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시각자료) |
(→내용)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서희(徐熙)의 아버지는 내의령(內議令)을 지낸 [[서필|서필(徐弼)]]이다. 할아버지인 [[서신일|서신일(徐神逸)]] 때까지는 이천 지방에 토착한 호족으로 보인다. 아들로는 [[서눌|서눌(徐訥)]]·[[서유걸|서유걸(徐惟傑)]]이 있으며, [[서눌|서눌]]의 딸은 [[고려 현종|현종(顯宗)]]의 [[원목왕후 서씨|비]]가 되어 외척가문의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다.<ref>박용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321 서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서희(徐熙)의 아버지는 내의령(內議令)을 지낸 [[서필|서필(徐弼)]]이다. 할아버지인 [[서신일|서신일(徐神逸)]] 때까지는 이천 지방에 토착한 호족으로 보인다. 아들로는 [[서눌|서눌(徐訥)]]·[[서유걸|서유걸(徐惟傑)]][[서유걸|서유위(徐惟偉)]]·[[서주행|서주행(徐周行)]]이 있으며, [[서눌|서눌]]의 딸은 [[고려 현종|현종(顯宗)]]의 [[원목왕후 서씨|비]]가 되어 외척가문의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다.<ref>박용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321 서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960년([[고려 광종|광종]] 11)에 과거에 급제, 광평원외랑(廣評員外郞)을 거쳐 내의시랑(內議侍郞)이 되었다. 972년([[고려 광종|광종]] 23)에 사신으로 송나라에 다녀왔으며 [[고려 성종|성종]] 때는 근정의 책임을 맡은 병관어사(兵官御事)가 되고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를 거쳐 태보(太保)·내사령(內史令)까지에 이르렀다. 993년([[고려 성종|성종]] 12) 거란이 남침하자 중군사(中軍使)로 북계에 나가 적과 대진했는데, 이때 일부 중신들은 서경 이북의 땅을 거란에게 주어 화평하자고 주장했으나, 서희는 이를 반대하고 스스로 거란 진영에 가서 적장 [[소손녕|소손녕(蕭遜寧)]]과 담판해 거란군을 퇴각하게 할 뿐 아니라, 압록강 이남의 장흥(長興)·귀화(歸化) 2진(鎭)과 곽주(郭州)·귀주(龜州)에 성을 쌓았으며, 다음해 안의(安義)·흥화(興化) 2진(鎭), 또 이듬해에 선주(宣州)·맹주(孟州) 2주에 성을 쌓았다. 996년([[고려 성종|성종]] 15) 병이 나 998년에 57세의 나이로 죽었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24&cid=42957&categoryId=42957 서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960년([[고려 광종|광종]] 11)에 과거에 급제, 광평원외랑(廣評員外郞)을 거쳐 내의시랑(內議侍郞)이 되었다. 972년([[고려 광종|광종]] 23)에 사신으로 송나라에 다녀왔으며 [[고려 성종|성종]] 때는 근정의 책임을 맡은 병관어사(兵官御事)가 되고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를 거쳐 태보(太保)·내사령(內史令)까지에 이르렀다. 993년([[고려 성종|성종]] 12) 거란이 남침하자 중군사(中軍使)로 북계에 나가 적과 대진했는데, 이때 일부 중신들은 서경 이북의 땅을 거란에게 주어 화평하자고 주장했으나, 서희는 이를 반대하고 스스로 거란 진영에 가서 적장 [[소손녕|소손녕(蕭遜寧)]]과 담판해 거란군을 퇴각하게 할 뿐 아니라, 압록강 이남의 장흥(長興)·귀화(歸化) 2진(鎭)과 곽주(郭州)·귀주(龜州)에 성을 쌓았으며, 다음해 안의(安義)·흥화(興化) 2진(鎭), 또 이듬해에 선주(宣州)·맹주(孟州) 2주에 성을 쌓았다. 996년([[고려 성종|성종]] 15) 병이 나 998년에 57세의 나이로 죽었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24&cid=42957&categoryId=42957 서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2018년 4월 8일 (일) 09:25 판
서희(徐熙) | |
대표명칭 | 서희 |
---|---|
한자표기 | 徐熙 |
생몰년 | 942년(태조 25)-998(목종 1) |
본관 | 이천(利川) |
시호 | 장위(章威) |
자 | 염윤(廉允) |
시대 | 고려 |
정의
고려 전기의 정치가 및 외교가.
내용
서희(徐熙)의 아버지는 내의령(內議令)을 지낸 서필(徐弼)이다. 할아버지인 서신일(徐神逸) 때까지는 이천 지방에 토착한 호족으로 보인다. 아들로는 서눌(徐訥)·서유걸(徐惟傑)서유위(徐惟偉)·서주행(徐周行)이 있으며, 서눌의 딸은 현종(顯宗)의 비가 되어 외척가문의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다.[1]
960년(광종 11)에 과거에 급제, 광평원외랑(廣評員外郞)을 거쳐 내의시랑(內議侍郞)이 되었다. 972년(광종 23)에 사신으로 송나라에 다녀왔으며 성종 때는 근정의 책임을 맡은 병관어사(兵官御事)가 되고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를 거쳐 태보(太保)·내사령(內史令)까지에 이르렀다. 993년(성종 12) 거란이 남침하자 중군사(中軍使)로 북계에 나가 적과 대진했는데, 이때 일부 중신들은 서경 이북의 땅을 거란에게 주어 화평하자고 주장했으나, 서희는 이를 반대하고 스스로 거란 진영에 가서 적장 소손녕(蕭遜寧)과 담판해 거란군을 퇴각하게 할 뿐 아니라, 압록강 이남의 장흥(長興)·귀화(歸化) 2진(鎭)과 곽주(郭州)·귀주(龜州)에 성을 쌓았으며, 다음해 안의(安義)·흥화(興化) 2진(鎭), 또 이듬해에 선주(宣州)·맹주(孟州) 2주에 성을 쌓았다. 996년(성종 15) 병이 나 998년에 57세의 나이로 죽었다.[2]
경기도 여주시에 부인과 합장한 묘소가 남아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서희 | 고려 현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서희 | 원목왕후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서희 | 소손녕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서희 | 거란침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서희장군묘 | 서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서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서희 표준영정 | 서희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개성 개국사 | 서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서필 | 서희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서희 | 서눌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시각자료
갤러리
서희 표준영정[3]
영상
- NATV 국회방송,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평화와 영토회복으로 실리외교를 실현하다 장위 서희", YouTube, 게시일: 2015년 4월 27일.
주석
- ↑ 박용운, "서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서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서희테마파크 개원", 이천뉴스,
『이천 미디어시정』online , 작성일: 2016년 06월 16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