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인용 및 참조)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고대에 신목이 없는 신은 [[리|리(履)]]라 불렀고, 후대에는 [[혜(남성)|혜]]라고 했다. [[혜(남성)|혜]] 중에서 신의 바닥을 홑으로 하면 [[구|구(屨)]]라 하고, 겹바닥 신은 [[적석|석]]이라 했다. [[적석|석]]은 신 바닥을 겹으로 하고, 두 겹의 바닥 사이에 나무판을 넣은 것이 특징이다. 본래 [[적석|석]]은 신목 없이 신울에 장식이 달리는 형태인데, [[명]]에서 보내온 석은 신목이 달린 형태로 송대에 변형된 형태가 명대까지 유지된 것이다. 조선 후기의 [[적석|석]]은 신목이 있는 형태가 유지되다가 [[정조]]와 [[순조]] 이후 신목이 없는 형태로 변하였다. 신울과 장식인 '구(絇)', '억(繶)', '준(純)', '기(綦)'의 배색 원칙은 오행의 이치를 반영한 색을 쓰되 서로 반대되는 방향[對方]에 있는 색을 사용하는 [[회차|회차(繪次)]]의 원칙을 적용했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 고대에 신목이 없는 신은 [[리|리(履)]]라 불렀고, 후대에는 [[혜(남성)|혜]]라고 했다. [[혜(남성)|혜]] 중에서 신의 바닥을 홑으로 하면 [[구|구(屨)]]라 하고, 겹바닥 신은 [[적석|석]]이라 했다. [[적석|석]]은 신 바닥을 겹으로 하고, 두 겹의 바닥 사이에 나무판을 넣은 것이 특징이다. 본래 [[적석|석]]은 신목 없이 신울에 장식이 달리는 형태인데, [[명]]에서 보내온 석은 신목이 달린 형태로 송대에 변형된 형태가 명대까지 유지된 것이다. 조선 후기의 [[적석|석]]은 신목이 있는 형태가 유지되다가 [[정조]]와 [[순조]] 이후 신목이 없는 형태로 변하였다. 신울과 장식인 '구(絇)', '억(繶)', '준(純)', '기(綦)'의 배색 원칙은 오행의 이치를 반영한 색을 쓰되 서로 반대되는 방향[對方]에 있는 색을 사용하는 [[회차|회차(繪次)]]의 원칙을 적용했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67~70쪽.</ref> [[흑석]]의 기본 형태는 [[적석]]과 같이 신목이 있는 형태에서 점차 신목이 없이 신울만 있는 형태로 변화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흑석]]의 발등에는 장식이 있는데, 장식은 두 종류로 꽃판과 그 위에 놓이는 진주가 있다. [[영조]] 이전까지는 상황에 관계없이 국화동(꽃판)과 진주를 함께 장식하였으나, [[영조]] 때 [[상방정례]] 편찬 이후 [[책례]], [[혼례]], [[제례]], [[상례]]에는 국화동만 장식하고, [[존숭]]과 [[진연]]에는 이전대로 국화동과 진주를 함께 장식 하였다.<ref>최연우, 「조선시대 석(舃) 연구」, 『服飾』 63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13, 157쪽.</ref> [[흑석]]은 대한제국시대에 심청색 [[적의]]와 함께 [[청말]]과 [[청석]]으로 바뀌었다.<ref>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116쪽.</ref> |
<br /> | <br /> | ||
<br /> | <br /> | ||
60번째 줄: | 60번째 줄: |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
* 최연우, 「대한제국시대 석(舃)의 고찰 및 한국 석의 형태적 특징의 유래」, 『服飾』 63권 8호, 2013. | * 최연우, 「대한제국시대 석(舃)의 고찰 및 한국 석의 형태적 특징의 유래」, 『服飾』 63권 8호, 2013. | ||
− | * 최연우, 「석(舃)에 적용된 회차(繪次)와 수차(繡次)의 배색원칙」, 『服飾』 64권 6호, 한국복식학회 | + | * 최연우, 「석(舃)에 적용된 회차(繪次)와 수차(繡次)의 배색원칙」, 『服飾』 64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14. |
− | * 최연우, 「조선시대 석(舃) 연구」, 『服飾』 63권 2호, 한국복식학회 | + | * 최연우, 「조선시대 석(舃) 연구」, 『服飾』 63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13.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
2017년 10월 2일 (월) 17:59 판
흑석 (黑舃) |
|
대표명칭 | 흑석 |
---|---|
한자표기 | 黑舃 |
구분 | 신 |
착용신분 | 왕세자빈, 왕세손빈, 혜경궁 홍씨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왕세자빈, 왕세손빈, 혜경궁 홍씨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례를 받는 등 적의를 착용할 때 신는 신발이다.[1]
내용
고대에 신목이 없는 신은 리(履)라 불렀고, 후대에는 혜라고 했다. 혜 중에서 신의 바닥을 홑으로 하면 구(屨)라 하고, 겹바닥 신은 석이라 했다. 석은 신 바닥을 겹으로 하고, 두 겹의 바닥 사이에 나무판을 넣은 것이 특징이다. 본래 석은 신목 없이 신울에 장식이 달리는 형태인데, 명에서 보내온 석은 신목이 달린 형태로 송대에 변형된 형태가 명대까지 유지된 것이다. 조선 후기의 석은 신목이 있는 형태가 유지되다가 정조와 순조 이후 신목이 없는 형태로 변하였다. 신울과 장식인 '구(絇)', '억(繶)', '준(純)', '기(綦)'의 배색 원칙은 오행의 이치를 반영한 색을 쓰되 서로 반대되는 방향[對方]에 있는 색을 사용하는 회차(繪次)의 원칙을 적용했다.[2] 흑석의 기본 형태는 적석과 같이 신목이 있는 형태에서 점차 신목이 없이 신울만 있는 형태로 변화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흑석의 발등에는 장식이 있는데, 장식은 두 종류로 꽃판과 그 위에 놓이는 진주가 있다. 영조 이전까지는 상황에 관계없이 국화동(꽃판)과 진주를 함께 장식하였으나, 영조 때 상방정례 편찬 이후 책례, 혼례, 제례, 상례에는 국화동만 장식하고, 존숭과 진연에는 이전대로 국화동과 진주를 함께 장식 하였다.[3] 흑석은 대한제국시대에 심청색 적의와 함께 청말과 청석으로 바뀌었다.[4]
조선시대 신분별 석 색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세자빈 | 흑석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혜경궁 홍씨 | 흑석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빈의 대례복 | 흑석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흑석 | 적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흑석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흑석 | 상의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6쪽.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67~70쪽.
- ↑ 최연우, 「조선시대 석(舃) 연구」, 『服飾』 63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13, 157쪽.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11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석주선, 『화혜리』,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4.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최연우, 「대한제국시대 석(舃)의 고찰 및 한국 석의 형태적 특징의 유래」, 『服飾』 63권 8호, 2013.
- 최연우, 「석(舃)에 적용된 회차(繪次)와 수차(繡次)의 배색원칙」, 『服飾』 64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14.
- 최연우, 「조선시대 석(舃) 연구」, 『服飾』 63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13.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