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묘호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html> | </html>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4/A144.htm 어머니 신천강씨가 딸 순천김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4/A144.htm 어머니 신천강씨가 딸 순천김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7/C037.htm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신영상)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126번째 줄: | 127번째 줄: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논문 | *논문 | ||
− | **김용흠, 「정묘호란(丁卯胡亂)과 주화(主和),척화(斥和) 논쟁」, 『韓國思想史學』, Vol.26 No.-, 한국사상사학회, 2006, 159-199쪽 | + | **권내현, 「정묘호란 의병장 정봉수의 활약과 조선왕조의 인식」, 『한국사학보』,Vol.42, No.-, 고려사학회, 2011, 113-139쪽. |
− | + | **김용흠, 「정묘호란(丁卯胡亂)과 주화(主和),척화(斥和) 논쟁」, 『韓國思想史學』, Vol.26, No.-, 한국사상사학회, 2006, 159-199쪽. |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
134번째 줄: | 135번째 줄: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사건]] | [[분류:사건]] | ||
− |
2017년 11월 27일 (월) 09:23 기준 최신판
정묘호란(丁卯胡亂) | |
대표명칭 | 정묘호란 |
---|---|
한자표기 | 丁卯胡亂 |
유형 | 사건 |
시대 | 조선시대 |
날짜 | 1627년 |
관련인물 | 조선 인조, 임경업, 최명길, 이원익, 이괄 |
관련유물유적 | 어머니 신천강씨가 딸 순천김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 산성일기 |
목차
정의
1627년 후금(청)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첫 번 째 전쟁을 말한다.
내용
악화된 조선과 후금의 관계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몰아내고 서인이 조정의 실권을 잡았다. 그들은 광해군 때의 중립적 대외 정책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후금과의 관계를 끊는 한편, 모문룡을 지원하는 등 친명배금 정책을 추진하였다. 후금은 배후로부터 위협을 받게 되고, 명나라에 이어 조선과도 경제 교류의 길이 막혀 극심한 물자 부족에 허덕이게 되었다. 때문에 후금은 무력적인 수단으로 이를 타개할 기회를 노렸다.[1]
불안한 조선과 정묘호란의 시작
한편 조선에서는 인조반정 뒤,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켜 그 잔당이 후금과 내통하였다. 이에 후금 즉, 청나라 청 태종은 1627년 1월 아민(阿敏)에게 3만의 병력으로 조선을 침공하게 하였다. 조선군은 능한산성(凌漢山城)을 비롯, 곳곳에서 후금군을 저지하는 데 실패하고, 모문룡도 신미도(身彌島)로 도주하였다. 인조는 장만(張晩)을 도체찰사로 삼아 적을 막게 하고, 여러 신하를 각지에 파견해 근군(勤軍)을 모집하였다. 그러는 동안에도 후금군은 남진을 계속, 안주성을 점령하고 다시 평양을 거쳐 황주까지 진출하였다. 평산에 포진했던 장만은 개성으로 후퇴하였다.[2]
조선과 후금의 화약
전세가 극도로 불리하자 김상용(金尙容)이 유도대장(留都大將)이 되어 서울을 지키고, 소현세자(昭顯世子)는 전주로 남하하였다. 이 사이 인조는 전란을 피해 강화도로 들어갔다. 한편, 각지에서는 의병이 일어나 후금군의 배후를 공격하거나 군량을 조달하는 등 분전하였다. 특히 정봉수(鄭鳳壽)·이립(李立) 등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평산까지 진출한 후금군은 계속 남하하는 데 따르는 후방의 위협을 염려하게 되었고, 조선 또한 전쟁을 계속할 여력이 남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에 후금군은 평산에서 더 이상 진출하지 않고 곧 철병하고, 양국은 형제의 나라로 일컬으며, 화약을 맺되 명나라에 적대하지 않는다는 등의 조건으로 3월 3일 두 나라 사이에 화의가 성립되었다.[3]
지식 관계망
- 산성일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묘호란 | 친명배금 정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병자호란 | 친명배금 정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인조반정 | 친명배금 정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인조반정 | 조선 인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인조반정 | 이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괄의 난 | 이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묘호란 | 이괄의 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묘호란 | 청 숭덕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병자호란 | 청 숭덕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묘호란 | 아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묘호란 | 모문룡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묘호란 | 장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묘호란 | 김상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인조 | 소헌세자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정묘호란 | 정봉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묘호란 | 이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묘호란 | 산성일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묘호란 | 송시열 분재 편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23년 | 인조반정이 일어났다 |
1624년 | 이괄의 난이 일어났다 |
1627년 1월-3월 | 정묘호란이 일어났다 |
1636년 12월-1637년 1월 |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정하명, "정묘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하명, "정묘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하명, "정묘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권내현, 「정묘호란 의병장 정봉수의 활약과 조선왕조의 인식」, 『한국사학보』,Vol.42, No.-, 고려사학회, 2011, 113-139쪽.
- 김용흠, 「정묘호란(丁卯胡亂)과 주화(主和),척화(斥和) 논쟁」, 『韓國思想史學』, Vol.26, No.-, 한국사상사학회, 2006, 159-199쪽.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정하명, "정묘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하명, "정묘호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