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종 어진(곤룡포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잔글 (→시간정보) |
잔글 (→내용)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1928년에 그려진 | + | 1928년에 그려진 「순종 어진」은 [[조선 순종|순종]] 사후 황실의 하교를 받아 [[김은호|이당 김은호]]가 제작하였고 [[익선관]]에 황색 [[곤룡포]]를 착용하고 교의에 앉아 있는 모습의 전신상이다. [[김은호]]는 초상화를 그릴 때 전통적인 초상화법 대신 사진을 보고 얼굴의 윤곽과 음영을 파악하여 부드럽게 그리는 사진영상식 수법을 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순종 어진(곤룡포본)」도 같은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김은호]]는 여러 차례 [[조선 순종|순종]]의 [[어진]]을 제작했는데, 1916년경에 그가 그린 [[순종 어진(익선관본)|익선관본 순종 어진]]을 제작 당시의 [[순종 어진(흑백사진)|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어진은 [[창덕궁 대조전]] 벽에 걸려 있다가 1917년의 [[창덕궁 대조전|대조전]] 화재로 인해 불타버렸다. 1928년의 「순종 어진(곤룡포본)」은 [[창덕궁 신선원전]]에 소장되었다가 [[한국전쟁]] 당시에 부산 피난 시기에 화재를 당해 반소되었다.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8년 1월 14일 (일) 18:53 기준 최신판
순종 어진(곤룡포본) | |
한자명칭 | 純宗 御眞 |
---|---|
작가 | 김은호 |
제작시기 | 1928 |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유형 | 어진 |
크기(세로×가로) | 270.0×104.8㎝ |
정의
내용
1928년에 그려진 「순종 어진」은 순종 사후 황실의 하교를 받아 이당 김은호가 제작하였고 익선관에 황색 곤룡포를 착용하고 교의에 앉아 있는 모습의 전신상이다. 김은호는 초상화를 그릴 때 전통적인 초상화법 대신 사진을 보고 얼굴의 윤곽과 음영을 파악하여 부드럽게 그리는 사진영상식 수법을 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순종 어진(곤룡포본)」도 같은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김은호는 여러 차례 순종의 어진을 제작했는데, 1916년경에 그가 그린 익선관본 순종 어진을 제작 당시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어진은 창덕궁 대조전 벽에 걸려 있다가 1917년의 대조전 화재로 인해 불타버렸다. 1928년의 「순종 어진(곤룡포본)」은 창덕궁 신선원전에 소장되었다가 한국전쟁 당시에 부산 피난 시기에 화재를 당해 반소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순종 어진(곤룡포본) | 조선 순종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순종 어진(곤룡포본) | 김은호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순종 어진(곤룡포본) | 국립고궁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순종 어진(곤룡포본) | 순종 어진 복원모사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28년 | 순종 어진(곤룡포본)이 제작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65660 | 126.9748840 | 순종 어진(곤룡포본)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순종 어진(곤룡포본)[1]
주석
- ↑ "마지막 황제의 얼굴-순종 어진", 수장고 속 왕실유물 이야기,
『국립고궁박물관』online . - ↑ "순종 어진 복원모사도", 소장품 검색,
『국립고궁박물관』online .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권행가, "순종어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유산 보존연구 - 순종황제 어진』, 2015.
- 조선미, 『왕의 얼굴』, 사회평론,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