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각순-남해대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1968년 5월에 착공되어 1973년 6월 20일에 완성된 [[남해대교]]는 우리나라 처음으로 가설한 동양 최대 규모의 [[현수교]]이다. 또한 국내에서 가장 긴 3경간 2힌지 보강형 현수교<ref>가장 일반적인 현수교의 종류. 현수교란 적당히 늘어지게 친 케이블이 본체를 구성하는 다리이다. 3경간이란 | + | 1968년 5월에 착공되어 1973년 6월 20일에 완성된 [[남해대교]]는 우리나라 처음으로 가설한 동양 최대 규모의 [[현수교]]이다. 또한 국내에서 가장 긴 3경간 2힌지 보강형 현수교<ref>가장 일반적인 현수교의 종류. 현수교란 적당히 늘어지게 친 케이블이 본체를 구성하는 다리이다. 3경간이란 늘어진 부분이 총 세 군데라는 의미이며, 2힌지는 지지대가 두 개라는 의미이다.</ref>이기도 하다.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현수교의 종류"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현수교 3경간2힌지보강형.gif|3경간 2힌지 보강형 현수교<ref>코코팜팜, "[http://blog.naver.com/sjk509/150030003673 현수교 종류]", 『네이버 블로그 - sjk509』, 작성일: 2018년 04월 05일.</ref> | ||
+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남해대교]]가 위치한 남해군의 경제는 주로 농산물을 주원료로 하는 소규모 공업에 불과했지만 그 좌우의 여수·광양지구, 삼천포지구 등에 대단위 임해공업단지가 설치·가동되었고, 남해안 및 호남고속도로가 완공됨에 따라 점차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남해대교]]의 건설은 그러한 발전의 흐름을 더욱 활성화시켰고, 부근 지역인 부산·여수·마산·남해·하동 등과의 지역간 연결체제가 한층 원활하게 되었다.<br/> | + | [[남해대교]]가 위치한 남해군의 경제는 주로 농산물을 주원료로 하는 소규모 공업에 불과했지만 그 좌우의 여수·광양지구, 삼천포지구 등에 대단위 임해공업단지가 설치·가동되었고, 남해안 및 호남고속도로가 완공됨에 따라 점차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남해대교]]의 건설은 그러한 발전의 흐름을 더욱 활성화시켰고, 부근 지역인 부산·여수·마산·남해·하동 등과의 지역간 연결체제가 한층 원활하게 되었다.<br/>남해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자연지세가 아름다운 명승고적으로도 상당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데, 이 대교의 개통으로 말미암아 육지와의 연락이 쉬워져 국내 관광객 및 외국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커다란 이점을 지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발전 및 개발을 촉진하는 데 커다란 구실을 하고 있다. |
− | 남해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자연지세가 아름다운 명승고적으로도 상당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데, 이 대교의 개통으로 말미암아 육지와의 연락이 쉬워져 국내 관광객 및 외국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커다란 이점을 지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발전 및 개발을 촉진하는 데 커다란 구실을 하고 있다. | ||
=='''시각적 안내'''== | =='''시각적 안내'''== |
2017년 4월 18일 (화) 18:19 판
남해대교 | |
작가 | 박각순 |
---|---|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건설/교통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개요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인 남해대교를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다리 위를 달리는 차들이나 밑을 지나가는 배 등을 통해 그림 속 남해대교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그림은 1970년대 당시의 모습을 충실히 재현하고 있는데, 오늘날의 풍경도 거의 다른 점이 없을 정도로 변함이 없는 모습이다. 그림을 세로로 삼 등분하는 다리를 기준으로 오른편에는 옹기종기 모여있는 민가가, 왼편에는 금오산이 그려져 있다.
- 네이버 항공뷰로 본 남해대교
설명
작품 소재
1968년 5월에 착공되어 1973년 6월 20일에 완성된 남해대교는 우리나라 처음으로 가설한 동양 최대 규모의 현수교이다. 또한 국내에서 가장 긴 3경간 2힌지 보강형 현수교[2]이기도 하다.
- 현수교의 종류
3경간 2힌지 보강형 현수교[3]
- ===작품 배경===
- =='''시각적 안내'''==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각순 | 박각순-남해대교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박각순-남해대교 | A는 B를 대여하였다 |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박각순-남해대교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
박각순-남해대교 | 남해대교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박각순-남해대교 | 금오산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남해대교 | 현수교 | A는 B에 포함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박각순이 박각순-남해대교를 제작하였다. |
1991년 1월 15일-1992월 1월 14일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박각순-남해대교를 대여하였다. |
1998년 12월 30일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으로 박각순-남해대교의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2958 | 127.158241 | 박각순-남해대교가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 대여되었다. |
37.392958 | 127.158241 | 박각순-남해대교가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 소장되어 있다. |
그래프
참고문헌
- "남해대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현수교",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