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이씨 식산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한글팀_진양하씨_단지종택01.jpg
+
|사진=한글팀 연안이씨 식산종택.jpg
 
|사진출처= 기록유산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개발 연구팀  
 
|사진출처= 기록유산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개발 연구팀  
|대표명칭=진양하씨 단지종택
+
|대표명칭= 연안이씨 식산종택
|한자표기=晉州 丹牧理 澹山古宅
+
|한자표기= 延安李氏 息山宗宅
|영문명칭=House of Damsan in Danmok-ri, Jinju
+
|영문명칭=  
|이칭=진양하씨 단목종택, 진주 단목리 하협종택, 진주 단목리 담산고택
+
|이칭=
 
|유형= 주택(한옥)
 
|유형= 주택(한옥)
 
|시대= 조선
 
|시대= 조선
|지정번호=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38호
+
|지정번호=
 
|지정일=
 
|지정일=
 
|소장처=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746
 
|소장처=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746
14번째 줄: 14번째 줄:
 
|위도=128.136781
 
|위도=128.136781
 
|수량=
 
|수량=
|관련인물=하협
+
|관련인물= 이만부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
 
|관련장소=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호산춘주 제조법]]
+
|관련유물유적=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
 
}}
  
=='''정의'''==
+
==정의==
진양하씨 [[하협|단지 하협]]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종택이다.
+
연안이씨 [[이만부|식산 이만부]]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집이다.
 
 
=='''내용'''==
 
===진양하씨와 남명학파===
 
진양하씨는 고려시대 이후부터 진주에 세거하였다. 다수의 과거급제자와 훌륭한 인물을 배출하면서 명문가문으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갔다. 뿐만 아니라 [[하륜]]의 조선 건국과정에서의 활약과 진주정씨와의 혼인을 통해 진주지역에서 강력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하순경]]과 그 아들 [[하기룡]]대에 비봉산 아래를 떠나 거주지를 변경하였다. [[하순경]]은 진주부 남쪽으로 [[하기룡]]은 진주부 북쪽의 단목리로 이주하였다. 하기룡의 후손들은 단목리를 중심으로 활발한 학문활동을 통해 사회적 기반을 유지·강화해갔다. 특히 [[하숙]]의 아들 [[하위보]], [[하진보]], [[하국보]]에 이르러 비약적인 발전의 계기를 마련한다. 하위보와 하국보는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하진보는 1554년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이들 3형제는 모두 남명 [[조식]]의 문인이었다. 하진보는 신산서원(新山書院)을 건립하여 남명의 위패를 봉안하였고, 하위보도 후학 양성에 힘쓰며 남명의 학문전파에 기여한 바가 컸다. 하위보와 하진보의 남명학파내에서의 위치와 그들의 활동에 힘입어 하위보의 아들 단지 [[하협]]과 그 후손들 또한 남명학파의 핵심구성원으로서 활약하게 되었기에 17세기 이후 단목리는 진양하씨의 세거지인 동시에 남명학파의 본거지로 자리잡았다.
 
<ref>정수환·박준호, 「晋州 晋陽河氏 丹池宗宅 所藏 典籍類의 내용과 그 성격」,
 
『장서각』6,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211-214쪽.</ref>
 
 
 
===단지종택의 건립과 구조===
 
단지 [[하협]]이 분가할 때 터를 정해 지은 집이다. 당시 집터를 조성하고 땅을 고를 때 나무 위에 앉아 있던 학(鶴) 두마니라 앞산으로 날아갔다고 해서 이곳을 '해기터(학터:鶴基)'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ref>"[http://jinyangha.com/htmls/sadang/jinha02-6-0.htm?sadang=jinha02-6-35.htm 단지공 하협종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진양하씨종사연구회』<sup>online</sup></online></html>, 진양하씨종사연구회.</ref>
 
경상남도에서는 이 단지종택을 창주의 후손인 담산 하우식(1875~1943)의 호를 따서 담산고택으로 명명하였다. 단지종택은 가운데 솟을대문이 있는 중심채영역과 좌우에 담장으로 구획된 아래채영역, 윗채영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1864년, 사랑채는 1871년에 건립되었는데, 두 건물은 단파 하계룡(1851~1932)에 의하여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며, 그의 아들 담산 [[하우식]]에 의하여 1923년 중수되었다. 별채는 1916년에 건립되었다.<ref>경상남도, "진주 단목리 담산고택" 문화재
 
안내판.</ref> 그외에 광채, 행랑채, 부속사, 정암정, 문간채 등이 있고 마당에는 효자목이라는 감나무가 있다. 광채는 내부는 고쳤으나 외형은 남아있어 지방사족의 가옥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1800년대 중엽부터 1900년대 중엽까지 차례대로 건물이 지어져서 가옥의 형태변화를 살필 수 있어 고건축 연구에도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ref>"[http://tour.jinju.go.kr/06heritage/03_03.jsp?amode=_viw&cult_sno=604&cpage=7 진주 단목리 담산고택]", 문화유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진주시청』<sup>online</sup></online></html>, 진주시.</ref>
 
 
 
최근에 종손 순봉이 본채인 단지세장(丹池世庄)의 양쪽에 집을 지었는데 동쪽는 조부 묵재공을 위해 묵재재실이라 이름짓고, 서쪽은 목림서실이라 이름짓고 자신의 서재로 삼았다.
 
 
 
===진양하씨 단지종택 소장 고문헌===
 
현재 고택 내에는 행정 [[하진태]]의 효행관련문헌을 포함한 고문서 약 5000점, 고서 약 3000책 등 많은 고문헌들이 소장되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이를 모아 『고문서집성』45권으로 발간하였다. 진양하씨 가문은 대부분 남명 조식의 문인이거나 그 학파에 속하는 인물들이었다. 진양하씨 단지종택에 남아있는 많은 고문헌들에도 이들의 자취를 확인할 수 있다.  <ref>허창식·안승준, 「[http://archive.aks.ac.kr/heje/heje.aspx?booknum=60 晋州 丹牧 晋陽河氏의 사회적 지위와 家傳 고문서에 대한 고찰]」, 한국고문서자료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자료센터』<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식산 [[이만부]]와 연안이씨 가문===
 +
연안이씨 가문은 [[이관징]]의 아들 [[이옥]]과 이옥의 아들 [[이만부]], 3대에 걸쳐 남인의 핵심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연안이씨 식산가문은 [[이만부]] 이후 이건기가 이천도획부사를 역인한 것을 제외하고는 직계로 실직을 지낸 관리를 배출하지는 못했다. 가세가 격하게 위축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식산가문은 벼슬보다는 학문과 문학으로 명가로서의 가성을 유지해 나갔다. 특히 문학적인 족적은 이만부의 손자 이승연 대에서 6세손 이병선 대에 이르기까지 줄기차게 이어져 엄청난 분량의 저술을 남겼다. <ref>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45-247쪽.</ref>
 +
===[[연안이씨 식산종택]] 소장 고문서의 현황과 내용===
 +
[[연안이씨 식산종택]] 소장 전적은 시기적으로는 17세기 중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이르고 있으며 [[이관징]], [[이옥]], [[이만부]] 3대와 관련된 것들이며 그 외 인친들의 필첩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ref>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48쪽.</ref>  문집류는 상주·안동 출신이 저자인 경우가 많다.  <ref>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54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2017년 9월 18일 (월) 23:54 판

연안이씨 식산종택
(延安李氏 息山宗宅)
파일:한글팀 연안이씨 식산종택.jpg
기록유산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개발 연구팀
대표명칭 연안이씨 식산종택
한자표기 延安李氏 息山宗宅
유형 주택(한옥)
시대 조선
소장처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746
관련인물 이만부
관련유물유적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정의

연안이씨 식산 이만부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집이다.

내용

식산 이만부와 연안이씨 가문

연안이씨 가문은 이관징의 아들 이옥과 이옥의 아들 이만부, 3대에 걸쳐 남인의 핵심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연안이씨 식산가문은 이만부 이후 이건기가 이천도획부사를 역인한 것을 제외하고는 직계로 실직을 지낸 관리를 배출하지는 못했다. 가세가 격하게 위축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식산가문은 벼슬보다는 학문과 문학으로 명가로서의 가성을 유지해 나갔다. 특히 문학적인 족적은 이만부의 손자 이승연 대에서 6세손 이병선 대에 이르기까지 줄기차게 이어져 엄청난 분량의 저술을 남겼다. [1]

연안이씨 식산종택 소장 고문서의 현황과 내용

연안이씨 식산종택 소장 전적은 시기적으로는 17세기 중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이르고 있으며 이관징, 이옥, 이만부 3대와 관련된 것들이며 그 외 인친들의 필첩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2] 문집류는 상주·안동 출신이 저자인 경우가 많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호산춘주 제조법 연안이씨 식산종택 A는 B에 보관되었다
연안이씨 식산종택 하협 A는 B에서 이름을 땄다
연안이씨 식산종택 진양하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연안이씨 식산종택 하기룡 A는 B와 관련이 있다 15세기 중엽
하기룡 진양하씨 A는 B에 소속된다
하기룡 하숙 A는 B의 후손이다
하숙 하위보 A는 B의 어버이다
하숙 하진보 A는 B의 어버이다
하숙 하국보 A는 B의 어버이다
하위보 조식 A는 B의 제자이다
하진보 조식 A는 B의 제자이다
하국보 조식 A는 B의 제자이다
하위보 하협 A는 B의 어버이다
하계룡 하협 A는 B의 후손이다
하계룡 하우식 A는 B의 어버이다
하계룡 연안이씨 식산종택 안채 A는 B를 건립하였다 1864년
하계룡 연안이씨 식산종택 사랑채 A는 B를 건립하였다 1871년
하계룡 연안이씨 식산종택 별채 A는 B를 건립하였다 1916년

시간 정보

시간정보 내용
15세기 중엽 하기룡이 단목리로 이거하였다.
1864년 하계룡이 연안이씨 식산종택 안채를 건립하였다
1871년 하계룡이 연안이씨 식산종택 사랑채를 건립하였다
1916년 하계룡이 연안이씨 식산종택 별채를 건립하였다

공간 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257146 128.136781 연안이씨 식산종택은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마을에 위치한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45-247쪽.
  2. 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48쪽.
  3. 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54쪽.

참고 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명가의 고문서1 선비가의 묵향 : 진양하씨 창주후손가』,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집성(47)-진주 단목 진양하씨 창주후손가(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0.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집성(48)-진주 단목 진양하씨 창주후손가(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0.
  • 논문
    1. 김학수, 「고문서를 통해 본 진양하씨 창주가의 토족적 위상 - 사회경제적 기반을 중심으로」, 『남명학연구』25,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08.
    2. 장서각, 「晉州 晉陽河氏 滄洲後孫家所藏 典籍[文集類]의 현황과 내용」, 『장서각』3, 한국학중앙연구원, 2000.
    3. 조계영, 「문중의 고문헌 관리와 보존 - 진주 진양하씨 단지종택 사례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27, 한국고문서학회, 2005.
  • 웹자원
    1. 김규형, "진주 담산 고택",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