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진
어진 (御眞) |
|
대표명칭 | 어진 |
---|---|
한자표기 | 御眞 |
영문명칭 | The Portrait Of a King |
이칭 | 진용(眞容), 진(眞), 진영(眞影), 수용(晬容), 성용(聖容), 영자(影子), 영정(影幀), 어용(御容), 왕상(王像), 어영(御影) |
유형 | 초상화 |
목차
정의
왕의 초상화이다.
내용
용어
왕의 초상화를 지칭하는 용어로는 어진 외에도 진용(眞容)·진(眞)·진영(眞影)·수용(晬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등 다양하다. [1]
1713년(숙종 39년) 숙종의 어진을 그릴 당시 이이명(李頤命)의 건의에 따라 ‘어진(御眞)’을 가장 적합한 명칭으로 정의하였다.[2]
제작 방법
어진 제작은 도사(圖寫)·추사(追寫)·모사(模寫)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도사란 군왕이 생존해 있을 때 그 수용을 바라보면서 그리는 경우이다. 추사란 왕의 생존 시에 그리지 못하고 승하한 뒤에 그 수용을 그리는 경우로서 흡사하게 그리기가 가장 어렵다고 한다. 조선시대의 몇몇 군왕이나 왕세자의 초상화가 추사로 그려졌다. 그리고 전설 속 시조의 수용 역시 이 추사 방식에 의거하였다. 모사란 이미 그려진 어진이 훼손되었거나 혹은 새로운 진전에 봉안하게 될 경우에 기존본을 범본(範本)으로 하여 신본을 그릴 때를 말한다. 그런데 추사를 제외하고 도사 및 모사가 위와 같이 구별되어 사용한 것 역시 1713년부터이다.[3]
현존하는 어진
태조 이후 조선시대 대부분의 왕이 어진을 제작했으나 대부분의 어진이 현재 남아 있지 않다. 한국전쟁 초기, 어진을 비롯한 상당수의 왕실 유물이 부산으로 옮겨졌었는데, 휴전 이후 유물을 서울로 옮기는 계획을 세우던 무렵, 보관 창고에 화재가 났고, 이때 거의 대부분이 소실되었다.[4]
우리나라는 현재 어진 제작 과정이나 진전 봉안 체제에 관한 세부적인 사실 기록은 모두 전존한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작품으로는 전주 경기전(慶基殿)의 태조 어진, 서울 창덕궁의 영조 어진, 철종 어진, 익종 어진 그리고 영조의 연잉군(延礽君) 때의 도사본만이 현존하고 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어진 | 조선 태조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영조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철종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익종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연잉군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순종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세조 초상(초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고종 어진(곤룡포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고종 어진(조복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고종 초상(전신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65660 | 126.9748840 | 조선 태조 어진은 전주 어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영조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철종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악종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연잉군 초상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순조 어진은 전주 어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세조 초상(초본)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5.966259 | 126.956675 | 고종 어진(곤룡포본)은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고종 어진(조복본)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영상
- EBSculture(EBS 교양),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왕의 초상, 어진_#001", YouTube, 게시일: 2014년 04월 16일.
주석
- ↑ 조선미, "어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조선미, "어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조선미, "어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초상화 1부 어진, 조선의 왕을 말하다", 프로그램 목록,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조선미, "어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조선미, "어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초상화 1부 어진, 조선의 왕을 말하다", 프로그램 목록,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조선미, "어진",
유용한 정보
- EBSculture(EBS 교양),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왕의 초상, 어진_#001", YouTube, 게시일: 2014년 04월 16일.
- 고연희, 김동준, 정민,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3. 온라인 참조: "불멸의 초상, 어진",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