내용==
+
=='''내용'''==
===복식구성===
+
조선 전기의 여성들이 입는 [[장삼]]은 상복(上服)이면서 동시에 상복(喪服)이나 [[혼례]] 등의 의례에 착용되었다. 1403년(태종 3) 『태종실록』에 장삼을 생추포(生皺布)로 하여 저포(苧布)를 쓰는 것을 금하는 기록과 1460년(세조 6) 『세조실록』 4월 [[왕세자빈]] 간택시 보내는 예물의 물목에 ‘금배견화대홍단자장삼(金背肩花大紅段子長衫)’이 포함되어 있어 [[장삼]]은 5품 이하의 명부복 이외에도 [[상례]]와 [[혼례]]에도 사용되었음 확인 수 있다. 『[[악학궤범]]』의 번령 흑장삼은 조선전기의 [[장삼]] 형태와 명칭을 명확하게 알려주는 자료로, 16세기 일선문씨묘에서도 출토되었다. 흑장삼은 15세기에는 엄격하게 지켜졌으나 16세기 이후 계회도에서는 팔이 짧은 고려 양식의 황장삼을 입은 여기들을 흔히 볼 수 있다.<ref>정주란ㆍ김용문, 「조선전기 출토 여성복식의 유형과 특징에 관한 연구」, 『服飾』 67권, 2017, 162~163쪽.</ref>
===착용신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
=='''지식 관계망'''==
조선 전기의 여성들이 입는 장삼은 상복(上服)이면서 동시에 상복(喪服)이나 혼례복 등의 예복으로 착용되었다.
 
 
 
===형태===
 
『태종실록』3년(1403) 장삼을 생추포(生皺布)로 하여 저포(苧布)를 쓰는 것을 금하는 기록과 『세조실록』6년(1460) 4월 세자빈 간택시 보내는 예물의 물목에 ‘금배견화대홍단자장삼(金背肩花大紅段子長衫)’이 포함되어 있어 장삼은 5품이하의 명부복 이외에도 상례와 혼례에도 사용된 예복임을 알 수 있다. 『[[악학궤범]]』의 번령 흑장삼은 조선전기의 장삼 형태와 명칭을 명확하게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악학궤범]]』에 그려진 번령 흑장삼이 16세기 일선문씨묘에서 출토되어 실제로 착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흑장삼은 15세기에는 엄격하게 지켜졌으나 16세기 이후 계회도에서는 팔이 짧은 고려 양식의 황장삼을 입은 여기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안동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일선문씨(16세기 중기 추정) 묘 장삼은 유일한 ‘번령 장삼’ 유물이다. 그리고 경기도박물관 소장의 경신공주(?-1426) 초상화에도 깃이 젖혀진 번령 장삼이 그려져 있다.<ref>정주란ㆍ김용문, 「조선전기 출토 여성복식의 유형과 특징에 관한 연구」, 『服飾』 67권 2017, 162~163쪽.</ref>
 
『[[국장도감의궤]]』에는 왕비의 습용(襲用)으로 사용된 홍릉겹장삼(紅綾裌長衫)이 약식으로 그려져 있는데, 곧은 깃에 동정이 있는 여며입는 교임형태의 포이다.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왕비]]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왕세자빈]]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내명부]]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외명부]]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일반 백성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홍장삼]] || A는 B에 착용한다
+
| [[왕비의 소례복]] || '''{{PAGENAME}}'''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왕세자빈의 소례복]] || '''{{PAGENAME}}'''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장삼02 고궁박물관.jpg | 『악학궤범』의 장삼.</gallery>
 
</gallery>
 
</gallery>
 
 
===영상===
 
===영상===
  
58번째 줄: 51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박필순, 「여자 포에 관한 연구-조선시대 장의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梁仁愛, 「女子 袍에 관한 硏究-우리나라와 중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2017년 9월 12일 (화) 21:35 판


장삼
(長衫)
부산박물관 편, 『(조선 여인의) 美』, 세한기획, 2005, 30쪽.
대표명칭 장삼
한자표기 長衫
구분 의복
착용신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착용성별 여성



정의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등이 노의 다음 가는 옷으로, 5품 이하 정처가 의례에 참여할 때 입는다.[1]

내용

조선 전기의 여성들이 입는 장삼은 상복(上服)이면서 동시에 상복(喪服)이나 혼례 등의 의례에 착용되었다. 1403년(태종 3) 『태종실록』에 장삼을 생추포(生皺布)로 하여 저포(苧布)를 쓰는 것을 금하는 기록과 1460년(세조 6) 『세조실록』 4월 왕세자빈 간택시 보내는 예물의 물목에 ‘금배견화대홍단자장삼(金背肩花大紅段子長衫)’이 포함되어 있어 장삼은 5품 이하의 명부복 이외에도 상례혼례에도 사용되었음 확인 수 있다. 『악학궤범』의 번령 흑장삼은 조선전기의 장삼 형태와 명칭을 명확하게 알려주는 자료로, 16세기 일선문씨묘에서도 출토되었다. 흑장삼은 15세기에는 엄격하게 지켜졌으나 16세기 이후 계회도에서는 팔이 짧은 고려 양식의 황장삼을 입은 여기들을 흔히 볼 수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비 장삼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빈 장삼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내명부 장삼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외명부 장삼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일반 백성 장삼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비의 소례복 장삼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빈의 소례복 장삼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gallery>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03쪽.
  2. 정주란ㆍ김용문, 「조선전기 출토 여성복식의 유형과 특징에 관한 연구」, 『服飾』 67권, 2017, 162~163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박필순, 「여자 포에 관한 연구-조선시대 장의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梁仁愛, 「女子 袍에 관한 硏究-우리나라와 중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