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개성 귀법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관련승려)
26번째 줄: 26번째 줄:
  
 
===관련승려===
 
===관련승려===
====[[탄문|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
+
====[[탄문]]====
968년([[고려 광종|광종]] 19) [[탄문|법인국사 탄문()]]이 [[왕사|왕사(王師)]]가 되어 귀법사에서 주석하였다.<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780 탄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968년([[고려 광종|광종]] 19) [[탄문|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이 [[왕사|왕사(王師)]]가 되어 귀법사에서 주석하였다.<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780 탄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낙진|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
+
====[[낙진]]====
 
1114년([[고려 예종|예종]] 9) [[낙진|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은 [[왕사|왕사(王師)]]가 되어 귀법사에서 주석하였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쪽.</ref>
 
1114년([[고려 예종|예종]] 9) [[낙진|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은 [[왕사|왕사(王師)]]가 되어 귀법사에서 주석하였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쪽.</ref>
  
 
1119년([[고려 예종|예종]] 14) 낙진은 귀법사에서 입적하였으며, 귀법사 서쪽 산기슭에서 다비를 행하였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93쪽.</ref>
 
1119년([[고려 예종|예종]] 14) 낙진은 귀법사에서 입적하였으며, 귀법사 서쪽 산기슭에서 다비를 행하였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93쪽.</ref>
  
====[[종린|현오국사 종린(玄悟國師 宗璘)]]====
+
====[[종린]]====
 
1179년([[고려 명종|명종]] 9) [[종린|현오국사 종린(玄悟國師 宗璘)]]이 입적하자 귀법사에 시신을 임시로 모셨다.<ref>박정미, 홍영의, "[http://yongin.grandculture.net/Contents?local=yongin&dataType=01&contents_id=GC00901788 종린]", 『디지털용인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179년([[고려 명종|명종]] 9) [[종린|현오국사 종린(玄悟國師 宗璘)]]이 입적하자 귀법사에 시신을 임시로 모셨다.<ref>박정미, 홍영의, "[http://yongin.grandculture.net/Contents?local=yongin&dataType=01&contents_id=GC00901788 종린]", 『디지털용인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7년 9월 20일 (수) 00:14 판

개성 귀법사
(開城 歸法寺)
대표명칭 개성 귀법사
한자 開城 歸法寺



정의

경기 개풍군에 있었던 사찰.

내용

963년(광종 14)에 광종이 대원(大願)을 발하여 국찰로서 송악산 아래에 이 절을 짓고 친히 승려들을 공양했으며, 균여(均如)를 초대주지로 삼았다. 또한, 당시의 실력자이었던 최충(崔冲)은 이곳에서 예비 등용문인 하과(夏課)를 베풀었다. 즉, 최충은 매년 여름이 되면 이 절의 승방에서 벼슬을 하지 못하고 집안이 가난한 선비들을 모아서 구경삼사(九經三史)를 강의하는 한편, 시로써 서로의 실력을 겨루게 하였다. 또한, 이 절은 광종 이후 목종·선종·의종 등 여러 왕의 행차가 잦았으며, 중요한 법회의식이 거행되어 당시로서는 최대의 국찰이었다. 특히, 1085년(선종 2) 선종이 이 절에 행차해 반승(飯僧)을 베풀었고, 1087년 대장경을 봉안하는 법회에 참석하였다. 의종은 1161년 4월 초 이 절에 들러 한달을 넘게 머물렀으며, 1166년(의종 20) 수문전(修文殿)에서 백고좌회(百高座會)를 열기도 하였다.[1]

관련승려

탄문

968년(광종 19) 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왕사(王師)가 되어 귀법사에서 주석하였다.[2]

낙진

1114년(예종 9) 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왕사(王師)가 되어 귀법사에서 주석하였다.[3]

1119년(예종 14) 낙진은 귀법사에서 입적하였으며, 귀법사 서쪽 산기슭에서 다비를 행하였다.[4]

종린

1179년(명종 9) 현오국사 종린(玄悟國師 宗璘)이 입적하자 귀법사에 시신을 임시로 모셨다.[5]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균여 개성 귀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낙진 개성 귀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탄문 개성 귀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종린 개성 귀법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려 광종 개성 귀법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정병조, "귀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장충식, "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쪽.
  4.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93쪽.
  5. 박정미, 홍영의, "종린", 『디지털용인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정병조, "귀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