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 민족기록화)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 | 농축수산/새마을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농축수산/새마을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
− | |||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
47번째 줄: | 46번째 줄: | ||
파일:김창락-원양어업-1975s.jpg |[[김창락-원양어업]] | 파일:김창락-원양어업-1975s.jpg |[[김창락-원양어업]] | ||
</gallery> | </gallery> | ||
+ | <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2017년 4월 20일 (목) 09:38 판
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
작가 | 장두건 |
---|---|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새마을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개요
이 작품의 배경은 경기도 남양주 화도읍 묵현리에 위치한 천마산으로, 박정희 정권 시기 추진된 새마을 운동으로 개간된 자연의 모습을 담았다.
내용
작품 소재
트랙터에 의해 벌건 속살을 드러낸 천마산이 언젠가는 멀리 보이는 슬레이트 지붕으로 말끔히 정돈된 마을처럼 변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작품은 초기 새마을운동의 주요 성과인 바둑판처럼 질서정연하게 정리된 농지와 농촌주택개량사업, 지붕개량사업으로 교체된 원색의 슬레이트 지붕, 기계화된 농업현장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전원생활의 목가적이고 향토적인 이미지 대신 개간된 땅과 기계화된 노동과정을 담고 있다.[1]
작품 배경
시각적 안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에 의해 그려지다 | 장두건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를 배경으로 한다 | 묵현리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을 소재로 삼다 | 천마산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을 소재로 삼다 | 새마을운동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제작연도 | 1973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그래프
참고문헌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주석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