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의원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의원(內醫院)
Government office.png
대표명칭 내의원
한자표기 內醫院
이칭 내국(內局)·내약방(內藥房)·약원(藥院)
유형 관청
창립자 세종
창립시대 조선
창립일 1443
변경일 1885, 1895
주요업무 왕의 약을 조제


정의

내의원은 조선시대 때 국왕과 왕실의 약을 조제하던 관서로서, 내국(內局)·내약방(內藥房)·약원(藥院) 등으로 불렸다. [1]

내용

설립 및 변천

조선 건국 초기에 반포한 관제 중에는 그 이름이 없으나, 태종 때 왕실의 내용약(內用藥)을 맡은 기관으로서 내약방이 있었다. 그 뒤 1443년 6월에 이조(吏曹)에 계청(啓請)하여 내약방을 내의원이라 칭하였는데, 관원 16인을 두고 3품은 제거(提擧), 6품 이상은 별좌(別坐), 참외(參外)는 조교라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비로소 독립관제로서의 내의원이 설치된 것이다. 내의원은 1885년에 전의사(典醫司), 1895년에 태의원(太醫院), 일제침략기에는 이왕직전의국(李王職典醫局)이 되었다.[2]

관제

1466년 1월 관제개혁 때 내의원에 소속된 관직은 정(正)·첨정(僉正) 각 1인, 판관(判官)·주부(注簿) 각 2인, 직장(直長) 3인, 봉사(奉事)·부봉사(副奉事)·참봉(參奉) 각각 2인씩 이었다. 이것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면서 인원수에 약간 증감이 있었을 뿐 그 관제는 그대로 존속되었다. [3]

기능

내의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궁중의 전속의료기관으로 국왕과 왕실의 건강을 보살피는 것이었다. 내의원은 종친과 전, 현직 관리의 진료도 맡고 있었다. 또한 서울 뿐 아니라 지방의 중신에게도 구급 의료품과 내의원의 의원을 파견하여 살피게 하기도 하고 소재 감사에게 서신을 보내 약재을 내려 보내주기도 하였다. 전쟁에서는 공훈을 세우다 부상당한 군사를 치료하기 위해 파견되거나 지방의 전염병을 돌보기도 했다. 이러한 진료 기관 역할 외에도 내의원이 가진 고유한 기능 중 하나는 의학에 대한 연구와 의서의 편찬이었다.[4]언해두창집요』, 『언해태산집요』, 『임산예지법』, 『구급간이방』, 『언해납약증치방』 등의 의서들이 내의원에 의해 편찬되었다.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 관계망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언해두창집요 내의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언해태산집요 내의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임산예지법 내의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구급간이방 내의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언해납약중치방 내의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허준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내의원 허준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박득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언해납약중치방 납약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내의원 조신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내의원 윤호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내의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동의보감 허준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443년 독립관제로서의 내의원이 설치되었다
1885 내의원이 전의사로 개명되었다
19895 내의원이 태의원으로 개명되었다
1900- 내의원이 이왕직전의국으로 개명되었다

공간정보

  • 한글 고문헌 출판 기관 전자지도

주석

  1. 김신근, "내의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신근, "내의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신근, "내의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규한, 「朝鮮時代 內醫院에 關한 硏究 : 職制變遷과 機能을 中心으로」, 『博物館報』Vol.9, 청주대학교 박물관, 1996.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규근, 「조선후기 內醫院 醫官 연구 : 內醫先生案의 분석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김정선, 「조선 후기 내의원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의학 경향」, 『醫史學』vol.16, 대한의사학회, 2007.
    • 류희영, 류영수,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대한한의학회』,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