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세조대왕 진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영의 제작 및 보관)
2번째 줄: 2번째 줄: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세조대왕 진영.jpg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세조대왕 진영.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이영춘,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print.do?levelId=km_024_0060_0010_0020_0020&whereStr= 왕실의 불교 신앙]", 한국문화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대표명칭= 세조대왕 진영
 
|대표명칭= 세조대왕 진영
 
|한자명칭= 世祖大王 眞影
 
|한자명칭= 世祖大王 眞影
69번째 줄: 69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세조대왕 진영.jpg|[[세조대왕 진영]]<ref>이영춘,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print.do?levelId=km_024_0060_0010_0020_0020&whereStr= 왕실의 불교 신앙]", 한국문화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gallery>
  
 
=='''주석'''==
 
=='''주석'''==
78번째 줄: 82번째 줄: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인초/검토요청]]
 

2017년 11월 22일 (수) 22:14 판


세조대왕 진영
이영춘, "왕실의 불교 신앙", 한국문화사,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한자명칭 世祖大王 眞影
작가 미상
제작시기 1899년
소장처 합천 해인사
유형 진영
크기(세로×가로) 136×86㎝


정의

조선시대 임금인 세조(재위 1455∼1468)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세조대왕 진영>은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일명 '합천 해인사 존상도'라고도 부르고 있다. 최초에 이 진영세조 4년인 1458년 가을에 당시 영중추원부사 윤사로(尹師路)승정원 도승지 조석문(曺錫文)등이 당시 왕이었던 세조의 초상화를 그려 합천 해인사에 봉안한 것으로 그림의 화기를 통해 제작동기를 알 수 있다. 오른쪽 상단부에서 세로로 세조대왕어진(世祖大王御眞)이라고 명문이 있고 이어서 아래의 화기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Quote-left.png

천순 2년 무인 1458년(세조 4년) 가을 영중추원부사 신 윤사로와 승정원도승지 신 조석문이 세조의 명령을 받들어 해인사에 세조대왕의 초상화를 봉안하였다. 대한제국 광무3년 1899년 기해 10월 25일 예전의 어진과 같이 다시금 그리어 축성전에 함께 모셔두었다.
天順二年戊寅秋, 領中樞府事臣尹師路, 丞政院都丞旨臣曺錫文奉命, 奉安于海印寺, 大韓光武三年己亥十月二十五日, 중重模與舊眞, 同安于祝聖殿.

Quote-right.png
출처: 성안, 「수다라장에 봉안된 세조 영정」, 『월간 해인』 362호, 2012년.[1]


이 그림은 화원화가들이 그린 어진과 비교하면, 화면의 구성이나 양식이 확연히 다르다. 불교회화적인 특색이 두드러져 있어 사찰의 화승이 그린 것으로 추측된다. 화기를 통해 그림이 중모(重摹)되어왔음을 알 수 있고, 현재의 진영은 1899년 중모한 모습이다.
세조는 자신이 저지른 죄업 때문에 불교에 많은 희사를 하고 귀의한 왕으로 알려져 있다. 합천 해인사에서도 대장경의 이안과 함께 50부를 인출하고, 대장경 판전을 중건하는 등 세조해인사는 각별한 관계에 있었다. 즉 해인사의 중흥에 큰 공로가 인정되어 해인사에 [[조선 세조|세조]]의 진영이 보관되어 있는 것이다. 화승이 그린 임금의 존상으로 조선 전기에 해인사가 불교계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2]

진영에 묘사된 모습

<세조대왕 진영>은 대왕의 머리 위쪽에는 불교 전각 안에 설치되는 천개를 표현하였고 곤룡포를 입고 양손으로 을 잡고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이 화려하고 위엄이 있다. 대왕 주위에 두 명의 시중이 부채를 잡고 그 아래에 동자가 손잡이가 긴 부채를 들고 있다. 또한 대왕 뒤에는 국화꽃을 묘사한 5폭 병풍을 표현하였다.
일반적인 초상화와 달리 불교적인 색채로 가득하며 얼굴의 표현역시 인물의 개성보다는 이상화, 또는 도식적인 표현으로 그려졌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세조대왕 진영 진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세조대왕 진영 조선 세조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세조대왕 진영 합천 해인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세조대왕 진영 윤사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세조대왕 진영 조석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곤룡포 세조대왕 진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세조대왕 진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99년 세조대왕 진영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8011780 128.0980980 세조대왕 진영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성안, 「수다라장에 봉안된 세조 영정」, 『월간 해인』 362호, 2012년.
  2. 편집실, 「해인사의 보물 - 합천 해인사 존상도」, 『월간 해인』 425호, 2017년.
  3. 이영춘, "왕실의 불교 신앙", 한국문화사,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합천해인사존상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