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우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8번째 줄: 18번째 줄:
  
 
=='''정의'''==
 
=='''정의'''==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흉의장(凶儀仗)이다.
+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흉의장(凶儀仗)이다.
  
 
=='''내용'''==
 
=='''내용'''==
싸리나무로 둥그런 골격을 만들어 그 위로 흰 거위털을 층층히 붙여 입혀 일산(日傘) 모양처럼 만들었다.<br/>  
+
흰 칠을 한 대나무로 자루를 만든다. 윗부분에 싸리나무로 둥그런 골격을 만들어 종이를 바르고 흰 거위털을 층층이 붙여 일산(日傘) 모양처럼 만들었다.<br/>  
대나무로 자루를 만들고 받침대인 부(趺)에 꽂아서 세워 놓았다.<br/>
+
받침대인 부(趺)에 꽂아서 세워 놓았다.<br/>
발인 행렬의 앞부분에서 위치하여 지휘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
발인 행렬의 앞에서 위치하여 지휘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53번째 줄: 53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jsessionid=8RMcXyTJSp6K5BNyfyCmgLrNnDT2m2TLvySGXX4L1SmxBXh4JXTT!-1882982091?kind=%EC%9A%B0%EB%B3%B4(%E7%BE%BD%E8%91%86)&dataType=n&&lmenuType=a_1 우보(羽葆)]",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jsessionid=8RMcXyTJSp6K5BNyfyCmgLrNnDT2m2TLvySGXX4L1SmxBXh4JXTT!-1882982091?kind=%EC%9A%B0%EB%B3%B4(%E7%BE%BD%E8%91%86)&dataType=n&&lmenuType=a_1 우보(羽葆)]",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박례경,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916&category=A&sWord=우보 우보(羽葆)]",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박례경,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916&category=A&sWord=우보 우보(羽葆)]",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60번째 줄: 60번째 줄: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물품]]
 
[[분류:물품]]

2017년 10월 28일 (토) 17:04 기준 최신판


우보(羽葆)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우보
한자표기 羽葆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흉례(凶禮)-상례(喪禮)-발인(發引)에 사용



정의

조선시대 국장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흉의장(凶儀仗)이다.

내용

흰 칠을 한 대나무로 자루를 만든다. 윗부분에 싸리나무로 둥그런 골격을 만들어 종이를 바르고 흰 거위털을 층층이 붙여 일산(日傘) 모양처럼 만들었다.
받침대인 부(趺)에 꽂아서 세워 놓았다.
발인 행렬의 앞에서 위치하여 지휘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우보(羽葆)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우보(羽葆)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우보(羽葆)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우보(羽葆) 발인(發引)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
  2.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3.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박봉주, "우보(羽葆)",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박례경, "우보(羽葆)",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