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해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23번째 줄: 23번째 줄:
  
 
초당(初唐)에 이르러서는 [[우세남|우세남(虞世南)]] ·[[구양순|구양순(歐陽詢)]] ·[[저수량|저수량(椧遂良)]] 등이 배출되면서 해서의 전형이 완성되었다. 이 세 사람의 작품은 해서의 극치로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중당(中唐) 때 [[안진경|안진경(顔眞卿)]]이 원세(圓勢)를 가미한 새로운 서풍을 이루었고 이상의 4대가 이후에는 이들에 필적할 작품이 없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8758 해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초당(初唐)에 이르러서는 [[우세남|우세남(虞世南)]] ·[[구양순|구양순(歐陽詢)]] ·[[저수량|저수량(椧遂良)]] 등이 배출되면서 해서의 전형이 완성되었다. 이 세 사람의 작품은 해서의 극치로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중당(中唐) 때 [[안진경|안진경(顔眞卿)]]이 원세(圓勢)를 가미한 새로운 서풍을 이루었고 이상의 4대가 이후에는 이들에 필적할 작품이 없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8758 해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비문이 해서체로 쓰여진 탑비===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
 +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9월 20일 (수) 17:37 판

해서
(楷書)
대표명칭 해서
한자표기 楷書
이칭 정서(正書), 진서(眞書)
관련개념 예서(隷書)



정의

한자(漢字) 서체의 일종으로 일점일획(一點一畵)을 정확히 독립시켜 쓴 서체.

내용

해서는 예서(隸書)에서 변화, 발달되었으며 후한(後漢) 말기에 이 서체를 볼 수 있지만 독립된 서체로서 완성되지 못하고 위 ·진(魏晉) 이후에 왕희지(王羲之)에 의해 예술적으로 완성되었다.[1] 다른 서체보다 발생단계로서는 가장 뒤늦게 성립된 것이다.. 실용이라기보다는 의식적인 정제(整齊)함을 요구해서 생긴 것이라 할 수 있다. 정서(正書) 진서(眞書)라고도 하여 현재 일반적으로 쓰고 있어 활자체에도 활용되고 있다.[2]

해서와 예서(隸書) 모두 일점일획(一點一畵)을 정확히 독립시켜 쓴다는 점에서는 같다. 하지만 예서체(隸書體)가 자형의 전체 윤곽이 다소 가로로 퍼진 형태라면, 해서(楷書體)는 다소 세로로 퍼진 형태를 지니고 있다. 그로인해 해서는 예서보다 서체가 좀더 부드러우면서도 명확한 양식으로 발전하게 된다. [3]

해서에는 두 가지 뜻이 있는데, ① 법도(法度)를 갖추어서 해모(楷模)가 되는 서법이라는 뜻이고, ② 정서 혹은 진서로서 자체가 단정하고 용필(用筆)이 법에 맞는다는 것으로 행서(行書)·초서(草書)와 같이 흘리지 않는다는 뜻이 있다.[4]

초당(初唐)에 이르러서는 우세남(虞世南) ·구양순(歐陽詢) ·저수량(椧遂良) 등이 배출되면서 해서의 전형이 완성되었다. 이 세 사람의 작품은 해서의 극치로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중당(中唐) 때 안진경(顔眞卿)이 원세(圓勢)를 가미한 새로운 서풍을 이루었고 이상의 4대가 이후에는 이들에 필적할 작품이 없다.[5]

비문이 해서체로 쓰여진 탑비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해서 예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서 구양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서 우세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서 왕희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서 왕희지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서 구양순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해서", 『두산백과』online.
  2. "해서(서체), 『위키백과』online.
  3. "해서", 『두산백과』online.
  4. 김응현, "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해서",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 "해서", 『두산백과』online.
  • "해서(서체), 『위키백과』online.
  • 김응현, "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