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조대왕 진영
세조대왕 진영 | |
한자명칭 | 世祖大王 眞影 |
---|---|
작가 | 미상 |
제작시기 | 1899년 |
소장처 | 합천 해인사 |
유형 | 진영 |
크기(세로×가로) | 136×86㎝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임금인 세조(재위 1455∼1468)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세조대왕 진영>은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일명 '합천 해인사 존상도'라고도 부르고 있다. 최초에 이 진영은 세조 4년인 1458년 가을에 당시 영중추원부사 윤사로(尹師路)와 승정원 도승지 조석문(曺錫文)등이 당시 왕이었던 세조의 초상화를 그려 합천 해인사에 봉안한 것으로 그림의 화기를 통해 제작동기를 알 수 있다. 오른쪽 상단부에서 세로로 세조대왕어진(世祖大王御眞)이라고 명문이 있고 이어서 아래의 화기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천순 2년 무인 1458년(세조 4년) 가을 영중추원부사 신 윤사로와 승정원도승지 신 조석문이 세조의 명령을 받들어 해인사에 세조대왕의 초상화를 봉안하였다. 대한제국 광무3년 1899년 기해 10월 25일 예전의 어진과 같이 다시금 그리어 축성전에 함께 모셔두었다. |
||
출처: 성안, 「수다라장에 봉안된 세조 영정」, 『월간 해인』 362호, 2012년.[1] |
이 그림은 화원화가들이 그린 어진과 비교하면, 화면의 구성이나 양식이 확연히 다르다. 불교회화적인 특색이 두드러져 있어 사찰의 화승이 그린 것으로 추측된다. 화기를 통해 그림이 중모(重摹)되어왔음을 알 수 있고, 현재의 진영은 1899년 중모한 모습이다.
세조는 자신이 저지른 죄업 때문에 불교에 많은 희사를 하고 귀의한 왕으로 알려져 있다. 합천 해인사에서도 대장경의 이안과 함께 50부를 인출하고, 대장경 판전을 중건하는 등 세조와 해인사는 각별한 관계에 있었다. 즉 해인사의 중흥에 큰 공로가 인정되어 해인사에 세조의 진영이 보관되어 있는 것이다. 화승이 그린 임금의 존상으로 조선 전기에 해인사가 불교계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2]
진영에 묘사된 모습
<세조대왕 진영>은 대왕의 머리 위쪽에는 불교 전각 안에 설치되는 천개를 표현하였고 곤룡포를 입고 양손으로 홀을 잡고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이 화려하고 위엄이 있다. 대왕 주위에 두 명의 시중이 부채를 잡고 그 아래에 동자가 손잡이가 긴 부채를 들고 있다. 또한 대왕 뒤에는 국화꽃을 묘사한 5폭 병풍을 표현하였다.
일반적인 초상화와 달리 불교적인 색채로 가득하며 얼굴의 표현역시 인물의 개성보다는 이상화, 또는 도식적인 표현으로 그려졌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세조대왕 진영 | 진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세조대왕 진영 | 조선 세조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세조대왕 진영 | 합천 해인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세조대왕 진영 | 윤사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세조대왕 진영 | 조석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곤룡포 | 세조대왕 진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홀 | 세조대왕 진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99년 | 세조대왕 진영이 제작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8011780 | 128.0980980 | 세조대왕 진영은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세조대왕 진영[3]
주석
- ↑ 성안, 「수다라장에 봉안된 세조 영정」, 『월간 해인』 362호, 2012년.
- ↑ 편집실, 「해인사의 보물 - 합천 해인사 존상도」, 『월간 해인』 425호, 2017년.
- ↑ 이영춘, "왕실의 불교 신앙", 한국문화사,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합천해인사존상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