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삼화목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 | |작품명 = 삼화목장 | + | {{민족기록화_샘플 |
− | |작가 = 이인영 | + | |사진= 이인영-삼화목장-1975s.jpg |
− | |제작연도 = | + | |작품명= 삼화목장 |
− | |규격 = | + | |작가= [[이인영]] |
− | |분류 = | + | |제작연도= 1975년 |
− | |소장처 =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 | + | |규격= 300호(290.9x197cm) |
− | | | + | |유형= 농축/새마을 |
+ | |분류= 유화 | ||
+ | |소장처=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 | ||
+ | |필드수=7 | ||
}} | }} | ||
+ | =='''작품'''== | ||
+ | [[파일:민족_샘플2.JPG|800px|center]] | ||
+ | '''삼화목장'''은 [[새마을운동]]이 한창이던 1975년 [[이인영]] 화백에 의해 그려졌다. 소들이 한가롭게 풀을 뜯고 있는 드넓은 평야는 마치 외국 영화에나 나올 법한 풍경이다.<br/> | ||
+ | 이 그림의 대상인 [[삼화목장]]은 1969년 [[김종필]]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김종필]]은 목초지 개발의 필요성을 주창하며 [[상왕산]]의 풀과 나무를 모조리 베어내고 그 자리에 외래종 풀씨를 심어 그림과 같은 이국적 풍경이 연출되도록 하였다.<br/> | ||
+ | 1980년 신군부에서 부정축재 재산으로 환수해 축협에 넘겨, '[[한우개량사업소|축협 한우 개량사업소 농장]]'으로 탈바꿈하였다. 2000년부터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농협중앙회 가축개량원 소속이다.<br/> | ||
+ | 그 규모는 무려 6백38만평에 이르며, 내부에서는 씨소 약 2300여 마리를 키우고 있다.<br/> | ||
− | == | + | =='''형식'''== |
− | |||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 | + | 농축/수산/새마을운동 유형 작품 | |
+ | <gallery> | ||
+ |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
+ |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
+ | 파일:이동훈-환경정리새마을-1973s.jpg |[[이동훈-환경정리새마을]] | ||
+ | 파일: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1975s.jpg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 ||
+ | 파일:이마동-감귤-1973s.jpg |[[이마동-감귤]] | ||
+ | 파일:천칠봉-경지정리-1973s.jpg |[[천칠봉-경지정리]] | ||
+ | 파일:천칠봉-대단위뽕밭-1975s.jpg |[[천칠봉-대단위뽕밭]] | ||
+ | 파일: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1973s.jpg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 ||
+ | 파일:장이석-국립종축장-1973s.jpg |[[장이석-국립종축장]] | ||
+ | 파일:이인영-삼화목장-1975s.jpg |[[이인영-삼화목장]] | ||
+ | 파일:이용환-굴뗏목양식-1973s.jpg |[[이용환-굴뗏목양식]] | ||
+ | 파일:김창락-원양어업-1975s.jpg |[[김창락-원양어업]] | ||
+ | </gallery> | ||
− | |||
− | |||
− | == | + | =='''추출정보'''== |
− | + | ===작품정보 연결망===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edu/nuri/example/삼화목장_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 | ||
+ | </iframe></html> | ||
− | == | +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노드 || 관계 || 노드 | ! 노드 || 관계 || 노드 | ||
|- | |- | ||
− | | [[이인영-삼화목장]] || ~에 | + | | [[이인영-삼화목장]] || ~에 의해 그려지다 ||[[이인영]] |
|- | |- | ||
− | | [[이인영-삼화목장]] || ~ | + | | [[이인영-삼화목장]] || ~에 소장되어 있다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 |
|- | |- | ||
− | + | | [[이인영-삼화목장]] || ~를 소재로 한다 ||[[삼화목장]] | |
− | |||
− | |||
− | | | ||
− | | [[삼화목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문헌'''==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714&cid=42840&categoryId=42852 답사여행의 길잡이 4 - 충남 '삼화목장']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714&cid=42840&categoryId=42852 답사여행의 길잡이 4 - 충남 '삼화목장'] |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 ||
+ | |||
+ | =='''각주'''== | ||
− | [[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농축]][[분류:새마을]] |
2017년 1월 30일 (월) 22:11 판
삼화목장 | |
작가 | 이인영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290.9x197cm) |
유형 | 농축/새마을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 |
작품
삼화목장은 새마을운동이 한창이던 1975년 이인영 화백에 의해 그려졌다. 소들이 한가롭게 풀을 뜯고 있는 드넓은 평야는 마치 외국 영화에나 나올 법한 풍경이다.
이 그림의 대상인 삼화목장은 1969년 김종필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김종필은 목초지 개발의 필요성을 주창하며 상왕산의 풀과 나무를 모조리 베어내고 그 자리에 외래종 풀씨를 심어 그림과 같은 이국적 풍경이 연출되도록 하였다.
1980년 신군부에서 부정축재 재산으로 환수해 축협에 넘겨, '축협 한우 개량사업소 농장'으로 탈바꿈하였다. 2000년부터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농협중앙회 가축개량원 소속이다.
그 규모는 무려 6백38만평에 이르며, 내부에서는 씨소 약 2300여 마리를 키우고 있다.
형식
관련 민족기록화
농축/수산/새마을운동 유형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이인영-삼화목장 | ~에 의해 그려지다 | 이인영 |
이인영-삼화목장 | ~에 소장되어 있다 |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 |
이인영-삼화목장 | ~를 소재로 한다 | 삼화목장 |
참고문헌
- 답사여행의 길잡이 4 - 충남 '삼화목장'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