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이혜영님이 한글 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문서를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관계정보) |
||
62번째 줄: | 62번째 줄: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음식디미방]]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규합총서]]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주식시의]]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호산춘주 제조법]]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7년 9월 11일 (월) 02:07 판
목차
개요
2016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의 전시에서 한글로 된 조리서 4건이 소개되었다. 조선시대 음식 조리는 나날의 식생활은 물론, 양반가 운영에 필요한 봉제사(奉祭祀)와 접빈객(接賓客)을 위해 중요한 일이었다. 그리하여 종가(宗家)를 비롯한 양반 사대부가에서는 각각 그 나름대로의 특유한 음식 조리법을 발전시켰고 전수(傳授)해왔다. 이를 위해 반가(班家)의 여인들은 집안에서 보고 배운 음식 조리법을 기록으로 남겨 집안 대대로 전하도록 한 것이 바로 한글 조리서이다. [1]
내용
한글 음식 조리서의 가치와 의의
한글 음식 조리서는 한국 전통음식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문화유산이다. 조선시대 양반가의 음식문화를 가장 잘 알려주는 자료이며, 조리법 뿐만 아니라 예법과 생활상식 등이 함께 실려있기 때문에 생활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더불어 조선시대 일상생활의 언어를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당시의 일상생활 언어를 바로 한글 문장으로 쓴 것이기 때문에 언해서와 비교해서 훨씬 구어체에 가깝다. 더불어 조선시대 양반가의 음식문화를 가장 잘 알려주는 자료이다.[2]
한글 음식 조리서에 담긴 다른 내용
음식 조리서에 음식법과 양조법만 실려 있는 것은 아니다. 가정생활에 요긴한 여러 가지 생활 상식도 곁들여져 있다. 『규합총서』에는 염색법, 노비 다스리는 법, 장 담글 때의 금기일, 의복 관리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음식법뿐만 아니라 부녀자들이 가정을 경영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덧붙인 것이다. 『주식시의』에는 염료가 아니라 각종 염색법이 색깔별로 설명되어 있다. [3]
음식디미방
전시 자료 중 음식디미방은 이현일의 어머니인 장계향이 딸과 며느리를 위해 쓴 음식조리서이다. 국수·떡·만두·김치·찜·국·약과 등 25종류의 음식 만드는 법과 술·초 만드는 법, 고기·과일·채소·해산물 저장하는 법 등이 적혀 있다. 고려 말에 등장한 발효떡인 상화(霜花)의 구체적인 조리법이 문헌상 처음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녹말·녹두가루·메밀 등을 이용한 여러 종류의 국수, 훈연법에 의한 고기저장법이 적혀 있는 점 등이 주목된다.
규합총서
전시 자료 중 규합총서는 빙허각이씨가 각종 가정 살림에 관한 지혜를 엮어 만든 책이다. 음식 조리법 뿐만 아니라 염색과 세탁 등 일상생활에서 요긴하게 쓸 수 있는 상식을 모았다. 모든 내용을 자세하고 분명하게 서술했을 뿐 아니라, 참고한 책의 이름까지 작은 글씨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의견을 추가하며 덧붙인 뒤, 각 항목의 끝에 자신이 직접 실행하고 확인한 결과 등을 기록해 놓았다.
주식시의
전시 자료 중 주식시의는 은진송씨 동춘당가의 조리서로 송영로 처 연안 이씨가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 음식 조리서이다. 음식 조리법을 비롯하여 가정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음식 재료를 다루거나 기본적인 조리 방식 등도 다양하게 수록했다. 이외에도 옷감에 물들이는 법, 산후번열증, 산모 수유법 등 여성의 생활과 밀접한 내용도 담겨 있다.
호산춘주 제조법
전시 자료 중 호산춘주 제조법은 하응운 처 인동 장씨가 집안의 가양주인 호산춘의 제조법을 기록한 문서이다. 원래 인동 장씨 집안에 전해져 오던 것을 하응운 처 인동 장씨가 시댁인 진양 하씨 집안에서 사용하였고, 이를 전수하기 위해 제조법을 남긴 것이다.
지식 관계망
중심요소
문맥요소
- Actor-인물: 허준
- Actor-인물: 윤호
- Actor-인물: 조선 선조
- Actor-인물: 조선 성종
- Actor-인물: 사주당이씨
- Actor-인물: 유희
- Actor-인물: 임원준
- Concept-개념: 청심원
- Concept-개념: 납약
- Concept-개념: 소합원
- Concept-개념: 지보단
- Event-사건: 임진왜란
- Object-문헌: 창진집
- Object-문헌: 태산집
- Object-문헌: 구급방
- Object-문헌: 의방유취
- Object-문헌: 동의보감
- Actor-단체: 내의원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음식디미방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 A dcterms:hasPart B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규합총서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 A dcterms:hasPart B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주식시의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 A dcterms:hasPart B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호산춘주 제조법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 A dcterms:hasPart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434년 | 노중례가 태산집을 저술하였다. |
1445년 | 임원준이 의방유취를 저술하였다. |
세조시기 | 임원준이 창진집을 저술하였다. |
1466년 | 임원준이 구급방을 저술하였다. |
1489년 | 임원준, 윤호 등이 구급간이방을 저술하였다. |
1601년 | 조선 선조가 언해태산집요 편찬을 명령하였다. |
1601년 | 조선 선조가 언해두창집요 편찬을 명령하였다. |
1608년 | 허준이 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
1608년 | 허준이 언해태산집요를 저술하였다. |
17세기 | 언해납약증치방이 저술되었다. |
1800년 | 사주당이씨가 태교신기언해를 저술하였다. |
조선후기 | 임산예지법이 저술되었다. |
19세기 | 동의보감내경편언해가 필사되었다. |
시각자료
주석
- ↑ 백두현, 「한글 음식 조리서: 전통 음식 문화를 담은 우리말의 보물 창고」『새국어생활』24, 2014, 국립국어원, 20쪽.
- ↑ 백두현, 「한글 음식 조리서: 전통 음식 문화를 담은 우리말의 보물 창고」『새국어생활』24, 2014, 국립국어원, 33-34쪽.
- ↑ 백두현, 「한글 음식 조리서: 전통 음식 문화를 담은 우리말의 보물 창고」『새국어생활』24, 2014, 국립국어원, 31-32쪽.
참고 자료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신동원, 『동의보감과 동아시아 의학사』, 들녘, 2015.
유용한 정보
- 신동원,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을 치료하다", 장서각 아카데미,『장서각』,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