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황태자의 조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착장 과정)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장정보
 
{{복장정보
|사진=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김아람.png
|사진출처= 궁중기록화팀.
+
|사진출처=  
 
|대표명칭= 황태자의 조복
 
|대표명칭= 황태자의 조복
 
|한자표기= 皇太子의 朝服
 
|한자표기= 皇太子의 朝服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황태자]]가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원유관 | 원유관(遠遊冠)]]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ref>
+
대한제국 [[황태자]]가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원유관|원유관(遠遊冠)]]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ref>
  
 
=='''내용'''==
 
=='''내용'''==
[[원유관|원유관(遠遊冠)]]에 있는 양(梁)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내는데 [[황태자]]는 양이 9줄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ref>
+
[[원유관|원유관(遠遊冠)]]에 있는 양(梁)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내는데 [[황태자]]는 왕과 마찬가지로 양이 9줄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ref>
  
 
===복식구성===
 
===복식구성===
 
[[원유관 | 원유관(遠遊冠)]], [[강사포 | 강사포(絳紗袍)]], [[강사포 하상|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 | 대대(大帶)]], [[옥대(왕실남성)|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 | 후수(後綬)]], [[적석|적석(赤舃)]], [[적말|적말(赤襪)]], [[규(왕실남성)|규(圭)]]
 
[[원유관 | 원유관(遠遊冠)]], [[강사포 | 강사포(絳紗袍)]], [[강사포 하상|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 | 대대(大帶)]], [[옥대(왕실남성)|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 | 후수(後綬)]], [[적석|적석(赤舃)]], [[적말|적말(赤襪)]], [[규(왕실남성)|규(圭)]]
 +
 +
===착장 과정===
 +
[[바지]]와 [[저고리]], [[적말]] 등 기본 옷을 갖추고, [[창의|소창의]], [[창의]], [[중단(왕실남성)|중단]]을 입는다. [[강사포 하상]]을 입은 후 [[강사포]]를 입는다. [[대대(왕실남성)|대대]], [[옥대]], [[폐슬(왕실남성)|폐슬]]을 두르고, [[패옥(왕실남성)|패옥]]을 갖춘다. [[원유관]]을 머리에 쓰고, [[규(왕실남성)|규]]를 든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쪽.</ref>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대례복 착장1 김아람.png|바지와 저고리, 적말 차림.<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대례복 착장2 김아람.png|소창의를 입은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대례복 착장3 김아람.png|창의를 입은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착장4 김아람.png|중단을 입은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착장5 김아람.png|강사포 하상을 입은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착장6 김아람.png|강사포를 입은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착장7 김아람.png|대대를 두른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착장8 김아람.png|옥대를 두른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착장9 김아람.png|폐슬을 두른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김아람.png|원유관을 쓰고, 규를 들어 왕의 조복 착장 완성.<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gallery>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36/B03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35번째 줄: 56번째 줄:
 
| 황태자의 조복 || [[강사포 하상]]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황태자의 조복 || [[강사포 하상]]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태자의 조복 || [[중단(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황태자의 조복 || [[중단(왕실남성)|중단]]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태자의 조복 || [[폐슬(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황태자의 조복 || [[폐슬(왕실남성)|폐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태자의 조복 || [[후수(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황태자의 조복 || [[후수(왕실남성)|후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태자의 조복 || [[패옥(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황태자의 조복 || [[패옥(왕실남성)|패옥]]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태자의 조복 || [[대대(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황태자의 조복 || [[대대(왕실남성)|대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태자의 조복 || [[적말]]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황태자의 조복 || [[적말]]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49번째 줄: 70번째 줄:
 
| 황태자의 조복 || [[적석]]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황태자의 조복 || [[적석]]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태자의 조복 || [[규(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황태자의 조복 || [[규(왕실남성)|규]]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태자의 조복 || [[상의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황태자의 조복 || [[상의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55번째 줄: 76번째 줄:
  
 
===착장 과정===
 
===착장 과정===
[[바지]]와 [[저고리]], [[적말]]기본 옷을 갖추고, [[창의|소창의]], [[창의]], [[중단(왕실남성)|중단]]을 입는다. [[강사포 하상]]을 입고, [[강사포]]를 입는다. [[대대(왕실남성)|대대]], [[옥대]], [[폐슬(왕실남성)|폐슬]]을 두르고, [[패옥(왕실남성)|패옥]]을 갖춘다. [[원유관]]을 머리에 쓰고, [[규]]를 든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쪽.</ref>
+
[[바지]]와 [[저고리]], [[적말]] 기본 옷을 갖추고, [[창의|소창의]], [[창의]], [[중단(왕실남성)|중단]]을 입는다. [[강사포 하상]]을 입고, [[강사포]]를 입는다. [[대대(왕실남성)|대대]], [[옥대]], [[폐슬(왕실남성)|폐슬]]을 두르고, [[패옥(왕실남성)|패옥]]을 갖춘다. [[원유관]]을 머리에 쓰고, [[규(왕실남성)|규]]를 든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쪽.</ref>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대례복 착장1 김아람.png|바지와 저고리, 적말 차림.<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대례복 착장1 김아람.png|바지와 저고리, 적말 차림.<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66번째 줄: 87번째 줄: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착장8 김아람.png|옥대를 두른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착장8 김아람.png|옥대를 두른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착장9 김아람.png|폐슬을 두른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착장9 김아람.png|폐슬을 두른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김아람.jpg|원유관을 쓰고, 규를 들어 황태자의 조복 착장 완성.<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김아람.png|원유관을 쓰고, 규를 들어 황태자의 조복 착장 완성.<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gallery>
 
</gallery>
  
109번째 줄: 130번째 줄: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더 읽을거리===
+
===일러스트 참고문헌===
 +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17년 11월 14일 (화) 22:00 기준 최신판


황태자의 조복
(皇太子의 朝服)
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김아람.png
대표명칭 황태자의 조복
한자표기 皇太子의 朝服
이칭별칭 원유관복(遠遊冠服)
분류 예복
착용신분 황태자
착용성별 남성



정의

대한제국 황태자가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원유관(遠遊冠)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1]

내용

원유관(遠遊冠)에 있는 양(梁)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내는데 황태자는 왕과 마찬가지로 양이 9줄이다.[2]

복식구성

원유관(遠遊冠), 강사포(絳紗袍), 상(裳), 중단(中單),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적석(赤舃), 적말(赤襪), 규(圭)

착장 과정

바지저고리, 적말 등 기본 옷을 갖추고, 소창의, 창의, 중단을 입는다. 강사포 하상을 입은 후 강사포를 입는다. 대대, 옥대, 폐슬을 두르고, 패옥을 갖춘다. 원유관을 머리에 쓰고, 를 든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태자 황태자의 조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의 조복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황태자의 조복 원유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강사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강사포 하상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중단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폐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후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패옥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대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적말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적석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상의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착장 과정

바지저고리, 적말 등 기본 옷을 갖추고, 소창의, 창의, 중단을 입는다. 강사포 하상을 입고, 강사포를 입는다. 대대, 옥대, 폐슬을 두르고, 패옥을 갖춘다. 원유관을 머리에 쓰고, 를 든다.[14]

착장 영상

  • 황태자의 조복 착장 과정(ⓒ 김아람)

시간정보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7850 126.989909 창덕궁 돈화문 근처 상의원에서 황태자의 조복을 제작했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쪽.
  4.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5.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6.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7.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8.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9.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10.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11.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12.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13.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14.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쪽.
  15.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16.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17.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18.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19.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20.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21.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22.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23.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24.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2-복식, 자수편』, 문화재청, 2006.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일러스트 참고문헌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