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문학진-강원탄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
 
}}
  
=='''개요'''==
+
=='''정의'''==
지하 600미터의 [[강원탄광]](강원도 삼척)에서 일하는 광부들의 힘찬 모습을 그렸다.
+
지하 600미터의 [[강원탄광]](강원도 삼척)에서 일하는 광부들의 힘찬 모습을 그린 문학진 화백의 민족기록화.
  
 
=='''설명'''==
 
=='''설명'''==
25번째 줄: 25번째 줄:
  
 
===작품 구도===
 
===작품 구도===
지상으로부터 수직으로 지하 600미터까지 내려간 채탄장에서 석탄을 채취하는 장면을 그렸다. 왼편 두 사람은 착암기를 이용해 채탄하는 작업을 하는 선산부이고,그 뒤 후산부 세 사람은 채굴한 석탄을 광차에 삽으로 담고 있다. 맨 아래쪽 작업자는 전기안전등의 배터리를 점검하고 있다. 채탄한 석탄은 광차를 이용해 갱도 밖으로 운반하는데, 오른편에 광차를 노란색 축전차(기관차에 해당)에 연결하여 석탄을 운반하고 있다. 오른편 뒤쪽으로 지하 작업장 사무실 인원들이 보인다. 작업자들 중 몇 명은 방진 마스크를 벗고 있는데, 지하 600미터 막장의 온도는 30도를 웃돌고 습기도 많아 숨이 차서 장시간 마스크를 쓰고 일하기가 힘든 작업 환경이다.<br/>  
+
지상으로부터 수직으로 지하 600미터까지 내려간 채탄장에서 석탄을 채취하는 장면을 그렸다. 왼편 두 사람은 [[착암기]]를 이용해 채탄하는 작업을 하는 선산부이고,그 뒤 후산부 세 사람은 채굴한 석탄을 광차에 삽으로 담고 있다. 맨 아래쪽 작업자는 전기안전등의 배터리를 점검하고 있다. 채탄한 석탄은 광차를 이용해 갱도 밖으로 운반하는데, 오른편에 광차를 노란색 축전차(기관차에 해당)에 연결하여 석탄을 운반하고 있다. 오른편 뒤쪽으로 지하 작업장 사무실 인원들이 보인다. 작업자들 중 몇 명은 방진 마스크를 벗고 있는데, 지하 600미터 막장의 온도는 30도를 웃돌고 습기도 많아 숨이 차서 장시간 마스크를 쓰고 일하기가 힘든 작업 환경이다.<br/>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34번째 줄: 34번째 줄:
 
rect 226 96 270 225 [[착암기]]
 
rect 226 96 270 225 [[착암기]]
 
</imagemap>
 
</imagemap>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파일:민영환_손수광_최규화.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4100&dsid=000000000009&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 민족기록화관람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강원탄광.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문학진]]  || {{PAGENAME}} || A은 B을 그렸다 || 1975년
 +
|-
 +
|[[어린이회관]] || {{PAGENAME}} || A은 B을 대여하였다 ||1979년
 +
|-
 +
|[[청송문화원]] || {{PAGENAME}} || A은 B을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09일-1992년 11월 08일
 +
|-
 +
|[[강원탄광]] || [[석탄산업합리화정책]] || A은 B에 의해 폐광되었다 || 1993년
 +
|-
 +
|{{PAGENAME}}  ||[[강원탄광]]|| A은 B을 배경으로 한다 ||
 +
|-
 +
|{{PAGENAME}}  ||[[석탄산업]]|| A은 B과 관련이 있다 ||
 +
|}
  
=='''관련 민족기록화'''==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5년 || [[문학진]]이 {{PAGENAME}}을 제작하였다
 +
|-
 +
|1979년 || [[어린이회관]]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
|1991년 11월 09일-1992년 11월 08일 || [[청송문화원]]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
|1993년 || [[강원탄광]]이  폐광되었다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548900 || 127.077984|| [[어린이회관]]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
|36.429562 || 129.056025|| [[청송문화원]]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2차 경제편 (1973년 4월~1975년 6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2차 경제편 (1973년 4월~1975년 6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64번째 줄: 114번째 줄:
 
</gallery>
 
</gallery>
  
=='''관련항목'''==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가상현실===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문학진]]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어린이회관]]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1979년
 
|-
 
|[[청송문화원]]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09일-1992년 11월 08일
 
|-
 
|[[강원탄광]] || [[석탄산업합리화정책]] || A는 B에 의해 폐광되었다. || 1993년
 
|-
 
|{{PAGENAME}}  ||[[강원탄광]]||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PAGENAME}}  ||[[석탄산업]]||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1975년 || [[문학진]]가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1979년 || [[어린이회관]]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09일-1992년 11월 08일 || [[청송문화원]]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93년 || [[강원탄광]]가  폐광되었다.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37.548900 || 127.077984||{{PAGENAME}}이 [[어린이회관]]에 대여되었다.
 
|-
 
|36.429562 || 129.056025||{{PAGENAME}}이 [[청송문화원]]에 대여되었다.
 
|-
 
|}
 
  
 +
===갤러리===
  
=='''그래프'''==
+
===영상===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강원탄광.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w1D-ADKBgm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html><br/>
 
+
강원탄광문화촌<ref>임팩시스, ''Youtube'', 방송일: 2017년 03월 21일</ref>
=='''참고문헌'''==
 
*정연수(탄전문화연구소),『강원의 민속문화』,「강원도 탄광촌의 역사와 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14.
 
<br/>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정연수(탄전문화연구소),『강원의 민속문화』,「강원도 탄광촌의 역사와 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14.
 +
#웹자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317 강원산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410 강원산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경제]][[분류:현대]]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경제]][[분류:현대]]

2017년 7월 4일 (화) 15:30 판


강원탄광
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작가 문학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경제/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지하 600미터의 강원탄광(강원도 삼척)에서 일하는 광부들의 힘찬 모습을 그린 문학진 화백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채탄작업은 광업소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3~4 인이 1조가 되어 작업하며 하루 1개 조가 생산하는 탄은 15~16톤 정도이다. 채탄부들이 하는 일은 자재 옮기기, 동발(그림 중앙에 보이는 구덩이 양쪽에 세워서 버티는 기둥) 지주 세우기, 발파하기, 케이빙 치기, 탄 꺼내기, 운반하기, 동발 보수작업 등이 주된 일이다. 개인탄광에 비해 비교적 좋은 장비를 사용했던 석탄공사에서는 이미 1959년부터 고속굴진을 추진하면서 하루 4교대 10명씩 투입하여 1961년 12월 한 달 동안 423.50m(갱도 규격 2.1×2.4m)를 굴진하는 기록을 세운 바 있다. 석탄 증산이 시급하던 시절에는 4교대 굴진 작업을 했는데, 작업현장에서 서로 맞교대를 한다고 하여 주로 '막장교대'라고 불렀다.

작품 배경

1952년에 개광한 강원탄광은 개인이 운영하는 광업소로 광구면적 853ha, 1989년 종업원수가 2,142명에 달했던 상당한 규모였으나, 1993년 석탄산업합리화정책에 의해 폐광하였다.[1]

작품 구도

지상으로부터 수직으로 지하 600미터까지 내려간 채탄장에서 석탄을 채취하는 장면을 그렸다. 왼편 두 사람은 착암기를 이용해 채탄하는 작업을 하는 선산부이고,그 뒤 후산부 세 사람은 채굴한 석탄을 광차에 삽으로 담고 있다. 맨 아래쪽 작업자는 전기안전등의 배터리를 점검하고 있다. 채탄한 석탄은 광차를 이용해 갱도 밖으로 운반하는데, 오른편에 광차를 노란색 축전차(기관차에 해당)에 연결하여 석탄을 운반하고 있다. 오른편 뒤쪽으로 지하 작업장 사무실 인원들이 보인다. 작업자들 중 몇 명은 방진 마스크를 벗고 있는데, 지하 600미터 막장의 온도는 30도를 웃돌고 습기도 많아 숨이 차서 장시간 마스크를 쓰고 일하기가 힘든 작업 환경이다.

그림 읽기

착암기문학진 「강원탄광」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문학진 문학진-강원탄광 A은 B을 그렸다 1975년
어린이회관 문학진-강원탄광 A은 B을 대여하였다 1979년
청송문화원 문학진-강원탄광 A은 B을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09일-1992년 11월 08일
강원탄광 석탄산업합리화정책 A은 B에 의해 폐광되었다 1993년
문학진-강원탄광 강원탄광 A은 B을 배경으로 한다
문학진-강원탄광 석탄산업 A은 B과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문학진이 문학진-강원탄광을 제작하였다
1979년 어린이회관이 문학진-강원탄광을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09일-1992년 11월 08일 청송문화원이 문학진-강원탄광을 대여하였다
1993년 강원탄광이 폐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48900 127.077984 어린이회관이 문학진-강원탄광을 대여하였다
36.429562 129.056025 청송문화원이 문학진-강원탄광을 대여하였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강원탄광문화촌[3]

주석

  1. "강원탄광", 『태백석탄박물관』online, 태백석탄박물관. 최종확인: 2017년 04월 10일.
  2. "김종필국무총리 민족기록화관람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3. 임팩시스, Youtube, 방송일: 2017년 03월 2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정연수(탄전문화연구소),『강원의 민속문화』,「강원도 탄광촌의 역사와 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14.
  2. 웹자원
    • "강원산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원산업",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