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후수(왕실여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27번째 줄: 27번째 줄:
 
여러 색을 넣어 짠 비단으로 된 몸판[홍화금(紅花錦)]과 그 아래에 늘어뜨려진 망수(網綏)로 되어 있고, 몸판 위에 1쌍의 환(環)이 부착되어 있다. 환의 종류는 황후와 황태자비가 옥환(玉環),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이 금환(金環)이다. 영조 22년(1746)부터는 적(赤)·청(靑)·현(玄)·표(縹)·녹(綠) 5색으로, 15줄의 무늬가 없는 단으로 짠[무문단(無紋緞)]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5659&cid=40942&categoryId=31891 교직]단(交織緞) 수를 사용하도록 하였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1쪽.</ref>
 
여러 색을 넣어 짠 비단으로 된 몸판[홍화금(紅花錦)]과 그 아래에 늘어뜨려진 망수(網綏)로 되어 있고, 몸판 위에 1쌍의 환(環)이 부착되어 있다. 환의 종류는 황후와 황태자비가 옥환(玉環),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이 금환(金環)이다. 영조 22년(1746)부터는 적(赤)·청(靑)·현(玄)·표(縹)·녹(綠) 5색으로, 15줄의 무늬가 없는 단으로 짠[무문단(無紋緞)]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5659&cid=40942&categoryId=31891 교직]단(交織緞) 수를 사용하도록 하였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1쪽.</ref>
  
 
『국조속오례의보서례』
 
수는 금의나 다홍필단으로 만들다가 『[[상방정례]]』에서는 금의향직으로 만든다고 기록되어 있다. 은구자ㅇ 6개와 은환 2개가 함께 마련되어싿. 전하의 수와 같다고 했으나 상방에서 만든 수를<ref>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113쪽.</ref>
 
 
===기타===
 
===기타===
  

2017년 6월 8일 (목) 19:48 판


후수
(後綬)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후수
한자표기 後綬
착용신분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착용성별 여성



정의

대례복인 적의 차림을 할 때 겉옷 위로 등뒤 허리 아래로 드리우는 장식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2] 등에 착용한다.

형태

여러 색을 넣어 짠 비단으로 된 몸판[홍화금(紅花錦)]과 그 아래에 늘어뜨려진 망수(網綏)로 되어 있고, 몸판 위에 1쌍의 환(環)이 부착되어 있다. 환의 종류는 황후와 황태자비가 옥환(玉環),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이 금환(金環)이다. 영조 22년(1746)부터는 적(赤)·청(靑)·현(玄)·표(縹)·녹(綠) 5색으로, 15줄의 무늬가 없는 단으로 짠[무문단(無紋緞)] 교직단(交織緞) 수를 사용하도록 하였다.[3]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후수(왕실여성) 왕비 A는 B를 착용하였다
후수(왕실여성) 왕세자빈 A는 B를 착용하였다
후수(왕실여성) 왕세손빈 A는 B를 착용하였다
후수(왕실여성) 홍장삼 A는 B에 착용한다
후수(왕실여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1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1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